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근현대사 > 한국전쟁 이후~현재
· ISBN : 9791157061587
· 쪽수 : 344쪽
· 출판일 : 2019-04-30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제1부 광복, 정부 수립, 분단 체제의 형성(1945~1960)
1. 분단 원인 논쟁
2. 찬탁 대 반탁 논쟁
3. 좌우파 문학 논쟁
4. 유일 합법 정부 논쟁
5. 친일파 논쟁
6. 해방전후사 해석 논쟁
7. 농지개혁 평가 논쟁
8. 맥아더 재평가 논쟁
9. 한국전쟁 해석 논쟁
10. 전후 문학 세대 논쟁
11. 4·19 평가 논쟁
제2부 박정희 시대의 빛과 그림자(1961~1979)
12. 5·16 성격 논쟁
13. 민족적 민주주의 논쟁
14. 한일 국교정상화 청구권 자금 논쟁
15. 베트남 파병 논쟁
16. 교육 평준화 논쟁
17. 조국근대화론 대 대중경제론 논쟁
18. 유신 체제 논쟁
19. 청년문화 논쟁
20. 창작과비평 대 문학과지성 논쟁
21. 연예인 대마초 사건 논쟁
제3부 민주화시대의 개막과 진전(1980~1996)
22. 광주항쟁 논쟁
23. 사회구성체 논쟁
24. 민주화 이행 논쟁
25. 대선 후보 단일화 논쟁
26. 북방정책 논쟁
27. 신세대 논쟁
28. 시민사회와 시민운동 논쟁
29. 주사파 발언 논쟁
30. 분단 체제 논쟁
제4부 외환위기 이후의 한국사회(1997~2018)
31. 87년 체제냐 97년 체제냐 논쟁
32. 생산적 복지 논쟁
33. 햇볕정책 논쟁
34. 뉴라이트 논쟁
35. 역사교과서 국정화 논쟁
36. 지역균형발전 논쟁
37. 전시작전통제권 환수 논쟁
38. 무상급식 논쟁
39. 안철수 현상 논쟁
40. 수저계급론 논쟁
에필로그: 촛불시민혁명과 한국 민주주의
주요 참고문헌
리뷰
책속에서
논쟁이 중요한 것은 논쟁을 통해 쟁점을 분명히 하고 더 나은 해법을 찾을 수 있기 때문이다. 지난 70여 년 동안 진행된 논쟁들이 광복 이후 우리 사회를 이끌어왔듯, 생산적인 논쟁들을 통해 우리 사회의 미래를 열어갈 수 있다고 우리는 생각한다. 산업화와 민주화를 넘어서 새로운 국가, 새로운 사회를 향한 구체적인 청사진을 두고 앞으로 논쟁들이 더욱 활기차게 이뤄지길 간절히 소망한다.
_‘프롤로그’ 중에서
전쟁범죄자들이 제대로 처리됐던 지역과 그러지 못했던 지역 사이에는 큰 차이가 있다. 전범들이 처리된 지역에는 극우가 존재하지 않는다. 극우가 없으면 극좌도 공존이 불가능하다. 좌와 우, 중도만이 있다. 그러나 전범이 부활한 지역에서는 극우와 극좌가 적대적으로 공존하고 있다. 진정한 좌우나 중도가 힘을 얻기 어려운 구도다.
_‘1장 분단 원인 논쟁’ 중에서
문학 논쟁은 새로운 국가와 사회의 건설이라는 정치 과정과 긴밀히 결합될 수밖에 없었다. 광복 직후 문학 논쟁에 대한 뛰어난 연구 업적을 남긴 국문학자 김윤식이 날카롭게 지적했듯 해방 공간은 ‘역사를 선택할 수 있는 참으로 희귀한 공간’이었고, 이러한 시대적 특징은 문학의 이념적 대결을 격화시킨 셈이었다.
_‘3장 좌우파 문학 논쟁’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