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서양사 > 서양중세사
· ISBN : 9788991124288
· 쪽수 : 376쪽
· 출판일 : 2005-05-30
책 소개
목차
- 서문
1장 소집
1. 성전
2. 투르크족의 정복
3. 교황 그레고리우스 7세
4. 클레르몽 공의회
5. 십자군 원정과 순례
6. 십자군의 참가 동기
제2장 제1차 십자군 원정
1. 민중 십자군
제3장 예루살렘 왕국과 제2차 십자군
1. 예루살렘 왕국의 탄생
2. 1100 ~1101 년 사이의 십자군
3. 북부에서 입지를 굳히다
4. 1122년의 베네치아 십자군
5. 라틴 동방 왕국의 새로운 문화
6. 종교기사단
7. 장기의 부상
8. 제 2차 십자군
제4장 예루살렘 왕국의 쇠퇴와 제3차 십자군
1. 누레딘
2. 이집트의 유혹
3. 살라딘의 부상
4. 문둥이 왕 하틴의 뿔
5. 제3차 십자군 소집
6. 잉글랜드와 프랑스의 왕
7. 사자심왕 리처드
제5장 제4차 십자군
1. 인노켄티우스 3세
2. 베네치아 조약
3. 자다르로 우회하다
4. 콘스탄티노플로 우회하다
5. 알렉시우스 4세의 짧은 치세
6. 무르추플루스와의 전쟁
7. 콘스탄티노플 약탈
제6장 자국 내에서의 십자군
1. 유럽에서의 십자군
2. 알비파의 이단
3. 알비 십자군
4. 제4차 라테란 공의회
5. 남부의 반란
6. 알비 십자군의 종말
7. 소년 십자군
8. 튜튼 기사단과 발트 십자군
9. 여성과 십자군
제7장 제5차 십자군과 프리드리히 2세의 십자군
1. 제5차 십자군
2. 프리드리히 2세의 십자군
제8장 성왕 루이의 십자군
1. 십자군 왕국의 분쟁과 정복
2. 성왕 루이의 제1차 십자군 몽골족
3. 십자군 왕국, 변화와 쇠망
4. 맘루크군의 정복 성왕 루이의 제 2차 십자군
^제9장 후기 십자군
1. 십자군 국가의 붕괴
2. 종교 기사단의 변화
3. 14세기의 십자군
4. 키프로스 왕국
5. 오스만 투르크의 부상
6. 니코폴리스 십자군
7. 15세기의 십자군
8. 레오 10세의 십자군 계획
9. 신성동맹
10. 종교기사단의 최후
제10장 십자군이 남긴 유산
1. 서유럽에 남긴 유산
2. 중동에 남긴 유산
- 결론
- 용어해설
- 주요 인물 사전
리뷰
책속에서
7월 13~14일 밤에 십자군은 예루살렘을 공격했다. 거대한 이동 목탑이 그들의 희망이었다. 목탑을 성벽에 갖다대려고 애를 쓰는 데에만 7월 14일 하루가 꼬박 걸렸다. 저녁 무렵에야 목탑을 예루살렘 성벽에 대는 데 성공했으나, 격렬한 저항 때문에 성벽에 발을 딛을 수 없었다.
7월 15일 이른 아침, 고드프루아가 탑을 성벽에 대고 그 지역 수비대를 물리치는 데 성공했다. 로렌의 병사들은 전투를 벌이며 '기둥의 문'까지 나아가 성문을 열었다. 십자군의 주요 병력이 물밀듯이 쏟아져 들어왔다. - 본문 중에서
현대의 역사가들은 십자군이 유럽의 '무용지물'들이 모인 집단이었다고 믿어왔다. 영지나 작위를 계승할 권리가 없는 귀족의 둘째, 셋째 아들, 노상강도, 실패자, 탐욕스러운 수도사들이 십자군의 실체였다는 것이다.
...이들 문서를 보면 십자군에 참가한 기사들의 대부분이 영주 자신이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십자군에 참가한 사람들은 오히려 잃을 것이 많은 사람들이었다. 그들은 3천 킬로미터씩이나 이동하는 위험한 여정을 알고 있었고, 비잔틴 제국의 용병으로서 투르크족과 싸운 경험이 있는 사람들도 있었다. - 본문 중에서
인노켄티우스는 십자군을 촉진하기 위해 전통적인 기혼 여성의 권한을 빼앗았다. 이전의 교회법에서는 남자가 십자가의 서약을 하더라도 아내의 동의가 없으면 무효였다. 남편이 집을 떠나면 부부 관계에 관한 아내의 권리가 침해되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3차 십자군에 이르러 이 규정은 악용되었다.
예컨대 십자군 전도사의 설교를 듣고 분위기에 휩쓸려 서약을 한 남자가 이튿날이 되어 자신의 결정을 후회한다고 하자. 그런 경우, 그저 아내가 동의하지 않는다며 서약을 무효로 하면 그만인 것이다. 인노켄티우스는 교령을 내려 이 허점을 막았다. - 본문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