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역사학 > 역사학 일반
· ISBN : 9788989824329
· 쪽수 : 440쪽
· 출판일 : 2005-04-01
책 소개
목차
서문
1장 이론적 틀
1. 거시사_ 거대한 공간, 거대한 시간, 거대한 주제
2. 작은 거시사는 왜 존재하는가?
3. 거시사가는 어떤 사람인가?
2장 20인의 거시사가
1. 사마천_ 덕의 순환
2. 아우구스티누스_ 영원으로 흐르는 강
3. 이븐 할둔_ 아사비야의 강화와 약화
4. 잠바티스타 비코_ 야만과 섭리
5. 애덤 스미스_ 자기애와 타인에 대한 사랑
6. 게오르크 빌헬름 프리드리히 헤겔_ 변증법과 세계정신
7. 오귀스트 콩트_ 3단계 법칙
8. 카를 마르크스_ 기술-경제 단계
9. 허버트 스펜서_ 진보와 진화
10. 빌프레도 파레토_ 깨지지 않는 사이클
11. 막스 베버_ 상호작용으로서의 역사, 합리화와 카리스마의 이분법
12. 루돌프 슈타이너_ 해방과 자유를 향한 발전으로서의 역사
13. 오스발트 슈펭글러_ 문화의 성숙과 부패
14. 피에르 테야르 드 샤르댕_ 보편적 인격화
15. 피티림 소로킨_ 한계의 원리
16. 아널드 토인비_ 도전과 응전
17. 안토니오 그람시_ 헤게모니와 유물론적 역사개념
18. 프라바트 라이니안 사르카르_ 행위자, 구조, 초월
19. 라이앤 아이슬러_ 지배자 모델에서 동반자 모델로의 전환
20. 우주적 가이아_ 호메오스타시스과 지구의 진화
3장 거시사가들의 비교
거시사이론을 향하여
1. 에피스테메와 맥락
2. 변화의 원인과 메커니즘
3. 거시사의 단계와 패턴
4. 형이상학적 선택과 초월적 존재의 역할
5. 분석단위
6. 시간의 메타포
7. 선구자의 역할
8. 역사이론으로부터의 출구
9. 거시사와 미래
10. 역사서술에 대한 관점
결론
4장 절충주의를 향하여
1. 20인의 거시사가와 20개의 원동력
2. 거시사가 10인의 시너지 탐구
3. 다른 10인의 거시사가들
4. 선형이론 대 순환이론
5. 서로에게 배우는 거시사가들
5장 사회거시사 : 개인미시사의 메타포
1. 개인전기로서의 미시사_ 개인적 라이프사이클의 단계
2. 사회전기로서의 거시사_ 사회적 라이프사이클의 단계
3. 서로의 메타포가 되는 미시사와 거시사
4. 이소모피즘의 한계
6장 사회거시사 : 세계거시사의 메타포
1. 거시사가 20인이 보는 세계
2. 안티거시사가 호세 오르테가 이 가세트
3. 미래를 위한 암시들
부록 A 거시사가 20인의 핵심 사상
부록 B 그림으로 표현한 거시사이론
주 / 참고문헌 / 찾아보기
책속에서
할둔은 배울 수 있다
슈펭글러에게서 문화가 대중문명에 의해 대체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소로킨에게서 도시화가 지나치게 유물론적이라는 것을
토인비에게서 엘리트가 다룰 수 있는 것에는 한계가 있다는 것을
사르카르에게서 어떤 바르나도 그 길을 따라간다는 것을
스미스에게서 개인의 사업을 키우고 축적하는 법을
콩트에게서 경험적 법칙을 발견하여 그에 따라 행동하는 법을
스펜서에게서 보다 분화된 사회를 만드는 법을
마르크스에게서 진정한 변화는 내적 변증법을 통해서만 가능하다는 사실을
베버에게서 성장 지향 문화로 변화하는 법을
마르크스는 가르칠 수 있다
슈펭글러에게 지배 문화는 지배 계급의 문화라는 것을
토인비에게 자본주의 체제는 과도한 도전을 만들어내리라는 것을
사르카르에게 경제 권력 관계는 문화 권력과 군사 권력을 지배한다는 것을
콩트에게 인식론은 변화를 원하는지의 여부에 달려 있다는 것을
스펜서에게 손발이 두뇌에 반란을 일으킬 수 있다는 것을
베버에게 합리성은 추상적인 것이 아니라 계급 입장에 달려 있다는 것을
- 본문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