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한국문학론 > 한국비평론
· ISBN : 9788988537145
· 쪽수 : 344쪽
· 출판일 : 2000-09-20
책 소개
목차
김현 비평과 근대성의 모험
1. 김현에 대하여
2. 김현 비평의 발생적 배경에 대한 검토
3. 김현의 문학관과 현실인식
4. 주체 정립의 계기로서의 비평적 실천
5. 김현 비평의 현재적 의의와 그 파장
6. 결론 - 완성으로서의 일원론 혹은 문학적 초월
김윤식 비평에 나타난 '현해탄 콤플렉스' 비판
1. 머리말
2. 타자의 설정 : 자기 정립으로서의 대결 의식
3.. 타자에의 동화 : '현해탄 콤플렉스'의 내면화
4. 맺음말
백낙청 초기 비평의 성과와 한계
1. 문제제기
2. 당대 한국사회 및 문학에 대한 비판적 인식
3. 실천하는 역사의 주동으로서의 <창작과 비평>
4. 맺는 말 : 백낙청 초기 비평의 성과와 한계
카프 해산 직후 임화 비평에 나타난 '주체재건' 의 양상에 대한 고찰
1. 서론
2. '주체재건' 의 양상(A): '낭만정신'의 인식론적 합의
3. '주체재건' 의 양상(B): '세계관 - 창작방법'의 관계 설정
4. 결론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학문의 초입에 있는 사람이, 또한 비평의 말석에 있는 사람이 우리 근대문학 연구의 중추적 역할을 하고 있는 선배학자를, 또 평단의 가장 중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고 현재에도 거침없이 현장비평을 수행하고 있는 선배비평가를 비판할 때, 상당한 심리적 부담감이 동반되는 것임에 틀림없다.
또한 우리 사회처럼, 두드러지게 '장유유서'의 관행이 철저하게 준수되고 있는 곳에서, 이러한 작업은 자칫 '치기' 혹은 '객기' 의 산물로 오해될 수 있는 것이 현실적 상황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러한 작업이 우리 학계 및 비평계에 건전한 지성의 통풍이 될 수 있는 단 1%의 가능성이라도 존재한다면, 혹 그러한 가능성이 절망적일 정도로 존재하지 않는다고 했을지라도, 누군가는 묵묵히 이 일을 해나갔을 것으로 나는 믿고 있다. - 본문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