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켈트 신화와 전설

켈트 신화와 전설

찰스 스콰이어 (지은이), 나영균, 전수용 (옮긴이)
  |  
황소자리
2009-05-06
  |  
2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인터파크 로딩중
11st 로딩중
G마켓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5,000원 -10% 750원 12,750원 >

책 이미지

켈트 신화와 전설

책 정보

· 제목 : 켈트 신화와 전설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신화/종교학 > 세계의 신화와 전설 > 서양의 신화와 전설
· ISBN : 9788991508569
· 쪽수 : 416쪽

책 소개

켈트 신화의 원형과 역사적 변형 과정, 신화가 후대인의 삶과 정신에 행사하는 영향력까지 알려주는 책이다. 대영제국이 전성기를 구가하던 빅토리아 시대에 태어난 저자 찰스 스콰이어는 필사본으로 전승되던 켈트 신화의 초기 원전과 여러 섬에서 구전되는 전설 및 민담 등을 망라한 해설서를 저술, 1905년 <The Mythology of the British Islands>(이 책의 원본)란 제목으로 출간했다.

목차

브리튼 제도의 신화

제1장 켈트족 신화의 재미와 중요성 21
제2장 켈트 신화에 대한 우리 지식의 출처 27
제3장 '고대 브리튼인'은 누구였나? 35
제4장 고대 븨튼인과 드루이드교 45

게일족 신들과 그들 이야기

제5장 게일족의 신들 59
제6장 신들의 도래 73
제7장 태양신의 등극 83
제8장 게일판 아르고 선의 선원들 92
제9장 거인과의 전쟁 107
제10장 인간이 신들을 정복하다 117
제11장 추방당한 신들 128
제12장 아일랜드의 일리아드 147
제13장 게일족의 사랑 이야기 171
제14장 핀과 그의 추종자들 187
제15장 신들의 몰락과 멸망 211

브리튼의 신과 그들의 이야기

제16장 브리튼인Britons의 신들 233
제17장 하계 신들의 모험 257
제18장 브란웬의 구애와 브란의 참수 266
제19장 마법의 전쟁 273
제20장 어둠에 대한 빛의 승리 280
제21장 아서의 신화적 '도래' 286
제22장 브리튼의 보물들 306
제23장 아서의 신화가 된 신들 321
제24장 신들의 쇠퇴와 몰락 335

켈트 이교주의의 생존

제25장 현대 속의 켈트 이교주의의 잔류 357

부록 켈트의 신화와 문학에 대한 책 몇 권 373
주석 378
찾아보기 408

저자소개

찰스 스콰이어 (지은이)    정보 더보기
1858년 영국 데번에서 태어났다. 대영제국이 최고의 전성기를 구가하던 빅토리아 시대 지식인으로서 조국의 뿌리를 탐사하는 일에 매료되어 고대 아일랜드 및 브리튼의 신화와 전설, 시와 민담들을 수집하기 시작했다. 오래된 서책들을 탐독하고 여러 섬에 남아 있는 설화들을 채집해 1905년 양장본으로 된 방대한 저서 《The Mythology of the British Islands》를 출간했다. 이듬해인 1906년 대중판 저서《The Mythology of the Ancient Britain and Ireland》를, 1909년에는 《Mythology of Celtic People》를 출간했다. 게일 신들과 그들이 대적한 거인들, 얼스터의 ‘붉은 가지 용사들’ 그리고 위대한 핀과 그의 용사들, 고대 브리튼의 신과 용사들, 아서왕의 출현과 원탁의 기사들까지 망라한 그의 저작들은 이후 서구 학자들이 켈트 신화 및 문화를 연구하는 데 탁월한 참고서 역할을 해왔다. 또한 《반지의 제왕》을 쓴 톨킨을 비롯해 케네스 모리스, 로버트 하워드, 조앤 롤링 등의 작품세계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쳤다. 21세기 판타지 문학의 대중적 인기와 함께 전세계적으로 켈트 신화 열풍이 일면서 찰스 스콰이어의 저작들은 원전 그대로 혹은 테마별로 편집되어 세계 여러 나라에서 재출간되고 있다.
펼치기
나영균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26년 만주 봉천에서 태어났다. 이화여자대학교 영어영문학과를 졸업하고 미국문화원 장학생으로 미국 캔자스 주립대학원으로 유학을 떠났다. 귀국 후 이화여대 영문과 교수를 역임했고 현재 명예교수로 재직 중이다. 1993년부터 1995년까지 여성 최초로 한국 영어영문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저서로 《일제시대, 우리 가족은》 《콘라드 연구》 《전후 영미소설의 이해》 《W. 제임스 조이스》 등이 있으며, 역서로 《댈러웨이 부인》 《마사 퀘스트》 《젊은 예술가의 초상》 《제일버드》 《더블린 사람들》 등 수많은 작품이 있다.
펼치기
나영균의 다른 책 >
전수용 (옮긴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자대학교 영어영문학과 명예교수. 이화여자대학교 영어영문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미시간대학교에서 문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지은 책으로 『포스트모던 영국소설의 역사성 읽기』(2015), 『20세기 영국소설 강의』(공저, 2019), 『신화적 상상력과 문화』(공저, 2023)가 있고, 옮긴 책으로 『결정론과 문학』(1993), 『켈트 신화와 전설』(공역, 2009), 『열정적인, 너무나 열정적인』(공역, 2009), 『범죄소설』(공역, 2014)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브리튼 제도의 신화
후예들이 부가한 장식적 부분 밑에 가려진 게일족과 브리튼족의 전설적 로맨스를 살펴보면 초기 문명기의 다른 민족들의 생각과 일치하는 원시적 사고의 핵심을 볼 수 있다. 이야기의 ‘지방색’은 마지막 ‘편집자’가 첨가한 것일 수도 있으나 이야기의 ‘플롯’은 중세 이전의, 기독교 이전의, 역사 이전의 것이다. -본문 33쪽, ‘켈트 신화에 대한 우리 지식의 출처’ 중에서

