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비평/칼럼 > 한국사회비평/칼럼
· ISBN : 9788988791721
· 쪽수 : 306쪽
· 출판일 : 2001-08-31
책 소개
목차
제1부 시민사회와 시민운동의 새로운 담론을 찾아서
1. 신사회운동이란 무엇인가
2. 위르겐 하버마스: 생활세계의 식민화와 신사회운동
3. 앤서니 기든스: 삶의 정치와 신사회운동
4. 임마누엘 월러스틴: 자본주의 세계체제와 반체제운동
5. 알랭 투렌: 프로그램화된 사회와 신사회운동
6. 미셸 푸코: '정치적인 것'에 대한 새로운 성찰
7. 라클라우와 무프: 급진민주주의와 신사회운동
8. 정보사회와 시민운동
9. 신사회운동과 한국의 시민운동
10. 시민운동과 정당정치
제2부 시민사회와 NGO에 관한 20개의 짧은 이야기
1. 21세기의 화두(話頭), 참여민주주의
2. 비판시민사회론이란 무엇인가
3. 낙선운동과 한국 민주주의 (I): 공천개혁, 아직 시간 있다
4. 낙선운동과 한국 민주주의 (II): 시민불복종은 정당하다
5. 다시 보는 NGO (I): 비정부조직, 그 빛과 그늘
6. 다시 보는 NGO (II): '시민 없는 시민운동' 재론
7. 다시 보는 NGO (III): 시민단체 모금규제 완화하라
8. 역사의 진정한 주인공, 풀뿌리 시민사회
9. 공동체운동, 상생(相生)의 삶을 위하여
10. 인터넷과 시민운동
11. 위기의 중산층, 어떻게 할 것인가
12. 지역주의, 시민사회의 일그러진 자화상
13. 민족국가는 몰락하는가
14. 정보사회와 직업구조의 변동
15. 인간적인 삶을 위한 교육개혁
16. 환경위기, 이대로 둘 것인가
17. 대학문화에 관한 두 개의 단상
18. 역사와 사회, 그리고 잊을 수 없는 사람들
19. 시민사회와 시민문화의 풍경 (I)
20. 시민사회와 시민문화의 풍경 (II)
제3부 시민사회와 시민운동을 어떻게 볼 것인가
1. 시민사회 논쟁의 회고와 전망
2. 국가-시장-시민사회의 갈등과 공존
3. 낙선운동과 시민운동의 정치적 과제
4. 시민문화의 민주화를 위하여
5. '제3의 길'은 누구를 위한 패러다임인가
6. 세계화에 반대하는 행동대, NGO
제4부 세계화, 시민사회, NGO에 관한 책읽기
1. 인간과 자연이 이루는 공동체 삶
2. 한국 사회운동의 과제와 전망
3. 동아시아의 자본주의와 민주주의
4. 시민운동론에서 NGO학으로
5. 모더니티에 대한 사회학적 성찰
6. 문제는 경제민주주의다
7. 세계화를 읽는 두 개의 시각
8. 시민사회론의 새로운 혁신을 위하여
대담: 질주하는 세계-세계화와 국민국가의 미래
저자소개
책속에서
과연 지식인이란 무엇일까요. 제 전공인 현대사회이론을 잠시 빌려 이야기해 보면, 기본적으로 저는 만하임이 말하는 '자유부동하는 지식인'이란 주장을 믿지 않습니다. 인간이 사회적 존재인 한, 그 사회적 구속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는 가정은 기실 허구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오히려 이 주장은 지식인의 무책임한 말의 자유를 옹호하는 논리로 악용되어 온 감이 없지 않습니다.
하지만 문제가 간단치 않은 것은, 그렇다고 해서 말의 자유를 일방적으로 부정하는 것 또한 옳지 않다는 점입니다. 결코 동의하지 않더라도 타자의 견해를 승인하는 관용의 정신은 담론의 윤리이자 민주주의의 문화적 초석(礎石)이기 때문입니다.
요컨대, 지식인이란 다양한 이익들이 교차하는 시민사회와 공공영역에서 말과 권력의 관계를 성찰하는 존재이며, 담론의 그러한 사회적 조건을 해부하는 것이야말로 지식인의 역할이라고 저는 생각하고 있습니다. 이 책에 실린 글들은 바로 이런 생각을 바탕으로 쓰여진 것들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