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라틴아메리카 문화 ‘흠뻑’ : 라틴아메리카 즐기기

라틴아메리카 문화 ‘흠뻑’ : 라틴아메리카 즐기기

이미정, 김윤경, 장수환, 손호철, 정승희, 최상기, 박수경, 김혜진, 국선아, 최한솔, 김병선, 윤지은, 송기도, 정혜주, 송병선, 박구병, 정재민 (지은이)
한울(한울아카데미)
29,5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9,500원 -0% 0원
290원
29,210원 >
26,550원 -10% 3,000원
0원
29,5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라틴아메리카 문화 ‘흠뻑’ : 라틴아메리카 즐기기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라틴아메리카 문화 ‘흠뻑’ : 라틴아메리카 즐기기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아메리카사 > 중남미사
· ISBN : 9788946082434
· 쪽수 : 392쪽
· 출판일 : 2023-01-31

책 소개

라틴아메리카 문화 ‘흠뻑’은 라틴아메리카 음식 ‘듬뿍’과 함께 한국외국어대학교 중남미연구소가 기획한 생태문명 교양총서 시리즈이다. 여러 분야의 중남미 전문가들이 각자의 영역에서 문화라는 큰 테두리 속에서 다양한 주제를 진지하면서도 흥미진진하게 풀어냈다.

목차

1부 라틴 사람들, 라틴 하루들

‘오, 오, 오, 오빤 쿠바 스타일!’: 즐거운 혁명의 나라 쿠바를 생각한다 _손호철
콜럼버스 항해에 담긴 음식과 음식문화 _정승희
라틴아메리카, 커피를 탐하다 _최상기
멕시코 역사로 맛보는 타코 _박수경
당신이 모르는 살사 이야기 _김혜진
영혼의 형제들을 찾아서: 아루아코 부족의 삶과 철학 _국선아
이방인 예술가의 낯익은 라틴아메리카 _최한솔(쇼비)
좌충우돌 페루 탐험기 _김병선(꼬미꼬)
엘살바도르 개발협력 현장 이야기 _윤지은

2부 문화 읽기 배경 알기

콜럼버스의 신대륙 발견은 거짓말이다 _송기도
나스카, 잃어버렸던 문명의 귀환 _정혜주
안데스 원주민의 세계관과 자연의 권리: 자연과의 조화와 공존 _김윤경
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 :현대 사회를 어떻게 바꾸었을까? _송병선
국민 스포츠 야구와 쿠바인의 정체성 _박구병
쿠바 아바나에서 보는 무데하르 건축양식 _장수환
‘미래의 나라’ 브라질을 보는 두 개의 시선: 유토피아와 디스토피아 _정재민
파란 아마존 _이미정

