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헤겔 예술철학

헤겔 예술철학

(베를린 1823년 강의. H. G. 호토의 필기록)

게오르그 빌헬름 프리드리히 헤겔 (지은이), 한동원, 권정임 (옮긴이)
미술문화
2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5,000원 -0% 0원
1,250원
23,7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8개 16,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헤겔 예술철학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헤겔 예술철학 (베를린 1823년 강의. H. G. 호토의 필기록)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예술/대중문화의 이해 > 미학/예술이론
· ISBN : 9788991847378
· 쪽수 : 512쪽
· 출판일 : 2008-01-25

책 소개

헤겔이 1823년 베를린 대학에서 실시한 예술철학 강의를 직접 받아쓴 필기록이다. 헤겔 사유의 흐름과 발전을 파악하게 할 뿐 아니라, 예술에 대한 헤겔의 근본적인 입장, 즉 정신철학적 및 역사철학적인 입장을 분명하게 보여준다.

목차

호토의 난외주석에 따른 분류
참고도판

편집자 해제
헤겔의 예술철학 - H. G. 호토가 받아 쓴 1823년 베를린 예술철학 강의 노트의 편집에 관하여 : 안네마리 게트만-지페르트

들어가는 말

일반부분
미 일반
예술미 혹은 이념상
이념상의 현실성
일반적 예술형식
상징적 예술형식
고전적 예술형식
낭만적 예술형식
1) 종교적 영역
2) 세속적 영역
3) 주관성의 형식주의

특수부분
건축
1) 자립적 혹는 상징적 건축
2) 고전적 건축술
3) 고딕적 혹은 낭만적 건축술
조각
회화
음악

1) 서사시
2) 서정적인 것
3) 극시(劇詩)

