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한국철학 > 한국현대철학
· ISBN : 9788992008723
· 쪽수 : 288쪽
· 출판일 : 2017-09-08
책 소개
목차
1부. 지금 이 자리에서 행복해지기
지금 이 순간, 지금 내가 만나는 사람 ┃ 우리는 누구나 여행자일 뿐 ┃ 현재에 집중하자
오늘을 어떻게 살 것인가? ┃ 먼저 자신을 사랑하자 ┃ 완벽하지 않은 나를 받아들이자
작은 것에도 감사할 줄 아는 마음 ┃ 남의 생각에 휩쓸리지 말고, 자기 자신을 탐구하라
화를 다스리는 삶을 살자 ┃ 마음을 다스리는 호흡법 ┃ 지혜를 얻는 호흡법
좋은 사람을 곁에 두는 방법 ┃ 가끔 쉬어가는 지혜 ┃ 자기 삶의 주인공이 되자 ┃ 나만의 색깔로 산다
내가 바뀌어야 세상도 바뀐다 ┃ 독서삼매경의 즐거움 ┃ 철학을 통해 삶의 의미를 찾자
고통을 마주하는 방법 ┃ 세상을 소요하면서 살자긍정의 두뇌 혁명 ┃ 사랑과 희망의 이중주 지금 여기서 찾아라 ┃ 마음이 건강한 삶 ┃ 황혼녘에 깨닫는 인생의 지혜
2부. 강한 사람으로 거듭나기
자기 능력을 잘 파악하자 ┃ 내 안에 잠자고 있는 성공의 씨앗 ┃ 몰입과 결단력 ┃ 실행으로 승부하라
말은 천천히 행동은 빠르게 ┃ 변화의 물결을 타라 ┃ 간절한 마음으로 현실에 충실하라
늘 갈구하고, 바보짓을 하라 ┃ 매사에 치우치지 말라 ┃ 시련과 실패를 넘어
막힘없이 살아가기 위한 세 가지 역량 ┃ 절망과 한계를 넘어서는 법 ┃ 언행을 관리하는 기술
진정한 앎이란 무엇인가? ┃ 지금 하고 있는 일을 즐겨라 ┃ 지도자의 얼굴 ┃ 무소유의 지혜를 찾아서
현재를 잘 살려면 집착에서 벗어나라 ┃ 인생이라는 사막 앞에 섰을 때 ┃ 자신에 대해 웃을 수 있는 사람
성장에는 모든 과정이 필요하다 ┃ 어떤 순간에도 포기하지 말라 ┃ 선한 욕망의 추구
정의와 군자의 의무 ┃ 우뇌를 활용한 자기 혁명 ┃ 기도의 위대한 힘
3부. 스스로 지혜롭게 깨어 있기
자각하면 밝아진다 ┃ 두 종류의 행복 ┃ 진정한 행복의 조건 ┃탐욕을 비우자 ┃ 첫 마음으로 돌아가자
집착하지 말라 ┃ 고통은 실체가 없는 것 ┃ 비워야 지혜가 생긴다 ┃ 눈에 보이는 것의 허망함
마음의 평정을 자각하라 ┃ 변하는 것과 변하지 않는 것 ┃ 마음이 곧 깨달음이다
분별하지 않아야 편안해진다 ┃ 언어로 표현할 수 없는 것 ┃ 광명의 마음을 되찾자
내면적 자아를 들여다보기 ┃ 언제 진리를 만날 수 있는가? ┃ 오직 마음에 답이 있다
내 안에 소우주가 있다 ┃ 두 가지 마음에 대한 이해 ┃ 마음은 늙지 않는다
간절한 마음으로 가고 또 가면 열릴 것이다 ┃ 버리지도 말고, 구하지도 말라
4부. 소중한 인연과 더불어 살아가기
다른 사람을 먼저 돕는다 ┃ 인연을 소중하게 여겨라 ┃ 관계를 중시하는 동양사상
본질의 사상, 관계의 사상 ┃ 좋은 운을 만드는 방법 ┃ 필연으로 얽힌 소중한 인연들
타인의 결점을 대하는 방법 ┃ 귀 기울여 들으라 ┃ 좋은 인연은 나를 바르게 자라게 한다
친절함이 만드는 세상 ┃ 사랑하기 때문에 이해하는 것 ┃ 인생의 동반자 ┃ 상대방이 있어야 내가 있다
저자소개
책속에서
“지금 이 순간은 생에 단 한 번의 시간이며, 지금 이 만남은 생에 단 한 번의 인연이다.” 이것이 바로 일기일회이다. 조금만 깊게 생각해보면, 삶이란 정말 소중한 것이다. 따라서 순간순간을 늘 인식하며 살아가야 한다. 책에 담긴 내용을 하나 더 소개하자면 이런 것이다. 삶을 소유물로 여기기 때문에 우리는 소멸을 두려워한다. 삶은 소유가 아니라 순간순간의 있음이다.
이를 구체화시킨 것이 장자의 『남화경(南華經)』이라는 경전인데 그 첫 장의 내용이 ‘소요유(逍遙遊)’이다. 소요유 란, 바라는 것 없이 노닌다는 뜻으로 아무런 의미 없이 노는 것이 아니라 자기 자신이 자연과 일치가 돼서 노는 것이다. 장자는 인간이 누릴 수 있는 절대 자유의 경지를 이야기하면서 소요유를 시작한다.
인격의 완성이란 대체로 슬기로움과 어짐과 용기, ‘지인용(知仁勇)’ 세 가지의 덕성을 갖추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어떤 때에도 통하는 세 가지 덕목이라 하여 ‘삼달덕(三達德)’이라고도 부른다. 이와 관련해 공자께서는 이런 말씀을 하셨다. “자왈지자불혹(子曰知者不惑)하고 인자불우(仁者不憂)하니 용자불구(勇者不懼)라. 지혜로운 사람은 미혹되지 않고, 어진 사람은 근심하지 않으며, 용감한 사람은 두려워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