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책읽기/글쓰기 > 책읽기
· ISBN : 9788987671291
· 쪽수 : 647쪽
· 출판일 : 2004-11-30
책 소개
목차
서문
제1부
21세기 철학 - 이정우
1. 주체성에 대한 역사적 탐구 - 미셸 푸코, <주체의 해석학>_ 심세광
2. 컴퓨터와 인공지능으로 비춰 본 영혼의 실체 - D. 호프스태터.D.데닛 엮음, <이런, 이게 바로 나야!>_ 이승종
3. 21세기를 위한 노자, 그 또 하나의 얼굴을 찾아서 - 김용옥, <노자와 21세기>_ 김시천
4. 21세기의 새로운 형이상학을 위해 - 이정우, <접힘과 펼쳐짐>_ 고병권
5. 21세기 생명 과학_ 유토피아인가 디스토피아인가 - 임종식.구인회, <삶과 죽음의 철학>_ 강신익
6. 한국적 삶의 양식에서 모색하는 문명 - <안티호모에렉투스>_ 김귀룡
7. 계몽의 제창과 계몽의 초월 - 리저허우, <역사본체론>_ 황희경
21세기 종교학 - 배국원
1. 노교수의 강의록 같은 종교학 입문서 - 월터 캡스, <현대 종교학 담론>_ 배국원
2. 비교 종교학을 위한 새로운 초석 - 조너선 스미스, <신을 위한 잡역>_ 장석만
3. 첨단 인지 인류학적 종교 분석 - 파스칼 보이어, <설명된 종교>_ 배국원
4. 종교적 상상력으로 살피는 삶의 지도 - 정진홍, <종교 문화의 논리>_ 장석만
21세기 역사학 - 조한욱
1. 여성의 시각에서 역사를 바라보라 - 조르주 뒤비 외, <여성의 역사>_ 이남희
2. 문명과 야만의 거울에 비친 근대의 내면 - 박지향, <일그러진 근대>_ 박천홍
3. 망각의 늪에 빠진 역사적 패자의 구원 - 알프 뤼트케 외, <일상사란 무엇인가>_ 박천홍
4. 포스트모더니즘과 역사서술_ 민족지적 역사 - 그레그 데닝, <블라이 선장의 잘못된 언어>_ 조승래
5. 탈근대와 탈식민의 역사학 - 윤해동, <식민지의 회색지대>_ 이기훈
21세기 인류학 - 아수라장
1. 적자를 갖지 못한 폭력 연구의 고전 - 삐에르 끌라스트로, <폭력의 고고학>_ 아수라장
2. 문화 기술자에서 사회 비평가로 - 레나토 로살도, <문화와 진리>_ 아수라장
3. 아스라한 기억들을 증폭시켜 새로운 역사를 쓰다 - 윤택림, <인류학자의 과거 여행>_ 아수라장
21세기 정치학 - 강명세
1. 제국, 변혁을 위한 계기인가 변혁의 위기인가 - 마이클 하트.안토니오 네그리, <제국>_ 김동택
2. 보수주의의 덮에 걸린 민주화 이후의 민주주의 - 최장집, <민주화 이후의 민주주의>_ 김동택
3. 역사적, 문화적 구성물로서의 민족과 민족주의 - 베네딕트 앤더슨, <상상의 공동체>_ 전제성
4. 세계화의 깨어진 약속과 대안의 길 - 조지프 스타글리츠, <세계화와 그 불만>_ 이병천
5. 정치 공동체의 최고의 덕목, 평등한 배려 - 로널드 드워킨, <최고의 덕>_ 염수균
6. 빈곤과 불평등으로부터의 자유 - 아마티아 센, <자유로서의 발전>_ 이상호
7. 디지털 시대의 마르크스 - 닉 위데포드, <사이버 - 맑스>_ 조정환
8. 신경제, 신화에서 몰락까지 - 마이클 만델, <인터넷 공황>_ 이강국
9. 베버 이래 100년 만의 새로운 자본주의 분석 - 뤽 볼탄스키.에브 시아펠로, <자본주의의 새로운 정신>_ 성일권
10. 유럽 중심주의를 넘어 다시 동양으로 - 안드레 군더 프랑크, <리오리엔트>_ 최갑수
21세기 사회학 - 김호기
1. 제3의 길을 찾아서 - 앤서니 기든스, <좌파와 우파를 넘어서>_ 김호기
2. 정보 사회의 현재와 미래 - 마뉴엘 카스텔, <네트워크 사회의 도래>_ 김호기
3. 지구화의 도전과 대응 - 데이비드 헬드 외, <전지구적 변환>_ 김호기
4. 근대 세계 체계와 사회 과학의 위기 - 이매뉴얼 월러스틴, <우리가 아는 세계의 종언>_ 백승욱
5. 세계 헤게모니 교체를 통해 본 역사적 자본주의 - 지오반니 아리기, <장기 20세기>_ 백승욱
21세기 여성학 - 김영옥
1. 페미니스트 문화 실천의 장, 몸의 정치학 - 수전 보르도, <참을 수 없는 몸의 무거움>_ 양민석
2. 사이보그 시대는 곧 젠더 이후의 세계다 - 다나 헤러웨이, <유인원, 사이보그, 그리고 여자>_ 윤혜린
