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자본 Ⅰ-1

자본 Ⅰ-1

카를 마르크스 (지은이), 강신준 (옮긴이)
길(도서출판)
4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40,500원 -10% 0원
2,250원
38,2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42개 9,9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자본 Ⅰ-1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자본 Ⅰ-1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서양철학 > 마르크스주의
· ISBN : 9788987671642
· 쪽수 : 688쪽
· 출판일 : 2008-06-10

책 소개

1987년 당시 <자본>은 민주화운동의 연속선상에서 급히 번역해야 할 텍스트였다. 따라서 아직 마르크스 경제학에 대한 체계적인 이해와 연구가 되어 있지 못한 상태에서 출간되었다. 그 후 20여 년간 마르크스 경제학을 전공한 당시 번역자 강신준 교수가 마르크스-엥겔스 저작집에 근거한 독일어 원전 결정판을 내놓았다.

목차

제Ⅰ-1권

해제 9
옮긴이의 말 31
일러두기 40

제1판 서문 43
제2판 후기 50
프랑스어판 서문 62
프랑스어판 후기 64
제3판에 부쳐 66
영어판 서문 70
제4판에 부쳐 76

제1편 상품과 화폐

제1장 상품 87
제1절 상품의 두 요소 : 사용가치와 가치(가치실체.가치크기) 87
제2절 상품에 나타난 노동이 이중성 95
제3절 가치형태 또는 교환가치 103
제4절 상품의 물신적 성격과 그 비밀 133
제2장 교환과정 149
제3장 화폐 또는 상품유통 160
제1절 가치척도 160
제2절 유통수단 171
제3절 화폐 202

제2편 화폐의 자본으로의 전화

제4장 화폐의 자본으로의 전화 225
제1절 자본의 일반적 정식 225
제2절 일반적 정식의 모순 237
제3절 노동력의 구매와 판매 250

제3편 절대적 잉여가치의 생산

제5장 노동과정과 가치증식과정 265
제1절 노동과정 265
제2절 가치증식과정 276
제6장 불변자본과 가변자본 291
제7장 잉여가치율 306
제1절 노동력의 착취도 306
제2절 생산물의 비율 부분에 의한 생산물가치의 표시 316
제3절 시니어의 ‘마지막 1시간’ 320
제4절 잉여생산물 327
제8장 노동일 329
제1절 노동일의 한계 329
제2절 잉여노동에 대한 갈망 ― 공장주와 보야르 334
제3절 착취에 대한 법적 제약이 없는 영국의 여러 산업부문 346
제4절 주간노동과 야간노동 ― 교대제 364
제5절 표준노동일을 위한 투쟁 ― 14세기 중엽부터 17세기 말까지의 노동일 연장을 위한 강제법 374
제6절 표준노동일을 위한 투쟁 ― 노동시간 제한의 법률적 강제. 1833~64년 영국의 공장 입법 391
제7절 표준노동일을 위한 투쟁 ― 영국의 공장입법이 다른 나라에 끼친 영향 417
제9장 잉여가치율과 잉여가치량 424

제4편 상대적 잉여가치의 생산

제10장 상대적 잉여가치의 개념 437
제11장 협업 449
제12장 분업과 매뉴팩처 466
제1절 매뉴팩처의 두 가지 기원 466
제2절 부분노동자와 그의 도구 470
제3절 매뉴팩처의 두 가지 기본형태 ― 이종적 매뉴팩처와 유기적 매뉴팩처 473
제4절 매뉴팩처 내 분업과 사회 내 분업 484
제5절 매뉴팩처의 자본주의적 성격 493
제13장 기계와 대공업 506
제1절 기계의 발달 506
제2절 기계에서 생산물로의 가치 이전 524
제3절 기계제 경영이 노동자에게 끼치는 직접적 영향 533
제4절 공장 565
제5절 노동자와 기계의 투쟁 576
제6절 기계에 의해 쫓겨난 노동자에 관한 보상설 589
제7절 기계제 경영의 발전에 따른 노동자의 축출과 흡수. 면직업공황 601
제8절 대공업에 의한 매뉴팩처.수공업.가내공업의 혁명 615
제9절 공장법(보건과 교육 조항). 영국에서의 일반화 642
제10절 대공업과 농업 671

후주 675

제Ⅰ-2권

제5편 절대적.상대적 잉여가치의 생산

제14장 절대적.상대적 잉여가치의 생산 699
제15장 노동력의 가격과 잉여가치의 양적 변동 713
제1절 노동일의 길이와 노동강도가 불변이고(주어져 있고) 노동생산력이 변하는 경우 714
제2절 노동일의 길이와 노동생산력이 불변인 상태에서 노동강도가 변하는 경우 719
제3절 노동생산력과 노동강도가 불변인 상태에서 노동일의 길이가 변하는 경우 721
제4절 노동의 지속시간, 노동생산력 및 노동강도가 동시에 변하는 경우 722
제16장 잉여가치율에 대한 갖가지 정식 727

