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환경/생태문제 > 환경학 일반
· ISBN : 9788990274892
· 쪽수 : 408쪽
· 출판일 : 2022-01-21
책 소개
목차
엮은이의 말
초판 서문
Ⅰ
생명의 문화를 위하여
변화는 나 자신부터
두려운 것은 가난이 아니다
뿌린 대로 거둔다
‘지속 가능한 개발’ 논리의 허구
생명의 그물
농촌공동체의 재건이 급선무이다
선거와 풀뿌리 주권의 회복
世界는 하나의 꽃
욕망의 교육
핵과 자동차, 그리고 쓰레기
쌀 문화의 종언
희망을 위한 싸움 ― 자동차에서 자전거로
생산력이 아니라 공생의 윤리를
시골학교의 폐쇄가 뜻하는 것
삼풍백화점 붕괴를 보며
컴퓨터기술, 구원인가 저주인가
‘고르게 가난한 사회’를 향하여
어떤 寓話
살생으로 유지되는 경제
IMF 사태에 직면하여
기술의학 체제를 넘어서
물신주의와 생명공학
연대의 그물을 위해서
9·11 테러와 ‘미국식 생활방식’
월드컵 경기와 공동체
‘선진국’이란 과연 무엇인가
해방 60년, 우리는 과연 성공했는가
‘수돗물불소화’를 우려하는 발행인의 편지
‘국익’ 논리의 함정
한미FTA와 민주주의의 위기
사상누각의 꿈 ― 한미FTA가 가져올 재앙
Ⅱ
용산 참사가 알려주는 진실
민주주의를 위하여(1)
민주주의를 위하여(2)
지식인과 자유의 실천
방사능과 상상력
좋은 사회는 어떻게 가능할까
합리적 정치를 고대하며
후쿠시마의 거짓말
국가와 민중의 삶
라틴아메리카에 주목하는 이유
탈근대적 세계를 안내하는 논리
원점에서 생각하는 민주정치
해방 70년, 비틀거리며 온 길
미국과 쿠바의 민주주의
시민의회를 생각한다
‘촛불정부’가 나아갈 길
시민주권시대를 향하여
세계가 풀어야 할 긴급한 과제
‘침략의 근대화’를 되돌아보며
안보논리를 넘어서 평화체제로
한반도의 비핵화와 녹색화
기후변화와 농(農)적 삶
농경적 감수성이 쇠퇴할 때
침로를 잃은 민주정부, 어디로 갈 것인가
‘도덕적 경제’를 새로운 삶의 원리로
기후위기 시대의 민주주의
코로나 환란, 공생의 윤리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기후변화, 피크오일, 식량위기, 그로 인한 필연적인 세계경제의 붕괴라는 가공할 전망 앞에서 지금 우리가 살고 있는 세계는 급속히 파국의 소용돌이로 빠져들고 있다. 이 세계는 이미 10년 전, 20년 전의 상황과도 다르다. 이미 우리가 탄 배가 빙산에 부딪치는 것을 더이상 막을 수 있는 방도는 사라졌는지도 모른다. 이런 상황에서 사회적 격차와 권력의 독과점은 날로 심화되고, 교육의 실패는 돌이킬 수 없는 수준에 이르렀으며, 민주주의는 후퇴를 거듭하고 있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인간다운 덕성과 자질을 뿌리로부터 부정하는 물신주의(物神主義)의 일방적인 위세 속에서 걷잡을 수 없이 망가지는 인간관계, 그에 따른 인간성의 황폐화 …. ‘근대의 어둠’은 훨씬 더 깊어졌다고 할 수밖에 없다.
이 책에 수록된 글들 하나하나를 나는 절박한 위기감 속에서 썼다.
나는 이 책이 나와 비슷한 마음으로 살아가는 내 이웃들에게 약간의 위로가 되고, 나아가서 그들을 서로 연결해주는 작은 끈이 된다면 더 바랄 것이 없겠다는 생각으로 책을 묶었다.”
―머리말 중에서
“역사가 가르쳐주는 것은, 역병의 창궐이라는 상황에서 사람들이 어떻게 반응하느냐에 따라 문명의 흥망이 결정된다는 사실이다. 그러므로 중요한 것은, 이 상황의 본질과 성격을 먼저 정확히 이해하고 평가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지금 많은 사람들은 정상적인 생활로의 복귀를 고대하며, 백신이나 치료제의 조기 개발이 급선무라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종래의 생활이 과연 ‘정상적’인 생활이었는지 우리는 냉정하게 물어볼 필요가 있다. … 우리가 가야 하는 길은 하나밖에 없음이 분명하다. 즉, 더이상 생태계에 훼손을 끼쳐서 결과적으로 인간생존의 기초를 스스로 무너뜨리는 어리석음을 되풀이함이 없이 인간다운 생존·생활이 가능한 시스템을 구축하는 길밖에 없는 것이다. 그러니까 아직도 우리들 대다수가 미련을 버리지 못하고 붙들려 있는 신화, 즉 새로운 과학기술의 개발을 통한 끝없는 성장(혹은 진보)의 추구라는 관념과 깨끗이 결별하는 게 진짜 급선무라고 할 수 있다.
중요한 것은 ‘진보’가 아니라 인간다운 ‘생존·생활’이다. 우리는 이 점을 절대로 잊지 말아야 한다. 우리를 구제하는 것은 ‘사회적 거리두기’도 마스크도 손씻기도 아니다. … 우리의 정신적·육체적 건강의 첫째 조건은 타자들―사람을 포함한 뭇 중생들―과의 평화로운 공생의 삶이다. 그리고 공생을 위한 필수적인 덕목은 단순 소박한 형태의 삶을 적극 껴안으려는 의지(혹은 급진적 욕망)이다.
내 목소리부터 낮춰야 새들의 노래도, 벌레들의 소리도 들린다. 그래야만 풀들의 웃음과 울음도 들리고, 세상이 진실로 풍요로워진다. 이 세상에서 가장 무서운 바이러스는, 공생의 윤리를 부정하는, 그리하여 우리 모두의 면역력을 끊임없이 갉아먹는 ‘탐욕’이라는 바이러스다.”
― 본문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