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선거전략/대통령 만들기
· ISBN : 9788991738072
· 쪽수 : 243쪽
· 출판일 : 2007-04-15
책 소개
목차
제1부 정밀진단 2007년 대선의 구도와 판세
대선에서 주목해야 할 핵심 포인트
2007년 대선과 새로운 정치 구도
민주화 세력과 산업화 세력의 갈등의 증폭과 2007년 대선
‘개헌 갈등’은 대통령 선거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가
딜레마 속의 호남 민심의 향배
‘제3후보’는 ‘제1후보’가 될 수 있을까?
2007년 대선과 ‘포스트 87년’ 체제가 지향해야 할 미래가치
제 2부 2007년 대선, 분열과 통합의 10대 정책 이슈
대북정책, ‘설득’이냐 ‘압박’이냐
대미관계, 동맹외교냐 자주외교냐
경제정책, 성장과 분배의 이중성
부동산 정책, 시장중시론 대 공익중시론
조세정책, 증세냐 감세냐
기업정책, 공공성 강화냐 시장 강화냐
한미 FTA, 수용이냐 반대냐
교육정책, 공공성 강화냐 경쟁력 강화냐
비정규직 문제, 기업책임 강조론 공방
국민연금, 국민부담 감소냐 실질적 혜택 강화냐
제 3 부 입체 분석 : 유력 대권 주자들의 경쟁력 진단
한나라당 주요 대권주자 분석
이명박 / 박근혜
범여권 주요 대권주자 분석
정동영 / 김근태 / 천정배 / 한명숙
제 3후보 분석
손학규 / 강금실 / 정운찬 / 박원순 / 문국현
저자소개
책속에서
최근 현 집권세력의 지지기반인 서부연합이 '충청이탈, 호남분열, 개혁성향 중산층의 균열' 등으로 해체되는 조짐이 보임으로써 과연 차기 대선에서 지난 두 차례의 대선과 같은 서부연합 복원이 가능할지 의문이다.-p28 중에서
교육정책의 방향을 둘러싼 우리 사회의 논쟁은 크게 교육의 '공정한 교육기회의 제공을 핵심으로 하는 공공성 강화'와 '시장논리를 확대 도입하는 개인의 선택권과 경쟁강화'라는 두 가지 방향을 둘러싸고 전개되어 왔다. 그리고 이와 함께 교육주체의 투명성 증대라는 관점에서 사립학교법의 방향을 둘러싼 논쟁과 경쟁력 증대라는 관점에서 교원평가제 다른 논쟁 축을 형성해 왔다.-p160-161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