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서양철학 > 마르크스주의
· ISBN : 9788987671642
· 쪽수 : 688쪽
· 출판일 : 2008-06-10
책 소개
목차
제Ⅰ-1권
해제 9
옮긴이의 말 31
일러두기 40
제1판 서문 43
제2판 후기 50
프랑스어판 서문 62
프랑스어판 후기 64
제3판에 부쳐 66
영어판 서문 70
제4판에 부쳐 76
제1편 상품과 화폐
제1장 상품 87
제1절 상품의 두 요소 : 사용가치와 가치(가치실체.가치크기) 87
제2절 상품에 나타난 노동이 이중성 95
제3절 가치형태 또는 교환가치 103
제4절 상품의 물신적 성격과 그 비밀 133
제2장 교환과정 149
제3장 화폐 또는 상품유통 160
제1절 가치척도 160
제2절 유통수단 171
제3절 화폐 202
제2편 화폐의 자본으로의 전화
제4장 화폐의 자본으로의 전화 225
제1절 자본의 일반적 정식 225
제2절 일반적 정식의 모순 237
제3절 노동력의 구매와 판매 250
제3편 절대적 잉여가치의 생산
제5장 노동과정과 가치증식과정 265
제1절 노동과정 265
제2절 가치증식과정 276
제6장 불변자본과 가변자본 291
제7장 잉여가치율 306
제1절 노동력의 착취도 306
제2절 생산물의 비율 부분에 의한 생산물가치의 표시 316
제3절 시니어의 ‘마지막 1시간’ 320
제4절 잉여생산물 327
제8장 노동일 329
제1절 노동일의 한계 329
제2절 잉여노동에 대한 갈망 ― 공장주와 보야르 334
제3절 착취에 대한 법적 제약이 없는 영국의 여러 산업부문 346
제4절 주간노동과 야간노동 ― 교대제 364
제5절 표준노동일을 위한 투쟁 ― 14세기 중엽부터 17세기 말까지의 노동일 연장을 위한 강제법 374
제6절 표준노동일을 위한 투쟁 ― 노동시간 제한의 법률적 강제. 1833~64년 영국의 공장 입법 391
제7절 표준노동일을 위한 투쟁 ― 영국의 공장입법이 다른 나라에 끼친 영향 417
제9장 잉여가치율과 잉여가치량 424
제4편 상대적 잉여가치의 생산
제10장 상대적 잉여가치의 개념 437
제11장 협업 449
제12장 분업과 매뉴팩처 466
제1절 매뉴팩처의 두 가지 기원 466
제2절 부분노동자와 그의 도구 470
제3절 매뉴팩처의 두 가지 기본형태 ― 이종적 매뉴팩처와 유기적 매뉴팩처 473
제4절 매뉴팩처 내 분업과 사회 내 분업 484
제5절 매뉴팩처의 자본주의적 성격 493
제13장 기계와 대공업 506
제1절 기계의 발달 506
제2절 기계에서 생산물로의 가치 이전 524
제3절 기계제 경영이 노동자에게 끼치는 직접적 영향 533
제4절 공장 565
제5절 노동자와 기계의 투쟁 576
제6절 기계에 의해 쫓겨난 노동자에 관한 보상설 589
제7절 기계제 경영의 발전에 따른 노동자의 축출과 흡수. 면직업공황 601
제8절 대공업에 의한 매뉴팩처.수공업.가내공업의 혁명 615
제9절 공장법(보건과 교육 조항). 영국에서의 일반화 642
제10절 대공업과 농업 671
후주 675
제Ⅰ-2권
제5편 절대적.상대적 잉여가치의 생산
제14장 절대적.상대적 잉여가치의 생산 699
제15장 노동력의 가격과 잉여가치의 양적 변동 713
제1절 노동일의 길이와 노동강도가 불변이고(주어져 있고) 노동생산력이 변하는 경우 714
제2절 노동일의 길이와 노동생산력이 불변인 상태에서 노동강도가 변하는 경우 719
제3절 노동생산력과 노동강도가 불변인 상태에서 노동일의 길이가 변하는 경우 721
제4절 노동의 지속시간, 노동생산력 및 노동강도가 동시에 변하는 경우 722
제16장 잉여가치율에 대한 갖가지 정식 727
제6편 임금
제17장 노동력의 가치 또는 가격의 임금으로의 전화 735
