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인문 비평
· ISBN : 9788991555655
· 쪽수 : 288쪽
· 출판일 : 2018-06-26
책 소개
목차
0. 머리말 006
1. 과학 공부와 문학 공부 019
2. 사고와 문장 043
3. 교양 교육으로서의 글쓰기 프로그램 075
4. 시간과 역사 101
5. 과학과 예술 121
6. 전자 문학의 위상 151
7. 영화의 형식과 윤리 169
8. 전형과 욕망 187
9. Models and Desire 259
저자소개
책속에서
현실의 무게를 감당하지 못하는 문학적 사고에 대한 반성
- 객관성과 엄밀성을 놓치면 문학 비평은 지적 사기가 된다
“1980년 5월 18일 새벽에 군인들이 고려대학교 기숙사를 세 겹으로 에워쌌다. 학생들이 회의실에 모여 시위할 계획을 의논하며 흩어지려 하지 않았다. 그만 자라고 나는 전원을 껐다. 불이 꺼지고 얼마 안 되어 군인들이 들어왔다. 군인들에게 문을 열어 주면서 518명의 학생을 살릴 수 있다면 나는 죽어도 좋다고 다짐하였다. 불이 켜져 있던 다른 대학 기숙사들과 달리 고려대 기숙사는 큰 피해 없이 고비를 넘길 수 있었다. 그러나 혼자서 군인들과 상대하며 지새운 그 막막한 밤을 겪은 이후로 나는 현실의 무게를 감당하지 못하는 나의 문학적 사고에 대하여 반성하게 되었고 자의적이고 현학적인 문학 비평들에 실망할 때마다 통계학 책을 찾아 읽게 되었다. 객관성과 엄밀성을 놓치면 문학 비평은 지적 사기가 된다. 이 책은 문학도가 통계학 책들을 읽으면서 생각한 내용을 정리한 자기 반성의 기록이다.”
실재는 무한하고 개념은 유한하다는 사실을 분명하게 인식한다면
- 문학과 과학이 서로 대화하지 못할 이유가 없다
“문학은 말을 표현 수단으로 사용하고 과학은 수학을 표현 수단으로 사용한다는 점에서 문학과 과학의 사이에는 쉽게 넘어설 수 없는 경계가 있다. 우리가 쓰는 일상 언어는 천 년 전이나 지금이나 크게 다르지 않은 데 비해서 수학은 시대에 따라 변화해 왔고 또 지금도 변화하고 있다. 그러나 언어와 수학은 실재를 기술하는 연모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실재는 아페이론(apeiron,한정할 수 없는 것)이기 때문에 사람은 실재의 무한한 계기들을 인식할 수 없다. 언어와 수학은 무한한 실재를 한정하고 구분하는 수단이다. 비유클리드 기하학은 유클리드 기하학과 마찬가지로 아페이론을 잘라 내고 끊어 내고 한정하는 수단이다. 실재는 무한하고 개념은 유한하다는 사실을 분명하게 인식하고 시작한다면 문학과 과학이 서로 대화하지 못할 이유가 없다. 공동의 기반을 확인하고 상보적인 위상을 적절하게 설정한다면 차이가 오히려 복합적인 실재의 비밀을 탐구하는 공동 작업을 가능하게 하는 활력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한국 교육 일반의 병폐는 문제 풀이 중심으로 수행되는 데 있다
- 바탕 관념을 이해하고 제 손으로 실험하고 제 머리로 생각하면 누구나 과학자나 예술가가 될 수 있다
“창조적 연구는 오래된 질문에 새롭게 대답하는 데서 나오는 것이 아니라 질문 자체를 새롭게 제기하는 데서 나오는 것이다. 자연을 이해하려면 먼저 자연 이해의 바탕 관념에 대하여 투철하게 숙고해 보아야 한다. 한국 교육 일반의 병폐는 바탕 관념에 대해서는 말하지 않고 문제 풀이 중심으로 수행되는 데 있다. 먼저 바탕 관념을 이해한 후에 제 손으로 실험하고 제 머리로 생각하면 누구나 과학자나 예술가가 될 수 있다. 가르치는 것은 최소한의 바탕 관념으로 한정하고 모든 작업을 학습자 자신이 스스로 하게 하는 과학과 예술의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일은 우리 사회의 시급한 과제이다. 많이 가르치는 것보다 더 중요한 것은 가르치지 말아야 할 것을 가르치지 않는 것이다. 과학은 앎을 바탕으로 이미 알려진 사실들을 딛고 넘어서서 참을 추구하는 작업이다. 참을 추구하려면 문학을 통하여 앎이 삶에 궁극적으로 어떻게 연관되는가에 대하여 고심해 보지 않으면 안 된다. 문학은 상식과 통념을 넘어 삶의 새로운 의미와 가치를 발견하는 작업이다. 삶을 새롭게 바라보려면 과학을 통하여 실험이 궁극적으로 어떻게 수학적 원리에 환원되는가에 대하여 고심해 보지 않으면 안 된다. 과학자는 과학의 기본 전제에 대하여 반성하고 작가는 문학의 기본 전제에 대하여 반성할 수 있는 겸손한 자세로 과학이 최고라든가 문학이 최고라든가 하는 독단에서 한 발 물러서서 자연과 인간의 통합적 이해를 향하여 대화를 시작해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