저자소개

손호철 (지은이)    정보 더보기
화가를 꿈꾸다 서울대학교 정치학과로 진학했다. 선배를 잘못 만나 운동권이 됐고, 제적, 투옥, 강제 징집을 거쳐 8년 만에 졸업했다. 어렵게 기자가 됐지만, 신군부가 저지른 ‘1980년 광주 학살’에 저항하다 유학을 가야 했다. 귀국한 뒤 서강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로 일하며 사회과학대 학장과 대학원장 등을 지냈다. 2018년 정년을 마친 뒤 서강대학교 명예 교수로 있으면서 정의당 정의정책연구소 이사장을 맡고 있다. 한국정치연구회 회장, 복지국가연구회 회장, 《진보평론》 공동대표, 민주화를 위한 전국교수협의회 상임의장, 국정원 과거사건진실규명을 통한 발전위원회(국정원 진실위) 위원, 간행물윤리위원회 좋은책 선정위원 등을 지내며 진보적 학술 활동과 사회운동을 펼쳐왔다. 《국가와 민주주의》, 《한국과 한국 정치》, 《촛불혁명과 2017년 체제》 등 이론서, 《유신 공주와 촛불》, 《빵과 자유를 위한 정치》 등 정치평론집, 《즐거운 좌파》라는 에세이를 냈다. 여행과 사진 찍기를 좋아해 《마추픽추 정상에서 라틴아메리카를 보다》, 《카미노 데 쿠바 — 즐거운 혁명의 나라 쿠바로 가는 길》, 《물속에 쓴 이름들 — 마키아벨리에서 그람시까지, 손호철의 이탈리아 사상 기행》, 《레드 로드 — 대장정 15500킬로미터, 중국을 보다》, 《키워드 한국 현대사 기행》(전 2권) 등 역사 기행서와 《슈팅 이미지》(공저)라는 사진집을 냈으며, ‘제1회 포토코리아 사진전’에 초대 작가로 참여해 ‘대륙의 꿈’이라는 사진전을 열었다. 마키아벨리와 그람시 로드를 시작으로 로자 룩셈부르크 로드, 레온 트로츠키 로드 등 진보 사상 기행을 준비하고 있다.
펼치기
송기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북대학교 명예교수(정치학), 전 콜롬비아 대사이다. 라틴아메리카 국가들의 연합과 먼로독트린으로 대표되는 미국의 대 라틴아메리카 정책에 관심이 많다. 지난 수백 년간 라틴아메리카는 유럽이나 미국의 시각에서 이해되고 소비되어 왔다. 이제 서구의 창(시각)이 아닌 우리의 눈으로 직접 아메리카를 볼 필요가 있다.
펼치기
송병선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스페인어과를 졸업하고 콜롬비아 카로이쿠에르보 연구소에서 석사 학위를, 하베리아나 대학교에서 문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전임 교수로 재직했다. 스페인어권 문학에 대한 인식이 부족했던 우리나라에 보르헤스, 마르케스, 마누엘 푸익 등 남미 스페인어 문학권의 거장들을 소개하여 해외 문학에 대한 지평을 넓혔다. 옮긴 책으로 『픽션들』, 『콜레라 시대의 사랑』, 『거미 여인의 키스』, 『염소의 축제』, 『족장의 가을』 등이 있다. 제11회 한국문학번역상을 수상했다. 현재 울산대학교 스페인중남미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펼치기
정혜주 (지은이)    정보 더보기
멕시코 국립 인류 역사학 대학 고고학과를 졸업한 뒤 멕시코 국립 대학에서 메소아메리카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습니다. 아스테카와 마야 문명의 여러 유적지 발굴에 참여했으며, 지금은 경희사이버대학교 강사로 있습니다. 그동안 쓴 책으로 『멕시코시티: 아스테카 문명을 찾아서』, 『마야 원주민의 전쟁과 평화』, 『옥수수문명을 따라서』, 『신들의 시간: 메소아메리카의 고대문명』 등이 있습니다.
펼치기
정승희 (옮긴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강사. 라틴아메리카의 식재료와 음식문화에 큰 관심을 갖고 있으며, 콜럼버스의 『항해일지』를 번역해 나가며 항해에 등장하는 음식과 그 의미에 대한 글을 착안하게 되었다. 앞으로 라틴아메리카 음식문화에 대해 더 많은 글을 생산하고 싶은 바람이 있다.
펼치기
박구병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서양사학과에서 학사 학위와 석사 학위를 받고, 미국 로스앤젤레스 소재 캘리포니아 주립대학교(UCLA) 사학과에서 멕시코 정치의 탈군사화 과정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아주대학교 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연구 분야는 멕시코 혁명을 비롯한 20세기 라틴아메리카 정치사, 미국과 라틴아메리카의 관계이다. 저서로는 『세계화 시대의 서양현대사』(공저), 『글로벌 냉전과 동아시아』(공저), 『제3세계의 역사와 문화』(공저), 『사회갈등과 역사교육』(공저) 등이 있고, 역서로는 『아메리카노: 라틴아메리카의 독립투쟁』(공역), 『현대 라틴아메리카』(공역), 『과거는 살아 있다: 라틴아메리카 환경사』(공역), 『변화하는 라틴아메리카: 세계화와 근대성』, 『근대세계체제 IV』 등이 있다. 그 밖에 20세기 라틴아메리카 정치사에 관한 다수의 학술 논문을 집필했다.
펼치기
박구병의 다른 책 >
김윤경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서양사학과를 졸업하고 대학원에서 멕시코혁명 후 인디헤니스모에 관한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국외국어대학교 중남미연구소 HK+ 사업단 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연구 활동 분야는 원주민의 사상, 원주민운동, 여성사, 종교사이다. 저서로는 『라틴아메리카 문화 흠뻑』(공저), 『라틴아메리카 생태를 읽다』(공저), 『라틴아메리카 생태위기와 부엔비비르』(공저) 등이 있으며, 역서로는 『메소아메리카 전통의 꼬스모비시온 ‘우주와 신성’』(공역), 『메소아메리카 전통의 꼬스모비시온 ‘신과 인간’』(공역), 『과거는 살아 있다: 라틴아메리카 환경사』(공역) 등이 있다. 그 밖에 라틴아메리카 원주민의 역사에 관한 다수의 학술 논문이 있다.