켈트족의 승려는 ‘드루이드’라는 이름으로 알려져 있다. 그것은 여러 아리안계 언어로 나무, 특히 참나무를 의미하는 DR에서 나온 말이다. 그들은 승려, 의사, 마술사, 점쟁이, 신학자, 과학자인 동시에 종족의 역사가이기도 했다. 모든 영적 능력과 인간의 지식이 그들의 것으로 돌려졌고 왕이나 족장 다음으로 높은 지위가 주어졌다. -본문 47쪽, ‘고대 브리튼인과 드루이드교’ 중에서

켈트 민족의 예배는 ‘태양’을 향한 것으로 보인다. 모든 축제는 태양의 진행에 있어서의 어느 지점과 관련이 있으며 주야평분점晝夜平分占 즉 춘분이나 추분이 계절의 지점至點 즉 동지나 하지보다 중요하게 여겨졌다. -본문 53쪽, ‘고대 브리튼인과 드루이드교’ 중에서


게일족 신들과 그들 이야기
신들은 모든 아리안계 종교에서 그렇듯 두 개의 대립적인 진용으로 갈린다. 한편에는 낮, 빛, 생명, 풍요, 지혜, 선의 신들이 줄을 서고 다른 편에는 밤, 어둠, 죽음, 불모, 악의 귀신들이 줄을 선다. 전자는 다누라는 이름의 여신을 둘러싼 신의 가족으로 분류된다. 그들은 ‘여신 다누의 종족’ 또는 ‘가족’을 의미하는 ‘투아하 데 다난’이라 불린다. 후자는 모두 ‘돔누의 신’이라고 불렸다. 돔누라는 말은 나락 또는 깊은 바다를 의미하는 듯하다. 이와 같은 개념은 ‘깊은 바다 밑’을 의미하는, 포모르인들이라는 이름에서도 볼 수 있다. 망망한 바다는 언제나 켈트족에게 태고의 원시성을 인식하게 만들었던 것 같다. -본문 60쪽, ‘게일족의 신들’ 중에서

투아하 데 다난이 하늘에서 왔건 땅에서 왔건 그들은 안개 짙은 5월 1일 아무런 저항도 받지 않고 피르 볼그가 눈치채지도 못한 가운데 구름처럼 아일랜드 해안에 상륙했다. 그들은 드루이드의 요술로 소나기와 안개를 펼치는 소나기구름으로 온 나라를 덮고 공중에서 불과 피를 피르 볼그 머리 위에 퍼부어 그들이 사흘 낮과 밤 동안 피신하지 않을 수 없게 만들었다. -본문 79쪽, ‘신들의 도래’ 중에서


루의 다양한 재주를 본 누아다는 이토록 유능한 사람이라면 포모르인들과 대항하는 데 큰 도움이 되지 않을까 생각하기 시작했다. 그는 신하들과 상의하여 그들의 충고대로 자기의 왕좌를 13일 동안 루에게 내주고 자신은 그 곁에 있는 ‘현자의 의자’에 앉았다. -본문 89쪽, ‘태양신의 등극’ 중에서

때로는 신이 때로는 거인이 이겼다. 그러나 결과는 포모르인들을 깜짝 놀라게 했다. 그들의 칼이나 창이 부러지면 그것들은 더이상 쓸 수 없고, 전사가 죽으면 다시는 살아나는 일이 없었다. 그러나 다누의 백성들은 달랐다. 산산조각이 났던 무기도 다음날에는 전혀 안 썼던 것처럼 말짱해졌고, 살해된 용사도 다음날은 상처 없이 되살아나 여차하면 다시 살해당할 용의가 있는 것처럼 보였다. -본문 108쪽, ‘거인과의 전쟁’ 중에서

신들을 정복하는 인간의 이야기는 전형적인 켈트족 이야기이다. 게일 신화는 그런 이야기를 상세히 보존하고 있는 유일한 신화이다. 그러나 그것이 신들에게 그다지 크게 불명예스러운 것은 아니었다. 왜냐하면 인간도 그들처럼 신의 후예였기 때문이다. 켈트 전설에 따르면, 인간은 죽음의 신의 후손이며 죽음의 나라로부터 현재의 세계를 차지하기 위해 왔다는 것이다. -본문 117쪽, ‘인간이 신들을 정복하다’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