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세계패권과 국제질서
· ISBN : 9788990816474
· 쪽수 : 365쪽
· 출판일 : 2007-07-30
책 소개
목차
1부| 세계화·정보화 시대 남한의 국가와 시민사회
정보화 시대 한국 국가의 성격 변화: 정보화 요인을 중심으로
사회운동의 새로운 구성방식에 대한 연구: 2002년 촛불시위를 중심으로
온라인 정치지형의 분화와 재편성: ‘북한 이슈’를 중심으로
2부| 세계화·정보화 시대 북한의 국가와 시민사회
세계화·정보화 시대의 북한 국가의 변화 전망: ‘국가해체론’의 관점에서
세계화·정보화 시대 북한 ‘시민사회’의 변화 양상
세계화·정보화에 의한 북한 국가-‘시민사회’ 관계의 변화 전망과 남한 변수
3부| 세계화·정보화 시대 남북한의 정체성과 통일
세계화·정보화 시대 한국의 정치적 정체성 변화: 반공의식을 중심으로
북한 민족주의의 전개와 발전: 민족공조론을 중심으로
1990년대 이후 한반도 안보환경의 변화:
‘푸에블로호 사건’과 비교해 본 제1·2차 ‘북핵위기’의 특징
참고문헌
게재 논문 발표지
필자 소개
책속에서
세계화,정보화 시대에 대응하기 위해 북한 당국은 '모기장'이론을 내세워 불리한 것은 차단하고 유리한 것만 받아들이겠다는 입장이나 사상, 문화적 요소도 북한사회에 스며들고 있는 양상이다. 결국 경제침체에 따른 피폐함과 점차 확산되어가는 자본주의 문화는 북한 당국의 대주민 통제력을 약화시키고 있다.-p154 중에서
...1990년대 초반 세계경제 질서로 편입되면서 한국인들은 선진국에 진입했다는 자부심을 갖게 되었는데, 이것은 경제난에 따른 북한의 체제 위기와 비교되면서 북한에 대해 확실하게 우월의식을 갖게 만들었다. 특히 북한에 대한 우월감은 1990년대 중반 대두된 북한 붕괴론과 결합되면서 북한에 대한 두려움과 적대감을 약화시켰다.-p268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