펼치기
이미정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재 한국외국어대학교 중남미연구소HK+ 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경제지리 전공자로서 관심사는 중남미 국가들과 같은 신흥경제의 지속가능한 발전 범위를 찾는 것이며, 브라질의 해양산업 활동을 통해 자칫 간과하기 쉬운 환경파괴에 대해 알리고 기후변화 대응에 꼭 필요한 바다 환경 보전 방안을 알아보자는 취지에서 쓰게 되었다.
펼치기
장수환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중남미연구소 HK 연구교수이다. 도시와 자연경관의 역사적 변화 과정이 주요 관심분야이다. 콜럼버스 이전과 이후 라틴아메리카 지역의 도시변천 과정과 자연경관의 변화에 관해 연구하면서 쿠바, 브라질, 멕시코 등에 관해 연구해 왔다. 주요 저서로는 『아바나 연대기』(2023), 『라틴아메리카 문화 ‘흠뻑’: 라틴아메리카를 즐기다』(2023, 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최상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스페셜티 커피 전문 브랜드인 위트러스트커피를 창업, 해외 산지로부터 생두를 들여와 이를 로스팅하여 자체 매장 및 온·오프라인 유통채널을 통해 판매하고 있다. 중남미, 아프리카 등 좋은 커피를 얻기 위해 산간 오지를 찾아다니며, 생산지의 커피 농가들과 돈독한 관계를 맺어오고 있다. 현대인이 가장 즐겨 마시는 음료지만, 커피가 어떻게 생산되는지 잘 모르는 사람들에게 커피를 좀 더 깊이 느낄 수 있도록 중남미 현지에서의 경험을 이 책에 풀어놓았다.
펼치기
박수경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라틴아메리카연구소 연구원으로 ‘원주민’이라는 화두를 통해 라틴아메리카 지역을 연구한다. 대학 안팎에서 라틴아메리카 문화, 역사, 정치 등에 대해 강의하며 한국과 라틴아메리카 사회를 사유한다. 이 책에서는 타코라는 먹거리를 통해 멕시코 사회를 일차적으로 경험하는 동시에 멕시코 사회와 역사를 복합적으로 살펴보는 기회를 마련하고자 했다.
펼치기
김혜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2001년 멕시코 쿠에르나바카의 한 허름한 건물 옥상에서 5페소에 시작한 첫 살사 수업에서부터 지금까지 그 근원을 쫓아 뉴욕과 쿠바를 거쳐 아프리카 전통 춤까지. 내 삶을 가득 채운 살사는 나의 라틴 춤과 음악 연구의 발판이다. 라틴 문화의 중심인 춤과 음악을 우리 글로 차곡차곡 잘 적립해 나가는 중이다.
펼치기
국선아 (지은이)    정보 더보기
現 시원스쿨 스페인어 대표 강사 o 현대차그룹, 포스코, LG, 서울시청, 서강대 외국어교육원 및 다수 기관 출강 o 파고다어학원 강남 출강 o 사이버한국외대, Udemy, 파고다 스타, 리얼클래스 등 온라인 강의 o 끌라라의 여행 스페인어 운영 (2011년 ~) o 다수 기관 중남미 사회·문화 및 여행 인문학 강연 o EBS 세계테마기행 <콜롬비아>, <유카탄 반도>편 출연 [저서] o 맛있는 스페인어 독학 첫걸음 o 라틴아메리카 문화 흠뻑(공저)
펼치기
최한솔 (지은이)    정보 더보기
만화가와 일러스트레이터로 활동하며 청강문화산업대 만화콘텐츠스쿨에서 초빙교수로 학생들을 지도하고 있다. 작가 활동의 저변을 넓혀 준 라틴아메리카를 알리고자 글을 쓰게 되었다.
펼치기
김병선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재는 유튜브 채널 코미꼬를 운영하며 라틴문화권 사람들과 교류하며 그들과 함께 웃고 떠드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저의 관심사는 코미디인데 워낙 농담을 좋아하는 라틴 사람들이라 나와 잘 맞았다. 내의 인생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중남미라는 곳을 대중들에게 흥미롭게 전달하고 싶어서 이 글을 썼다.
펼치기
윤지은 (지은이)    정보 더보기
대학시절 멕시코 교환학생을 계기로 사회구조적 불평등 문제에 눈을 뜨게 되었고 대학원 졸업 후 15년간 국제개발협력 분야에 종사하면서 국제개발협력의 이론과 현장을 경험하였다. 2010년부터는 우리나라 대표 원조기관인 코이카(KOICA)에 입사하여 국제개발협력의 중요한 한 축인 공적개발원조 사업을 기획하고 운영하고 있다. 코이카 본부와 페루, 엘살바도르 해외사무소 근무 후 현재는 미얀마사무소에서 일하고 있다. 아무쪼록 나의 짧은 이야기가 중남미와 국제개발협력이 아직 낯선 분들에게 쉽고 재미있게 다가갔으면 하는 바람이다.
펼치기
정재민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포르투갈어과 겸임교수이며 루소폰문화연구소 소장을 맡고 있다. 포르투갈어권 문화와 역사, 특히 과거를 통해 현재를 투영하고 시사하는 연구주제에 관심이 많다. 유토피아적 유래를 갖고 있는 브라질이 겪고 있는 디스토피아적 현실에 질문을 던지며 이 글을 쓰게 되었다.
펼치기