제6편 임금

제17장 노동력의 가치 또는 가격의 임금으로의 전화 735
제18장 시간급 745
제19장 성과급 755
제20장 임금의 국가별 차이 766

제7편 자본의 축적과정

제21장 단순재생산 777
제22장 잉여가치의 자본으로의 전화 794
제1절 확대된 규모의 자본주의적 생산과정. 상품생산 소유법칙의 자본주의적 취득법칙으로의 전화 794
제2절 확대된 규모의 재생산에 관한 잘못된 경제학적 견해 806
제3절 잉여가치의 자본과 수입으로의 분할. 절욕설 809
제4절 잉여가치의 자본 및 수입으로의 비례적 분할과는 무관하게 축적규모를 결정하는 여러 요인 820
제5절 이른바 노동기금 833
제23장 자본주의적 축적의 일반 법칙 837
제1절 자본구성이 불변일 때 축적에 따른 노동력 수요의 증가 837
제2절 축적과 그에 수반하는 집적의 진행에서 가변자본 부분의 상대적 감소 848
제3절 상대적 과잉인구 또는 산업예비군의 누진적 생산 856
제4절 상대적 과잉인구의 여러 존재형태. 자본주의적 축적의 일반 법칙 870
제5절 자본주의적 축적의 일반 법칙에 대한 예증 880
제24장 이른바 본원적 축적 961
제1절 본원적 축적의 비밀 961
제2절 농촌 주민으로부터의 토지 수탈 965
제3절 15세기 말 이후의 피수탈자에 대한 피의 입법. 임금인하를 위한 법률 987
제4절 자본주의적 차지농업가의 생성 997
제5절 공업에 대한 농업혁명의 반작용. 산업자본을 위한 국내시장의 형성 1000
제6절 산업자본가의 생성 1005
제7절 자본주의적 축적의 역사적 경향 1020
제25장 근대 식민이론 1024

후주 1038
참고문헌 1042
인명 찾아보기 1086
사항 찾아보기 1118

저자소개

카를 마르크스 (지은이)    정보 더보기
1818년 5월 5일 독일 트리어에서 태어났다. 김나지움을 마치고 1835년에 본 대학에 진학해 법학을 전공했다. 아버지의 압박으로 베를린 대학으로 전학해 철학을 공부했다. 이곳에서 헤겔 철학을 연구하며 청년헤겔파 활동에 적극적으로 나섰다. 진보적 성향이 덜한 예나 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땄다. 1842년 <라인신문>에서 일하기 시작해 편집장이 되었다. 마르크스는 사설을 통해 프로이센 정부와 언론의 검열을 매섭게 비난했다. 그 결과 신문은 이내 폐간됐다. 1843년 프랑스 파리로 이주해 정치경제학과 프랑스혁명의 역사를 연구하기 시작했다. 이때 <경제학·철학 초고> <헤겔의 법철학 비판> 등의 원고를 썼다. 파리에서 프로이센 정부를 비판하는 글을 쓰다가 프랑스에서 추방되어 벨기에 브뤼셀로 이주했다. 이 무렵 <철학의 빈곤> <자유무역에 대하여>의 원고를 썼다. 1847년 파리에 거주하는 독일 출신 노동자를 중심으로 생겨난 조직 ‘정의 동맹’의 요청을 받고 강령에 해당되는 글을 작성했다. 바로 <공산당 선언>이다. 프랑스를 시작으로 유럽 전역에서 혁명이 일어나자 파리로 잠시 피신했다가 쾰른으로 돌아갔다. <신라인신문>으로 이름을 바꾸고 신문을 재발행하기 시작했다. <임금노동과 자본>은 노동자를 일깨우기 위한 글로, 이 신문에 다섯 편으로 나뉘어 실렸다. 정부 탄압을 받던 <신라인신문>은 이내 기소당해 마르크스는 추방 명령을 받고 영국 런던으로 망명했다. 이곳에서 어려운 생계를 꾸리며 경제학을 연구했다. 1851년 유럽 특파원으로서 영국을 비롯한 유럽 각국의 사정을 분석하는 기사와 사설을 기고하기 시작했다. 이후 몇 년간 <정치경제학 비판 요강> <정치경제학 비판> 등을 집필했다. 49세 되던 해에 《자본》이 출간됐다. 프랑스 파리에서 최초의 사회주의 자치정부인 파리 코뮌이 수립됐으나, 정부군 진압과 학살로 무너졌다. 마르크스는 파리 코뮌의 기록과 의의를 적은 《프랑스 내전》을 썼다. 국제노동자연맹을 이끌며 아나키스트파와 내분을 겪기도 하고, 독일사회주의 노동자당의 강령을 비판하는 등 사회적 활동을 이어 갔다. 1883년 3월, 엥겔스가 잠시 자리를 비운 새 조용히 세상을 떠났다.
펼치기
강신준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54년 경남 진해에서 태어나 고려대 독어독문학과를 졸업했다. 같은 대학교 대학원에서 경제학을 전공해 1991년 「독일 사회주의 운동과 농업문제」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독일 프랑크푸르트 대학에서 독일 노동운동사를 연구했으며, 「베른슈타인 수정주의에 대한 새로운 이해」, 「독일 노동자 조직의 역사적 발전과정」, 「맑스 혁명주의의 실천적 유산」, 「4·19혁명 시기 노동운동과 노동쟁의의 성격」, 「기업별 협약의 산업별 협약으로의 이행 방안」 등의 논문을 발표했다. 저서로 『수정주의 연구 1』(이론과실천, 1991), 『자본의 이해』(이론과실천, 1994), 『노동의 임금교섭』(이론과실천, 1998), 『자본론의 세계』(풀빛, 2001), 『한국노동운동사 4』(공저, 지식마당, 2004), 『그들의 경제 우리들의 경제학』(도서출판 길, 2010), 『마르크스의 자본, 판도라의 상자를 열다』(사계절, 2012), 『오늘 '자본'을 읽다』(도서출판 길, 2014), 『공부의 신 마르크스 돈을 연구하다』(나무를 심는 사람들, 2014), 『수취인 자본주의 마르크스가 보낸 편지』(풀빛, 2016) 등이 있으며, 역서로는 『자주관리제도』(풀빛, 1984), 『마르크스냐 베버냐』(공역, 홍성사, 1984), 『자본 2·3』(이론과실천, 1988), 『사회주의의 전제와 사민당의 과제』(한길사, 1999), 『프롤레타리아 독재』(한길사, 2006), 『자본』(전5권, 도서출판 길, 2008~10), 『데이비드 하비의 맑스 '자본' 강의 1·2』(창비, 2011/2016), 『맑스를 읽다』(공역, 창비, 2014), 『마르크스의 『자본』 탄생의 역사』(도서출판 길, 2016), 『임금에 대하여』(도서출판 길, 2019), MEGA 제2부 제3권 제2분책인 『경제학 비판을 위하여 1861-63년 초고 제2분책. 잉여가치론 1』(도서출판 길, 2021) 등이 있다. 동아대 경제학과 교수로 있었으며, 같은 대학의 특임교수로 동아대 맑스엥겔스연구소 초대 소장을 맡았다.
펼치기

