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테마로 보는 역사 > 교류/관계사
· ISBN : 9788990048400
· 쪽수 : 456쪽
· 출판일 : 2005-01-31
책 소개
목차
서문 및 감사의 글
한국어판 서문
지도:호보다이어의 등적 투영도
01 서양에 대한 유럽 중심적 신화에 반대한다 : 동양적 서양의 발견
제1부 선구적 개발자로서 동양 : 500~1800년에 세계화를 통해 세계를 발견하고 주도한 동양
02 이슬람과 아프리카의 선구자들 : 아프로-아시아 시대에 세계의 다리와 경제 구축, 500~1500년
03 중국의 개척자들 : 최초의 산업적 기적과 중국의 고립주의에 관한 신화, 1000~1800년
04 동양은 아직도 우월하다 : 인도?동남아?일본에 관한 동양적 전제주의와 고립주의의 두 신화, 1400~1800년
제2부 서양은 꼴찌였다 : 동양의 세계화와 기독교 왕국의 형성, 500~1498년
05 기독교 왕국의 형성과 유럽 봉건주의의 동양적 기원, 500~1000년
06 이탈리아가 선구자라는 신화, 1000~1492년
07 바스코 다 가마가 이룬 신기원의 신화, 1498~1800년
제3부 뒤늦은 개발자 유럽과 후진성의 이점 : 동양의 세계화와 진보한 서양으로서 서유럽의 부흥, 1492~1850년
08 1492년의 신화와 아메리카 대륙의 불가능성 : 동서양의 격차 해소에 기여한 아프로-아시아인, 1492~1700년
09 영국 산업혁명의 중국 기원 : 모방적인 후진국, 1700~1846년
10 유럽의 민족 정체성 형성과 세계의 창조, 1700~1850년 : 도덕적 사명감으로서 제국적 문명화사업
11 영국 산업화의 이면과 불간섭주의의 신화 : 전쟁, 인종 차별적 제국주의, 그리고 산업화의 아프로-아시아적 기원
제4부 결론 동양적 서양과 서양에 대한 유럽 중심적 신화
12 서양의 합리적 자유민주주의 국가와 동서양의 대분할에 관한 두 신화, 1500~1900년
13 동양적 서양의 발흥 정체성.주체, 세계 구조와 우연성
옮긴이의 글
주
찾아보기
책속에서
이 책 역시 동양(500-1800년 사이에는 서양보다 더 발전했다)이 현대 서양 문명의 발흥을 가능하게 한 중추적인 역할을 했다고 주장한다. 이것이 내가 자발적이거나 잠재적인 서양의 개념을 동양적 서양이라는 개념으로 바꾸고자 하는 이유다.
동양은 전파와 동화 그리고 도용이라는 두 가지 주요한 과정을 통해 서양의 발흥에 깊은 영향을 미쳤다. 첫째, 동양인은 500년 이후 세계 경제와 세계적 통신망을 구축했다. 이에 따라 더 발전한 동양의 '자원목록'(이를테면 동양의 사상, 제도, 기술)'이 서양으로 전파되었고, 특히 유럽은 내가 말하는 동양적 세계화 과정을 통해 순차적으로 동화되었다.
둘째, 1492년 이후 유럽인은 제국주의를 무기로 서양의 발흥을 가져온 동양의 모든 경제적 자원을 동원했다. 서양은 동양의 도움 없이 자발적으로 발전하지 못했다. 다시 말해 동양의 도움 없이 서양의 발흥은 불가능했다. 이 책의 목적은 내가 말하는 동양적 서양의 발흥에 동양이 기여했다는 다양한 증거들을 추적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