책속에서

스페인과 포르투갈 이후 뒤늦게 식민지 사업에 열을 올리게 된 네덜란드와 영국, 프랑스 등도 유럽과 아메리카, 아프리카, 동남아시아를 잇는 이 복잡한 교역로와 항해를 통한 음식과 식물의 이동이라는 큰 그림의 모자이크를 구성하며 흥미로운 이야깃거리와 많은 먹을거리를 만들어내었다. 17세기 말 쉐독 Shaddock 이라는 영국인 제독이 본국으로 돌아가는 길에 말레이 반도의 포멜로 pomelo 씨앗을 자메이카에 가져가 심은 것이 스페인인들이 심거나 씨앗을 버려 자라난 오렌지와 교배되어 그레이프프루트 grapefruit 가 탄생하였고, 네덜란드가 인도네시아에 심은 커피를 1718년경 수리남에 가져가면서 남아메리카에 처음으로 커피가 재배되기 시작하였다. 18세기 프랑스 해군이자 스파이였던 프레지에 Frezier 가 칠레에서 크고 흰색이 도는 딸기를 발견하고 프랑스에 가져간 것이 북미의 버지니아에서 온 딸기 묘목과 자연 교배되어 오늘날 먹는 크고 붉은 딸기가 처음으로 만들어진 이야기도 무척 흥미롭다. _ “콜럼버스 항해에 담긴 음식과 음식문화”


자연의 산물인 커피를 재배하는 농장은 자연 자원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토양, 물, 생물다양성, 기후, 그리고 생태계를 구성하는 수많은 상호 작용들이 모두 자연 자원이다. 커피는 삼림 보존과 조화를 이룰 수 있는 몇 안 되는 작물 중 하나다. 지속가능성 sustainability이란 단어가 유독 커피 경작에서 많이 불려지는 것만 봐도 삼림과 토양, 물과 생명체 들 간의 균형이 커피 재배에 얼마나 중요한지 알 수 있다. _ “라틴아메리카, 커피를 탐하다”


1940~1950년대 멕시코 출신의 페레스 프라도가 새로운 열풍 ‘맘보’로 라틴 붐을 이끌면서 라틴 음악의 중심에 춤이 새로운 주인공이 되었고, 몸으로 즐길 수 있는 라틴이 시작되었다. 신을 부르는 외침이자 ‘콜 앤 리스펀스’를 의미하는 맘보는 룸바에 재즈의 요소가 더해진 장르였는데, 오레스테스 로페스 Orestes Lopez라는 뉴욕에서 활동하던 쿠바 작곡가 겸 연주자가 1938년 쿠반 손 장르였던 자신의 곡에 ‘Mambo’라는 제목을 붙이기 시작하면서 일반적인 ‘라틴’을 의미하는 말로 확장되었다. … 1960년대에 이르러 라틴계 이민 2세대는 미국인으로서의 정체성과 라틴계 부모 사이에서 스스로를 정의할 새로운 사운드를 찾는다. 아프로쿠반과 푸에르토리코의 음색이 더해진 라틴 재즈에 1940~1950년대에 미국에서 유행한 맘보, 로큰롤, 스윙, 부갈루 등에 아이리시 사운드까지 더해져 살사가 만들어진다. _ “당신이 모르는 살사 이야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