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자기계발 > 시간관리/정보관리 > 정보관리
· ISBN : 9788991767959
· 쪽수 : 268쪽
· 출판일 : 2008-09-10
책 소개
목차
Chapter 01 시나리오 구상이란 무엇인가
비즈니스의 정석을 거침없이 구사할 수 있는가?
정석을 구사하지 못하는 네 가지 원인
시나리오의 필요성
시나리오 구상의 기초 ‘조감’
시나리오 구상을 위한 네 가지 기술
성과물의 완성도 측정하기
시나리오 구상과 성과물
Prologue 다시 새로운 비전을 모색하다
Chapter 02 시나리오 구상의 기초 - 조감의 기술
테마와 특성에 주목한다
case01 인터뷰 결과를 그룹핑한다 - 테마 파악하기
case02 인터뷰를 다시 실시한다 - 우선순위 정하기
case03 직원 능력을 분석한다 - 특성 추출
summery 데이터를 조감하는 순서
Chapter 03 데이터의 정보화 - 정보화의 기술
데이터를 정보화하기 위한 세 가지 조건
case04 사내 커뮤니케이션이 원활하지 않은 이유 - 데이터의 추상화
case05 구체성의 수준 젊은 직원의 소극적인 태도에 대한 부장의 불만 - 추상적인 데이터의 구체화
case06 인사제도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 입장에 입각한 정보화
case07 젊은 직원들의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불만 - 전체에서 부분으로 세분한 정보화
case08 설문조사 결과로 본 커뮤니케이션의 실태 - 전체상 파악
summery 세 가지 정보화 기법
Chapter 04 시나리오의 틀 만들기
사고의 틀이란 무엇인가?
case09 조직력을 이루는 요소는 무엇인가? - 틀의 구성 요소 추출
case10 개인의 힘=능력X의욕 - 인수분해를 이용한 요소 추출
case11 개인의 힘을 통합한다 - 프로세스에 의한 요소 추출
case12 젊은 직원의 의사표현을 촉진한다 -추출한 요소를 짜 맞추기
column 프레임워크를 활용하여 문제를 분석한다
summery 시나리오 틀을 만들 때 유의할 점
Chapter 05 통합의 기술
정보를 틀에 채워 넣는다
case13 조직력에 대해 한마디로 설명한다 - 공통점에 의한 정보의 통합
case14 젊은 층의 소극적인 태도, 과연 누구의 탓인가? - 독자성을 반영한 정보의 통합
case15 대응책을 만들 때 필요한 조건 - 틀의 정리
case16 젊은 층의 의사표현력을 촉진하기 위한 대응책 - 틀에 정보 채우기
summery 통합의 기술을 활용할 때 유의할 점
Chapter 06 성과물 완성을 위한 기술
성과물 정리
case17 인사부에 평가제도의 변경을 요청한다 - 상대방 분석
case18 전후 상황을 모르는 사람에게 설명한다 - 정보의 우선순위 매기기
case19 전략적으로 설명한다 - 설명 방법 결정
case20 의도한 결과를 유도하는 방법 -전달 스토리 결정
summery 성과물을 설명할 때 유의할 점
책속에서
이 세 가지 자료 중에서 가장 흥미를 가진 것은 관계자의 인터뷰 결과(자료1)였다. 이 자료가 현재 센터테크놀로지의 상황을 극명하게 나타내고 있을 것이라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인터뷰 결과를 읽어 본 후 특히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응답 열한 개를 뽑을 수 있었다. 이 응답을 잘 활용하면 될 것 같은데 지금 상태로는 바로 분석 작업에 들어갈 수 없다.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마구잡이로 모은 자료를 분류해 보자. 우선 자료1에서 선정한 열한 개의 응답을 살펴보자. - 본문 53쪽, 'case 01 인터뷰 결과를 그룹핑한다-테마 파악하기'에서
다음으로 나는 사내 분위기에 관한 응답을 정보화해야겠다고 생각했다. 마침 그때 다음의 응답 내용이 눈에 들어왔다.
의료사업부 부장 : 요즘 사내 분위기가 많이 가라앉아 있다. 실적이 부진한 탓도 있겠지만, 이럴 때일수록 밝고 활기찬 분위기를 만들어야 한다. 특히 젊은 직원들의 의욕적인 모습을 찾아보기 어렵다.
사내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응답 내용에 비해 표현이 꽤 추상적이다. 그래서 의료사업부 부장을 만나 이 응답 내용에 대해 구체적으로 들어보기로 했다. 이를 조금 더 구체화하려면 어떤 점에 신경을 쓰면서 들어야 할까? - 본문 95쪽, '젊은 직원의 소극적인 태도에 대한 부장의 불만-추상적인 데이터의 구체화'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