부록
언급되는 책
편집자와 역자의 주
용어해설
역자해설
필자소개
사항색인
인명색인

저자소개

게오르그 빌헬름 프리드리히 헤겔 (지은이)    정보 더보기
헤겔은 자유와 이성을 원리로 삼아 독일 관념론, 더 나아가 근대 철학을 완성한 동시에 그 한계를 반성한 철학자이다. 그는 1770년 8월 27일 독일 서남부에 위치한 슈투트가르트에서 출생하여 1831년 11월 14일 61세의 나이로 베를린에서 사망한다. 18세에 튀빙겐 대학교에 입학하여 신학부를 졸업한 후 스위스 베른과 독일 프랑크푸르트에서 가정교사 생활을 한다. 헤겔은 대학 재학 중 이웃 나라 프랑스에서 발발한 프랑스 혁명의 이념과 나폴레옹에 의한 그 제도적 확산을 평생 열렬히 지지한다. 이 시기의 주요 저작으로는 「예수의 생애」, 「그리스도교의 실정성」, 「종교와 사랑」, 「그리스도교의 정신과 그 운명」 등이 있다. 31세에 예나 대학교에서 교수자격시험을 통과한 후 처음에는 사강사로서, 나중에는 비정규 교수로서 7년간 강의를 담당한다. 이 기간에 「피히테와 쉘링의 철학 체계의 차이」, 「신앙과 지식」, 「자연법」 논문 등을 발표하고, 나중에 유고로 출간될 『인륜성의 체계』와 일련의 『체계 초고』 등의 원고를 남긴다. 청년 헤겔은 자신의 시대를 분열의 시대, 죽은 법과 사물이 지배하는 시대로 진단하고 이에 대한 해결책을 그리스도교적 사랑과 고대 그리스적 인륜성에서 찾는다. 예나 후기에 집필되어 1807년에 출간된 『정신현상학』은 헤겔의 청년기를 매듭지으면서 원숙기로 넘어가는 전환점이 되는 작품이다. 프랑스와 치른 전쟁의 여파로 밤베르크로 이주하여 잠시 『밤베르크 신문』의 편집장을 맡았다가 다시 뉘른베르크로 이주하여 김나지움 교장으로 8년간 재직한다. 이 시기 동안 자신의 학문 방법론이자 사유와 존재의 운동 원리인 사변적 변증법을 체계화하여 「존재론」, 「본질론」, 「개념론」의 총 3권으로 구성한 『논리학』을 완성하여 출간한다. 46세에 하이델베르크 정교수로 취임하여 2년간 재직하면서 「논리학」, 「자연철학」, 「정신철학」으로 이루어진 『철학 백과전서』를 출간하면서 자신의 철학 체계를 집대성하고, 또 「뷔르템베르크 왕국 신분 의회의 심의」 등의 글을 발표한다. 48세에 피히테의 후임으로 베를린 대학교에 취임하여 철학 교수로 재직하면서 철학부 학장과 대학교 총장을 역임한다. 베를린 시기 동안 『법철학』을 비롯하여 『철학 백과전서』 제2판과 제3판을 출간하고 「영국의 개혁 법안에 대하여」 등의 글을 발표한다. 후기의 주저인 『법철학』에서 그는 그리스적 인륜성과 근대적 자유를 통합한 근대적 인륜성의 이념을 기반으로 하여 법과 도덕, 가족, 시민사회, 국가 등의 사회 제도를 원리적으로 구성하려고 기획한다. 그 밖에도 이후 유저로 출판될 『역사철학 강의』, 『미학 강의』, 『종교철학 강의』, 『철학사 강의』 등의 강의 원고를 집필한다.
펼치기
한동원 (옮긴이)    정보 더보기
강원대학교 명예교수. 1967년 서라벌 예술대학교에서 김동리, 이범선 교수에게서 단편소설을 배우고 졸업하였으며, 소설을 잘 쓰려면 철학을 공부해야한다는 조언을 듣고 1986년 고려대학교 철학과에서 헤겔철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부산여자대학과 강원대학교에서 철학과, 영상학과 교수로서 미학, 영화를 강의하고 정년퇴임했다.
펼치기
권정임 (옮긴이)    정보 더보기
강원대학교 미술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홍익대학교 대학원 미학과에서 석사학위를 취득한 후, 독일 하겐대학에서 헤겔 미학 연구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헤겔의 예술규정. 헤겔 미학 내 상징적 예술형식의 의미(Hegels Bestimmung der Kunst. Die Bedeutung der symbolischen Kunstform in Hegels Asthetik)』(W. Fink 2001)를 비롯한 여러 편의 국외 연구들과, 독일 관념론 및 헤겔 미학 활성화에 관한 다수의 국내 연구들이 있다. 1826년 헤겔 미학 강의필기록 편찬[『헤겔 예술철학. 1826년 강의(Georg Wilhelm Friedrich Hegel. Philosophie der Kunst. Vorlesung von 1826)』(Suhrkamp 2004)]과 1823년 헤겔 미학 강의필기록 번역[『헤겔 예술철학. 베를린 1823년 강의. H. G. 호토의 필기록』(미술문화 2008)] 등을 통해 헤겔 미학의 새로운 원전 연구를 이어 가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예술작품은 그 자체를 위해서가 아니라 우리를 위해 있다. 우리는 거기에서 마땅히 편안함을 느껴야 한다. 배우들은 자신들끼리만 이야기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에게 이야기한다. 이는 모든 예술작품에서 마찬가지이다. 이상이 현존재로 들어선다는 것은 개별적 특수성을 보유하고 그리하여 우리와 구별되는 측면을 가리킨다.-p192 중에서

머리와 달리 팔다리에 관해서 보면, 여기서는 다른 질서가 중요하다. 얼굴을 통해서는 정신성이 현상된다. 팔다리는 생동적이며 생동적으로 아름다울 수 있으나, 그럼에도 정신적인 것은 팔다리 자체가 아니라 서로서로의 움직임과 자세에 의해서만 현상된다.-p338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