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정보통신 역사 기행

정보통신 역사 기행

(편지에서 인터넷까지 IT강국 한국의)

이기열 (지은이)
북스토리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21개 2,8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정보통신 역사 기행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정보통신 역사 기행 (편지에서 인터넷까지 IT강국 한국의)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사 일반
· ISBN : 9788989675693
· 쪽수 : 320쪽
· 출판일 : 2006-10-16

책 소개

우리나라 정보통신 125년의 역사에서 주요 사건과 인물 중 33편을 골라 이면사 중심으로 정리한 정보통신 분야의 역사 기행이다. 우편과 전신, 전화로 시작해 텔렉스와 데이터통신을 거쳐 인터넷에 이르는 정보통신의 발달 과정을 한 눈에 볼 수 있다.

목차

제1부 정보통신의 뿌리
우편의 창시자, 홍영식
정보통신산업의 뿌리
문위우표 엔타이어는 어디 있을까
서로전선.남로전선.북로전선
다리풍.덕률풍.어화통.전어기…
100년 전 우체국장은 불어 하는 인텔리
클레망세와 미륜사
황준헌의 '조선책략'과 정관응의 '이언'
우무학당.체신학교.정보통신대학교…
한국 최초로 인연 맺은 국제기구, UPU
우정총국에서 정보통신부까지

제2부 청색전화와 백색전화
교통체신부냐 체신부냐
남북우편물, 언제 다시 교환될까
체신문화협회 설립과 '체신문화' 발간
'우편국'이 '우체국'으로 바뀐 사연
6.25와 군사우체국
'정보통신의 날' 유감
전환기시대 체신부의 기둥, 최재호
1면1국주의와 별정우체국
우편번호제 실시와 우편작업 기계화
죽었다 되살아난 체신금융사업
등기우편물 애용과 우편취급소
청색전화와 백색전화

제3부 인터넷 시대가 열리다
전자교환기 도입과 김재익
ITU 보고서
한국통신(KT) 설립 비사
데이콤 설립과 정보통신시대 개막
전자교환기 개발과 오명
TDX개발단과 TDX사업단
CDMA 개발과 윤동윤
통신시장 개방과 제2이동통신사업자 선정
전자통신연구원과 정보통신정책연구원
한국 최초의 인터넷, SDN

저자소개

이기열 (지은이)    정보 더보기
30년 가까운 세월 월간 『정보와통신』(예전의 ‘체신‘)지 편집장으로 일하며 도약 연대의 정보통신의 발전상을 지켜보았다. 1995년, 1980년대의 정보통신 발전 비사인 『소리 없는 혁명』을 집필하면서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이후 『안방에서 노다지 캐낸 농어촌 벤처사업가 30인』, 『내가 간 길은 내가 처음 간 길이었다』, 『미션이 있어야 커미션이 있다』, 소설 『천지인』(전 3권), 『정보통신 역사 기행』, 『퀀텀 점프』, 『아내의 여행』, 『일화로 보는 우편 130년』(1, 2권) 등 논픽션 위주의 작품을 발표했다. 그 밖에 『한국우정 130년사』, 『별정우체국 50년사』, 『우편취급국 30년사』 등 우편 관련 역사서도 집필했다.
펼치기

책속에서

1900년 1월 1일 국제우편 업무를 실시함으로써 우리나라도 UPU의 완전한 회원국이 될 수 있었다. 그리하여 그 해 7월 스위스 베른에서 개최된 UPU 창립 25주년 기념 임시총회에 스위스 정부의 초청을 받아 참석할 수 있었다. … 그러나 1905년 이후에는 대한제국의 통신권과 외교권을 일본에 빼앗겼으므로 UPU 회원국 자격도 상실되었다. 이처럼 우리나라 최초로 가입한 국제기구와의 인연은 기구한 것이었다. - 본문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