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문화사
· ISBN : 9788990429520
· 쪽수 : 600쪽
· 출판일 : 2006-09-11
책 소개
목차
옮긴이의 글 - 담배라는 창으로 본 인류의 역사와 문화
들어가며 - 매혹의 향기, 세상을 사로잡다
제1부 흡연의 역사와 문화
고대 마야 의식의 필수품
담배의 찬반 논쟁으로 뜨거운 근세 영국
아프리카 남성들의 특권, 흡연
국민적 상품으로 자리 잡은 이란의 담배
아유르베다 의학의 연기 이용법
담배와 다도가 만나다
담배, 중국 대륙을 사로잡다
에도의 유흥가 요시와라의 필수품, 담배
담배를 위한 디자인과 예술
아편의 아름다운 시대
빅토리아 시대의 은밀한 치부
사교의 꽃, 담배
아바나 여송연과 서구의 상상
정향담배의 세기
구원과 저항의 상징, 마리화나
흡연과 올 댓 재즈
역사의 격동을 불러온 위험한 유혹
깨끗한 흡연에서 예의바른 흡연까지
담배에 정복당한 카자흐스탄
코카인 체험
흡연과 사교
제2부 예술과 문학 속의 흡연
그림으로 읽는 흡연의 상징성
동양의 규방을 엿보는 서구의 눈
오페라 속의 흡연
니코틴 찬양
바이마르에서 할리우드까지 영화 속의 흡연
공허의 상징, 흡연
흡연과 미술
제3부 성(性) 그리고 민족성의 차이
유대인과 담배 산업
담배를 통한 흑인의 희화화
담배 피우는 여성
동성애의 은밀한 상징, 담배
흡연과 민족성
제4부 불붙은 흡연 논쟁
우리는 왜 담배를 피우는가?
공공의 적, 담배
갈수록 정교해지는 마케팅 전략
말보로맨의 몰락
부록 - 매화 앞에서는 담배를 피지 말지니:조선 후기 담배 문화의 멋과 여유
참고문헌
글쓴이 소개
사진저작권
찾아보기
책속에서
동양주의 미술은 물론 자본주의를 근본적으로 비판하지 않았다. 일부는 동양에 대해 지극한 감탄을 느꼈으면서도 동양에 대한 서구의 지배를 근본적으로 비판하지도 않았다. 결국 동양의 느긋한 즐거움은 그 게으름의 반대 측면으로만 이해되었고, 그 관능성은 저변의 불합리를 입증하기 위한 것이었다. 사실 후카가 암시하는 느긋한 쾌락은 동양인들을 근면한 노동의 대립물 - 또는 무능력의 증거로 보이게 했다.
노동 윤리 없이 진보가 있을 수 없으므로 이슬람의 백성들은 - 서구인들이 무기력한 침체라고 자주 묘사했던 것에서부터 벗어나기 위해- 서구의 개입을 필요로 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느긋하고 연기 가능한 동양의 관능성을 예찬하는 일부 개인의 정서는 동시에 서구 식민 지배를 정당화하는 사고방식에 밑바탕을 두고 있었다. -- 본문 357쪽 '예술과 문학 속의 흡연 - 동양의 규방을 엿보는 서구의 눈'에서
메리메의 1845년 소설 <카르멘>은 흡연을 요부의 속성으로 정착시켰다. 그러나 담배를 마녀로 여성 인격화한 위협적 이미지는 16세기에 이미 등장한 것이었다. 집시인 카르멘은 궐련 공장에서 일한다. 권련 공장은 규방과 매음굴의 잡종인 듯하다. 메리메의 화자가 처음 카르멘을 만날 때, 카르멘은 자신이 '담배 냄새를 아주 좋아한다'고 말한다. 그는 카르멘에게 담배를 주며 말한다. "우리는 연기를 섞었소."
카르멘의 흡연 욕망에서 독자는 카르멘의 성욕을 읽는다. 연기는 카르멘의 결정적 배반을 은유한다. 카르멘은 엄마 말에 순종하는 순진한 애인의 마음을 더럽힌다. 그가 카르멘의 중독에서부터 벗어날 수 있었던 유일한 방법은 카르멘을 찔러 죽인 것이었다. --본문 473~474쪽 '성(性) 그리고 민족성의 차이- 담배 피우는 여성'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