제18장 시간급 745
제19장 성과급 755
제20장 임금의 국가별 차이 766
제7편 자본의 축적과정
제21장 단순재생산 777
제22장 잉여가치의 자본으로의 전화 794
제1절 확대된 규모의 자본주의적 생산과정. 상품생산 소유법칙의 자본주의적 취득법칙으로의 전화 794
제2절 확대된 규모의 재생산에 관한 잘못된 경제학적 견해 806
제3절 잉여가치의 자본과 수입으로의 분할. 절욕설 809
제4절 잉여가치의 자본 및 수입으로의 비례적 분할과는 무관하게 축적규모를 결정하는 여러 요인 820
제5절 이른바 노동기금 833
제23장 자본주의적 축적의 일반 법칙 837
제1절 자본구성이 불변일 때 축적에 따른 노동력 수요의 증가 837
제2절 축적과 그에 수반하는 집적의 진행에서 가변자본 부분의 상대적 감소 848
제3절 상대적 과잉인구 또는 산업예비군의 누진적 생산 856
제4절 상대적 과잉인구의 여러 존재형태. 자본주의적 축적의 일반 법칙 870
제5절 자본주의적 축적의 일반 법칙에 대한 예증 880
제24장 이른바 본원적 축적 961
제1절 본원적 축적의 비밀 961
제2절 농촌 주민으로부터의 토지 수탈 965
제3절 15세기 말 이후의 피수탈자에 대한 피의 입법. 임금인하를 위한 법률 987
제4절 자본주의적 차지농업가의 생성 997
제5절 공업에 대한 농업혁명의 반작용. 산업자본을 위한 국내시장의 형성 1000
제6절 산업자본가의 생성 1005
제7절 자본주의적 축적의 역사적 경향 1020
제25장 근대 식민이론 1024
후주 1038
참고문헌 1042
인명 찾아보기 1086
사항 찾아보기 1118
리뷰
책속에서
잉여가치는 유통에서 발생할 수 없는 것이므로, 그것이 만들어지려면 유통 내에서는 볼 수 없는 무엇인가가 유통의 배후에서 일어나야만 한다. 그러나 잉여가치가 유통에서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면 외부의 어디에서 발생할 수 있겠는가? 유통이란 것은 상품소유자들의 모든 상호관계의 총체이다. 유통의 외부에서는 상품소유자는 오로지 자신의 상품하고만 관계할 뿐이다. 상품가치와 관련하여 이 관계는 그 상품이 일정한 사회적 법칙들에 따라 측정된 상품소유자 자신의 노동량을 포함하고 있다는 데에 국한된다. 이 노동량은 그 상품의 가치크기로 표현되며 가치크기는 계산화폐로 표시된다. 즉 그 노동량은 예컨데 10파운드스털링이라는 가격으로 표시된다. 그러나 그 노동은 그 상품의 가치에 그 가치 이상의 초과분까지를 표시하는 것이 아니다. 즉 11이라는 가격과 같은 크기의 10이라는 가격, 다시 말해서 자신보다 더 큰 가치를 표시하는 것이 아니다. 상품소유자는 자신의 노동으로써 가치를 형성할 수는 있지만 스스로 증식하는 가치를 형성할 수는 없다. 그는 새로운 노동을 통하여 기존의 가치에 새로운 가치를 부가함으로써(예를 들어 가죽으로 장화를 만듦으로써) 한 상품의 가치를 증대시킬 수 있다. 이제는 동일한 소재가 더 큰 노동량을 포함하므로 더 큰 가치를 갖는다. 따라서 장화는 가죽보다 큰 가치가 있지만 가죽의 가치는 처음 그대로이다. 가죽은 자신의 가치를 증식하지도 않았고 장화가 제조되는 과정에서 잉여가치가 부가된 것도 아니다. 유통영역의 외부에서 상품생산자는 다른 상품소유자와 접촉하지 않은 채로는 가치를 증식시키지도 못하고 따라서 화폐 또는 상품을 자본으로 전화시키지도 못한다.
자본은 유통에서 발생할 수도 없고, 또 마찬가지로 유통에서 발생하지 않을 수도 없다. 자본은 유통에서 발생해야 하는 동시에 유통에서 발생해서는 안 된다. (1권 248~249쪽, '제4장 화폐의 자본으로의 전화' 중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