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비평/칼럼 > 한국사회비평/칼럼
· ISBN : 9788989763987
· 쪽수 : 296쪽
· 출판일 : 2014-05-07
책 소개
목차
책머리에
1 대통령이 문제다
박정희와 군사문화에서 벗어나라 | 2013.05.16
역사의 수레바퀴 거꾸로 돌리는 대통령 | 2013.09.02
민주주의 할 건가 말 건가, 그것이 알고 싶다 | 2013.09.16
박근혜 대통령, 정치正治를 하세요 | 2013.09.30
정치가 문제? 대통령이 문제다 | 2013.10.23
민주주의 골병 외면하는 대통령 | 2013.11.06
말 따로 행동 따로… 시정연설의 진정성 | 2013.11.19
생각 바뀌지 않으면 나라가 불행해진다 | 2013.12.05
거국내각 구성하고 MB, 법정에 세우라 | 2013.12.11
남재준 애국심의 현주소 | 2013.12.26
민주화 회복, 나라 정상화의 핵심 명제 | 2014.01.08
회복되지 않는 박정희 씨의 명예 | 2014.01.21
이상한 검찰, 이상한 대통령 | 2014.03.03
박 대통령, 스스로를 묶은 규제부터 풀라 | 2014.03.17
대선 부정 추궁, 왜 엿 바꿔 먹었나 | 2014.02.10
2 사이비 전성시대
언론 파업 대란, 박근혜는 왜 입 다무나 | 2012.04.30
MB, 제발 그냥 가만히 있어주면 안 되나 | 2012.08.20
불순한 정치·언론권력이 언론을 악용한다 | 2012.10.09
이명박·박근혜 대통령의 본모습 | 2013.03.18
윤창중 취업이 몰고 온 사이비 전성시대 | 2013.04.08
이스라엘은 왜 북한에 퍼주려 했나 | 2013.04.29
5·18 폭동과 홍어·좌빨의 비극 | 2013.06.03
‘결사옹위’와 ‘이른바 언론’의 비극 | 2013.07.22
대운하 수비수 국토부, 강물은 흐르게 하라! | 2013.08.12
믿는 구석 있으면 죄짓고도 뻔뻔해지는 나라 | 2013.08.21
죄 있거나 지탄받아야 벼슬하는 나라 | 2013.10.14
적반하장 사회 구현으로 가는가 | 2013.11.11
재판과 개판 사이 | 2014.02.17
3 불행한 유산, 박정희
‘종북 좌빨 망국론’ 간판 걸고 대선 치를래? | 2012.06.05
육사 생도들, 전두환 그 대목도 존경했나 | 2012.06.20
박근혜, 유신의 한복판에서 젊음을 불태웠다 | 2012.07.04
박정희의 상습 쿠데타 기획 | 2012.07.16
박근혜, 군사문화 대물림 받았나 | 2012.08.06
박정희대학원, ‘박정희’ 이름은 빼라 | 2012.08.30
어린 백셩 속여먹기… 유신도 그랬다 | 2012.09.10
박근혜, 무릎을 꿇어라. 아버지를 위해 | 2012.09.13
그 무덤에 침을 뱉어라 | 2012.09.18
박정희의 권력욕이 문제다 | 2012.09.28
저자소개
책속에서
그러나 마음 한켠에 우리가 지난 수십 년간 피와 땀으로 이룩한 민주주의 그 자체에 대한 의문이 고개를 드는 것도 어쩔 수 없다. 이렇게 허약한 민주주의였던가. 국가 공권력이 특정 후보를 위해 대규모 여론 조작에 나서고, 언론이 제 역할을 하지 못하는 상황이었다는 점을 모르지 않지만 우리가 이렇게 허무하게 ‘민주주의의 성’을 포기하고 마는 시민들이었다는 것인가. 지난 선거는 많은 이들에게 좌절감을 안겨준 선거였고, 오늘의 현실은 그 고통스런 느낌이 공연한 것은 아니었음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한때는 이 나라 정치판에서 ‘원칙’과 ‘신뢰’의 대명사처럼 인식되던 게 정치인 박근혜의 이미지였다. 특히 세종시 수정안을 놓고 논쟁이 뜨겁던 때 박근혜 의원의 한마디는 천근의 무게로 이 나라 정치판을 평정했었다. “정치가 대화와 타협을 통해 미래로 가려면 약속은 반드시 지킨다는 신뢰가 있어야 한다. 그것이 깨진다면 끝없는 뒤집기와 분열이 반복될 것이다.” 그렇게 일갈했다. 그러나 박근혜표 원칙과 신뢰는 그녀가 대통령이 되면서 사실상 풍비박산한 것으로 보인다. 그 자리에 ‘약속 뒤집기’와 ‘불신 조장’과 ‘이른바 언론’들과의 ‘정치공작’까지 자리를 잡은 듯하다.
미래로 가려면 신뢰가 있어야 한다던 그녀는 지금 역사의 수레바퀴를 거꾸로 돌리며 ‘과거’로 가고 있다. 자상하게 보고 받고, 자상하게 수첩에 적고, 자상하게 지시하는 자상한 대통령이면서, 그래서 몰랐을 리 없는 일도 그녀는 태연히 몰랐다 하기도 하고, 직접 국민들을 향해 말하는 것까지 회피하고 있다. 정정당당한 바른 정치를 싫어하는 것으로 보인다.
대선 개입이라는 분탕질을 감싸고 가려주려는 ‘이른바 언론’의 피나는 노력은 누가 봐도 눈물겨웠다. 조중동을 비롯한 대부분의 신문들과 그 수많은 방송들이 여권의 당·정·청과 합세해 총력전을 펼쳤다. 나쁜 것을 나쁘다 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나라를 걱정하는 수많은 지성인들과 시민단체·학생들의 대선 개입 규탄 성명이나 ‘촛불’도 도대체가 눈에 띄지 않았다. 사실도 아닌 NLL 포기 발언 쪽으로 죽기 살기로 여론을 몰아갔다.
제 역할 못하는 언론은 이미 언론이 아니다. 언론이라고 불릴 뿐이다. 따라서 적합한 이름표를 붙여줄 필요가 있다. 그래서 ‘이른바 언론’이란 이름표를 붙였다. 한마디로 ‘이른바 언론’들의 작태는 국정원이나 경찰의 분탕질 못지않은 분탕질이었다. ‘이른바 언론’ 외에도 최근 분탕질을 덮어주고 감싸려 한 모든 기관의 행태가 더 나쁜 분탕질이다.
희한하다고 생각하는 건 박근혜 대통령의 언행이다. 대통령은 국민과의 소통을 대단히 두려워하는 듯하다. 국민 앞에 직접 나서려 하지 않는다. 잘못된 일이다 싶으면 솔직하게 나서서 직접 사과하는 게 옳다. 그걸 피한다. 윤창중 씨 사건 때도 대통령은 수석비서관 회의에서 그들의 얼굴을 바라보며 대국민 사과문을 읽었다. 국정원 대선 개입 사건도 바로 나서서 국민들에게 입장을 밝히고 잘잘못을 철저히 가리도록 조치해야 했다.
거의 한평생을 한눈파는 데 일로매진해온 국정원에 대해서도 “국정원이 알아서 자체 개혁하라” 할 일이 아니었다. 그게 되는 일이 아니다. 국가 기밀인 대화록을 공개한 국정원장을 바로 해임하고 국민의 양해를 구하면서 새로운 국정원의 모습을 그려 내놓아야 했다. 그런 게 대통령이 할 일이다. 구름 위에서 간접화법으로 선문답을 할 일이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