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사상/사회사상사 > 사회주의/공산주의
· ISBN : 9788991402218
· 쪽수 : 400쪽
· 출판일 : 2008-07-23
책 소개
목차
추천사
역자 서문
저자 서문
1부. 급진 민주주의와 자유지상적 사회주의
미국적 관점의 후퇴: 1968년과 이후 30년_ 슈티븐 에릭 브로너
인간의 얼굴을 한 사회주의: 1968년 ‘프라하의 봄’ 혹은 ‘모든 것이 달라졌다’
_ 헬레나 캐냐-베커
베를린 코뮨과 베를린 공화국 사이: 루디 두치케의 내독정치 구상_ 뤼디거 헨첼
좌파자유주의: ‘인본주의 대학생 연합’의 예_ 클라우스 크레펠
학생운동의 이중성과 생산적 효과: 자조운동_ 프리츠 필마
반反정신의학과 정치: ‘하이델베르크 사회주의 환자공동체SPK’에 대하여_ 코넬리아 브링크
2부. 비판과 전복
반권위주의 저항운동에서 심리학과 정신분석의 역할에 대하여_ 알프레트 크로포차
시민권으로서의 교육과 사회적 의무를 진 학문_ 볼프 디터 나르
짧은 봄: 1968년 전후 독일 사회학_ 에어하르트 슈텔팅
칼 맑스: 1968년과 2001년_ H. D. 키트슈타이너
청년헤겔주의자와 68혁명운동가_ 베르너 포스트
후기구조주의의 도전_ 클라우스 리히트블라우
3부. 좌파란 무엇인가?
‘급진적 사고 전환’, 어떻게 할 것인가?: 2001년 9월 11일 이후 탈정상화의 시각에서 본 정상주의이론의 정신적 충격_ 위르겐 링크
‘상상과 도덕’: 도덕 비판이론의 이정표_ 울리히 콜만
유토피아의 종말은 없다: 8가지 명제_ 리하르트 파버
보론
21세기 자본주의 사회의 혁명과 반혁명: 68혁명운동의 의미와 교훈_ 정병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종전 직후와 냉전기에 사회학은 맑스와 특히 커다란 거리를 두었다. 사실상 맑스는 종종 당연하게 고전적 학자로 간주되었지만 왜 그런지는 잘 알려지지 않았다. 1960년대 정치문화의 변동과정에서 이러한 금지는 깨졌다. 사회적 자유주의라는 주류가 실제로는 맑스주의적이지 않았지만 부분적으로 맑스주의적 개념과 징표들을 수용했던 것이다. 일정한 기간 동안 사회학에서 맑스주의 경향의 교수들이 존재했는데, 이것은 맑스 자체가 사회학자로 인정되었기 때문에 다른 분과학문들에서보다 더욱 특징적이었다. 그렇게 해서 맑스주의는 사회학의 공적 이미지를 구성하는 요소가 되었다. 그리고 맑스주의적이거나 피상적으로 맑스주의적인 용어들이 사회학 텍스트들에 공공연하게 수용되었을 때, 그것은 훨씬 더 강화되었다. 그 용어들은 '해방'과 '소외' 뿐만 아니라, '후기자본주의', '부르주아 학문', '혁명적 주체', '프롤레타리아 여론'. '계급의식' 등으로까지 확대되었다. (227쪽, '비판과 전복' 중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