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POD] 스무살 경제학](/img_thumb2/9788991147744.jpg)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경제학/경제일반 > 경제이야기
· ISBN : 9788991147744
· 쪽수 : 328쪽
· 출판일 : 2006-08-25
책 소개
목차
감수자서문_이 책 <스무 살 경제학>은 다르다
머리말_경제학은 나와 어떤 연관이 있을까?
1장_경제학은 살아 있다
일상의 경제학, 아마추어의 경제학을 위하여
_경제학이 주는 이익
_교양경제학은 누구에게나 필요하다
_경제학사는 경제학의 밑그림이다
자기 눈으로 세상 바라보기
_일상의 경제활동을 이해하기 위하여
_스무 살에 꼭 알아야 할 7가지 주제
2장_왜 지금 경제학사를 돌아봐야 하는가?
경제학은 현실을 반영한다
_현실을 떠나서는 생각할 수 없는 경제학
_경제학사는 현실의 도구다
_현실 속에서 바라본 '분배'
_현실 속에서 바라본 '재생산과 가치'
_현실 속에서 바라본 '생존'
_현실 속에서 바라본 '정부'
_현실 속에서 바라본 '효용'
_현실 속에서 바라본 '기업'
_현실 속에서 바라본 '실업'
_교양경제학은 언제나 현실적이다
_지식은 힘이다
3장_올바른 분배의 기준은 무엇인가?
올바른 분배에 관심을 가진 아리스토텔레스
_올바른 분배를 충족시키는 두 가지 조건
_다양한 모순이 소용돌이치는 세계, 고대 그리스
_철학과 정치, 사회, 경제를 넘나든 아리스토텔레스
_분배를 정의의 문제로 생각한 아리스토텔레스
분배의 역사, 올바른 기준을 찾기 위한 노력
_상공업의 발달을 보며 분배의 문제를 생각한 토마스 아퀴나스
_지대의 결정 메커니즘을 고찰한 리키도
_자본가와 노동자 사이의 분배기준을 논한 마르크스
_구후생경제학을 완성한 피구
_피구 분배론의 두 가지 전제
_구후생경제학에서 신후생경제학으로
_신후생경제학에 근본적인 문제를 제기한 사회적 선택이론
_올바른 분배의 기준을 찾아 토론의 장에 참가한 정치철학자들
4장_가치는 어떻게 결정되는가?
재생산 메커니즘을 발견한 스미스
_경제구조는 재생산되고 있다
_주권국가와 무역의 시대, 15~18세기
_생산경제의 시대
_경제구조가 재생산되고 있음을 증명한 스미스
_두 가지 가격결정론 사이에서 흔들린 스미스
재생산의 역사, 경제 메커니즘을 말하다
_정체기를 예언한 밀
_경제구조는 왜 재생산되는가
_수확체증현상과 경제학의 접목
가치의 역사, 두 노동가치설의 대립과 병존
_리카도가 채택한 투하가치노동설
_맬서스와 지배노동가치설
_패러다임의 이동, 한계혁명과 그 후
5장_생존을 보장하기 위해 필요한 것들
도덕경제론, 생존을 위한 민중의 경제관념
_가격은 정말 수요와 공급으로 결정되는가?
_가부장주의와 중상주의는 표리의 관계
_가부장주의를 비판한 고전파 경제학
_민중의 경제관념, 도덕경제
_도덕경제를 정식화한 스콧
생존의 역사, 농촌공동체부터 복지국가에 이르기까지
_도덕경제의 기반을 이룬 농촌공동체
_생존의 문제를 정면에 내건 맬서스
_신지유주의와 페이비언 사회주의의 등장
_복지국가의 기본적 개념을 제시한 베버리지 보고서
6장_정부의 개입은 과연 필요한가?
공공경제학의 초석을 마련한 뒤피
_공공경제학의 탄생 배경
_상대적인 후진국에서부터 논해진 공적 개입의 문제
_프랑스에서의 엔지니어라는 직업
_소비자잉여 개념을 체계화시킨 뒤피
_소비자잉여의 장점과 전제조건
정부의 역사, 경제구조 재생산을 위한 정부의 역할
_정부의 개입을 필요선으로 본 생시몽파
_잉여의 개념을 확장시킨 마셜
_정부의 경제운영능력을 둘러싼 논쟁
_정부의 팽창을 비판적으로 분석한 공공선택이론
_시장의 메리트는 효율성이 아니라고 주장한 하이에크
_정부와 시장의 관계를 다시 생각한 코스와 제이콥스
7장_어떻게 하면 효용을 최대화할 수 있을까?
한계혁명 3인조-제번스, 발라스, 멩거
_신고전파 경제학의 탄생
_한계혁명, 대기업 시대로 넘어가는 이행기의 산물
_희소성의 문제를 강조한 멩거
_경제학에 수학을 도입한 발라스
_발라스의 일반균형분석
_신고전파 경제학의 첫걸음
효용의 역사, 한계이론에서 게임이론까지
_한계혁명 3인조 이전의 선구자
_한계혁명의 선구자 고센
_효용의 개념을 다시 생각한 파레토
_파레토의 최적
_게임이론은 경제학에 혁명을 가져올 수 있을까
8장_기업은 무엇을 위해 활동하는가?
기업의 하나의 행위주체로 생각한 베블렌
_시장과 거래의 관계
_기업의 시대, 기지개를 펴다
_제도학파 경제학의 선구자 베블렌
_기업이라는 존재의 독자성
기업의 역사, 안과 밖의 경계
_이노베이션이라는 말을 널리 퍼트린 슘페터
_기업을 다루는 학문영역 경영학
_소유와 경영의 분리를 발견한 벌과 민즈
_기업을 분석할 수 있는 경제학을 구상한 코먼스와 코스
_거래비용을 체계화한 윌리엄슨
_정보 경제학을 개척한 애컬로프
_기업의 시대에 경제학과 경영학은 공생할 수 있는가
9장_실업의 원인과 대책은 무엇인가?
케인스, 거시경제학의 문을 열다
_미시경제학과 거시경제학의 차이
_대공황이 시작되다
_대공황 속에서 곤란을 겪은 경제학자들
_기대를 고려해 경제활동을 분석하다
_화폐가 담당하는 역할
_거시경제학을 창조한 케인스
_기대가 실업을 낳는다
_실업을 없애려면
_거시경제학과 미시경제학은 어떤 관계에 있는가
실업의 역사, 거시경제학과 미시경제학
_미시경제학과 거시경제학의 관계정립
_경제정책에 목표를 부여한 필립스 곡선
_새로운 거시경제학으로 등장한 통화주의
_통화주의학파와 케인스학파의 차이
_합리적 기대가설이란
_새고전파 거시경제학으로 변모한 통화주의
_거시경제학의 존재 의의
인덱스
원전
리뷰
책속에서
경제구조를 생각할 때 간과해서는 안 될 것 중 하나는 우리들이 복수의 재화와 마주한다는 사실이다. 복수의 재화가 존재할 경우 그것을 자연스럽게 교환하려면 교환에 필요한 비율이 정해져야 한다. 이 비율을 '가격'이라고 한다면, 가격이 어떻게 결정되고 또 어떻게 정하면 좋을까를 생각하는 것은 경제학에 있어 또 하나의 커다란 과제가 된다. 스미스는 바로 이 문제에 몰두했다. - 본문 106p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