3. 여성의 몸을 통해 한국 사회 깊이 읽기 - 김은실, <여성의 몸, 몸의 문화 정치학>_ 김영옥
21세기 NGO학 - 조효제
1. 민주주의의 야전 교범_ 시민 참여의 과학과 예술 - 캐서린 아이작, <우리는 참여와 행동을 통해 민주주의로 간다>_ 조효제
2. NGO의 정치적 의미_ 통치와 공치의 예술 - 박상필,
3. 지구 시민 사회 측정을 위한 새로운 관점과 잣대 - 헬무트 안하이어 외, <지구 시민 사회>_ 박상필
제2부
21세기 물리학 - 곽영직
1. 우주는 우리에게 영원한 신비다 - 스티븐 호킹, <시간의 역사>_ 곽영직
2. 인간 중심의 우주관에 대한 반박 - 칼 세이건, <창백한 푸른 점>_ 곽영직
3. 혼돈을 설명하는 이론 - 제임스 글리크, <카오스>_ 곽영직
21세기 생물 과학 - 홍욱희
1. 유전자의 눈으로 본 인간과 세상 - 리처드 도킨스, <이기적 유전자>_ 장대익
2. 상호 작용의 생물학을 꿈꾸며 - 리처드 르원틴,
3. 생물학에 대한 새로운 인식 - 에른스트 마이어, <이것이 생물학이다>_ 이영돈
4. 생물학적 결정론에 대한 통렬한 반박 - 스티븐 제이 굴드, <인간에 대한 오해>_ 홍욱희
5. 문명의 불평등은 어떻게 발생했는가 - 재레드 다이아몬드, <총, 균, 쇠>_ 정직한
21세기 환경 과학 - 홍욱희
1. 환경오염으로 휘청거리는 21세기 - 월드워치 연구소, <지구환경보고서 2001, 2002, 2003>_ 이상훈
2. 환경주의자들의 미래 비관론을 회의한다 - 비외른 롬보르 외, <회의적 환경주의자>_ 정재춘
3. 지구를 바라보는 전혀 새로운 관점 - 제임스 러브록, <가이아>, <가이아의 시대>_ 홍욱희
21세기 지리학 - 최병두
1. 세계화와 신체의 공간, 그리고 유토피아 - 데이비드 하비, <희망의 공간>_ 최병두
2. 풍수, 땅과 인간의 상생 조화를 위한 체계 - 최창조, <땅의 눈물 땅의 희망>_ 성동환
21세기 실용 과학 - 홍욱희
1. 인간과 로봇이 공종하는 21세기의 전망 - 페이스 달루이시오, <새로운 종의 진화 로보 사피엔스>_ 홍욱희
2. 네트워크 과학이 뜬다 - 알버트라즐로 바라바시, <링크>_ 김기훈
제3부
21세기 기호학 - 박여성
1. 선험적 순수 이성의 한계를 폭로한다 - 움베르토 에코, <칸트와 오리너구리>_ 박여성
2. 거짓말의 진실, 또는 진실의 허구성 - 움베르토 에코, <바우돌리노>_ 김운찬
21세기 문학
1. 페미니즘은 백인 여성의 전유물이가 - 가야트리 스피박, <다른 세상에서>_ 태혜숙
2. 역사적 터부의 문학적 형상화 - 귄터 그라스, <게걸음으로 가다>_ 김누리
3. 문학은 더 이상 당신을 위무하지 않을 것이다 <보론> - 엘프리데 옐리네크의 문학세계와 서술 전략_ 김영옥
4. 침묵의 사랑, 사랑의 침묵 - 파스칼 키냐르, <은밀한 생>_ 이찬규
5. 가부장적 이데올로기에 맞선 운명 개척 - 이사벨 아옌데, <운명의 딸>_ 서성철
6. 사자를 위한 진혼곡 - 토니 모리슨, <빌러비드>_ 이명호
7. 반연극으로 그린 전통과 근대 - 윌레 소잉카 희곡선_ 이석호
8. 파농과 민족 문학론 - 프란츠 파농, <검은 피부, 하얀 가면>_ 이석호
9. 아우슈비츠로부터의 함성 - 임레 케르테스, <운명> 3부작_ 유진일
10. 인간의 욕망과 영아 만찬 - 모옌, <술의 나라>_ 박명애
21세기 건축학 - 이종건
1. 세상에 행복을 전달하는 건축 - 밀러드 풀러, <망치의 신학>_ 전진삼
2. 도시 살이의 즐거움 - 김진애, <김진애의 우리 도시 예찬>_ 전진삼
3. 차이의 건축 - 이냐시 데 솔라 모랄레스, <차이들>_ 한창완
21세기 영화학 - 남완석
1. 디지털, 영화의 위기인가 새로운 가능성인가 - 토마스 엘새서.케이 호프만 엮음, <디지털 시대의 영화>_ 남완석
2. 무지하고 둔한 정신들이여, 자극을 받아라 - 슬라보이 지젝 외, <매트릭스로 철학하기> / 글렌 예페스, <우리는 매트릭스 안에 살고 있나>_ 심영섭
21세기 광고학 - 마정미
1. 무의식과 꿈의 사회가 온다 - 다비트 보스하르트, <소비의 미래>_ 마정미
1. 광고의 몰락과 마케팅의 초심 - 앨 리스.로라 리스, <마케팅 반란>_ 마정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