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88990984197
· 쪽수 : 248쪽
· 출판일 : 2014-04-22
책 소개
목차
추천의 글
프롤로그_'학생들'이 아닌 '한 학생'으로 보기
Part 1 우울한 학생들, 자존감이 문제다
01 패스하지 말고 안테나를 세우라
02 자존감이 낮은 학생의 증상들
03 문화를 알아야 치유가 시작된다
Part 2 교실 속 자존감, 왜 중요한가?
04 자존감은 오뚝이의 힘과 같다
05 자존감 vs 자존심, 자부심, 자기애
06 나이별 자존감 형성 단계
07 학생의 미래는 자존감에서 시작된다
Part 3 교실 속 자존감을 높이는 법
08 친밀해야 자존감이 높아진다 "안전한 교실 만들기"
09 신뢰 관계를 쌓으라 "학생과 소통하는 툴, 조해리 창"
10 조언에 앞서 칭찬을 "샌드위치 이펙트"
11 학생의 마음을 열어라 "조회와 종례, 10분의 기적"
12 소속감을 높이라 "따듯한 교실 만들기"
13 상대에게 관심을 가지라 "이름 불러 주기 게임"
14 연대감을 만들라 "선 넘어가기와 빙고 게임"
15 감정을 표현하도록 가르치라 "SEL 교육법"
16 왕따를 근절하라 "왕따 금지 원칙 세우기"
17 건강한 정서를 키우라 "지성보다 감성을 키우는 법"
Part 4 교실 속 상처를 보듬어 주는 법
18 상처를 보듬어 주는 공간, 학교
19 고립된 학생을 회복시키는 스킬
20 대화할 때 유용한 솔러 경청법
21 얽힌 감정과 화를 푸는 놀이들
22 참기 힘든 현실, 마술 지팡이 활용하기
23 학생이 그린 그림으로 대화하기
24 이해의 차원을 높이는 다문화 스티커 놀이
Part 5 자존감 높은 교사가 학생을 살린다
25 당신은 어떤 교사입니까?
26 교사의 자존감 체크
27 학생을 살리는 교사 되기 10계명
28 자존감의 힘을 아는 교사
에필로그_교사가 줄 수 있는 최고의 보물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자존감이 높은 학생들은 자신이 이룬 성과를 긍정적인 눈으로 바라보고 자랑스러워합니다. "나는 최고"라는 착각에 빠지기 때문이 아닙니다. "노력한 만큼 결과가 나왔네" 아니면 "기대했던 것보다 점수가 좋네. 왜지?" 하고 그 방법을 계속 발전시킵니다. 아니면 "기대했던 것보다 점수가 낮네. 왜일까?" 하고 원인을 찾습니다. 근본적인 문제들을 파는 것이죠. 자기가 한 것은 인정하지 않고 무조건 좋은 결과에만 집착하는 아이들과는 다릅니다. 일단 결과를 받아들이지만 결과로 비관하거나 상처를 받거나 남을 원망하지는 않습니다.
--Part 2 교실 속 자존감, 왜 중요한가?
나는 어떤 교사입니까? 나는 학생들의 자존감을 살리는 교사입니까? 혹시 별 생각 없이 던진 말 때문에 학생의 자존감에 상처를 준 적은 없는지, 학생들은 내 앞에서 실수를 편하게 할 수 있는지 생각해 보십시오. 학생들이 내 앞에서 실수했을 때 내 반응은 어땠는지, 내 앞에서 학생이 심하게 경직된 적은 없는지, 반 아이들을 이용해 내 자존심을 세우려고 하지는 않았는지, 교사로서 성적에만 집중하지는 않았는지 점검해 보십시오. 문제가 생겼을 때 귀찮으니까 교사인 내가 쉽게 해결해 버리지는 않았는지, 아니면 학생들이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기회를 주었는지 생각해 보세요. 당신은 어떤 교사입니까?
이것을 꼭 기억하십시오. 당신도, 학생도 인격체(human being)이지 부속품(human doing)이 아니라는 사실을! 잘못하면 인격체가 되어야 하는 아이들을 성적과 성취의 결과물로 만들어 버릴 수 있습니다. 누구라도 부속품 취급을 당하면 자존감이 추락하게 되어 있습니다.
----Part 2 교실 속 자존감, 왜 중요한가?
자존감이 낮은 학생을 대할 때 특히 기억해야 할 것은 '조언하기에 앞서 관계를 먼저 맺는 것'입니다. 학생의 단점을 지적했을 때, 그 아이가 선생님의 조언을 진심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지 고민해 봐야 합니다. 그래서 저는 개인적으로 관계 형성이 안 된 학생에게는 개인적인 단점들에 대해 조언하지 않습니다. 관계가 형성될 때까지는 말하고 싶어도 참는 것이지요.
--Part 3 교실 속 자존감을 높이는 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