책속에서

잉여가치는 유통에서 발생할 수 없는 것이므로, 그것이 만들어지려면 유통 내에서는 볼 수 없는 무엇인가가 유통의 배후에서 일어나야만 한다. 그러나 잉여가치가 유통에서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면 외부의 어디에서 발생할 수 있겠는가? 유통이란 것은 상품소유자들의 모든 상호관계의 총체이다. 유통의 외부에서는 상품소유자는 오로지 자신의 상품하고만 관계할 뿐이다. 상품가치와 관련하여 이 관계는 그 상품이 일정한 사회적 법칙들에 따라 측정된 상품소유자 자신의 노동량을 포함하고 있다는 데에 국한된다. 이 노동량은 그 상품의 가치크기로 표현되며 가치크기는 계산화폐로 표시된다. 즉 그 노동량은 예컨데 10파운드스털링이라는 가격으로 표시된다. 그러나 그 노동은 그 상품의 가치에 그 가치 이상의 초과분까지를 표시하는 것이 아니다. 즉 11이라는 가격과 같은 크기의 10이라는 가격, 다시 말해서 자신보다 더 큰 가치를 표시하는 것이 아니다. 상품소유자는 자신의 노동으로써 가치를 형성할 수는 있지만 스스로 증식하는 가치를 형성할 수는 없다. 그는 새로운 노동을 통하여 기존의 가치에 새로운 가치를 부가함으로써(예를 들어 가죽으로 장화를 만듦으로써) 한 상품의 가치를 증대시킬 수 있다. 이제는 동일한 소재가 더 큰 노동량을 포함하므로 더 큰 가치를 갖는다. 따라서 장화는 가죽보다 큰 가치가 있지만 가죽의 가치는 처음 그대로이다. 가죽은 자신의 가치를 증식하지도 않았고 장화가 제조되는 과정에서 잉여가치가 부가된 것도 아니다. 유통영역의 외부에서 상품생산자는 다른 상품소유자와 접촉하지 않은 채로는 가치를 증식시키지도 못하고 따라서 화폐 또는 상품을 자본으로 전화시키지도 못한다.
자본은 유통에서 발생할 수도 없고, 또 마찬가지로 유통에서 발생하지 않을 수도 없다. 자본은 유통에서 발생해야 하는 동시에 유통에서 발생해서는 안 된다. (1권 248~249쪽, '제4장 화폐의 자본으로의 전화'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