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사상/사회사상사 > 사회주의/공산주의
· ISBN : 9788992055635
· 쪽수 : 240쪽
· 출판일 : 2017-10-10
책 소개
목차
서문
프랑스어판과 독일어판 서문
1장 생산의 집중과 독점
2장 은행과 그것의 새로운 역할
3장 금융자본과 금융과두제
4장 자본수출
5장 자본가 연합들 사이의 세계 분할
6장 열강들 사이의 세계 분할
7장 자본주의의 특수한 단계로서의 제국주의
8장 자본주의의 기생성과 부패
9장 제국주의 비판
10장 제국주의의 역사적 위치
옮긴이 후기
찾아보기
리뷰
책속에서
그 토대는 바로 자본주의의 기생성과 부패다. 그리고 이는 자본주의의 역사적 최고 단계인 제국주의의 고유한 특징이다. 이 소책자에서 증명한 바와 같이, 자본주의는 지금 전세계를 약탈하는?단지 ‘이자놀이’만으로?한 줌의(세계 인구의 10분의 1도 안 되는, 아무리 ‘관대하게’ 부풀려 잡는다 해도 5분의 1도 안 되는) 극히 부유하고 강력한 국가들을 탄생시켰다. 전쟁 전의 부르주아지의 통계에 따르면 그들은 자본수출을 통해 전쟁 전의 가치로 연간 80~100억 프랑의 수입을 얻었다. 물론 지금은 훨씬 더 많다.
부르주아화된 노동자 계층, 다시 말해 ‘노동귀족’은 생활양식에서, 임금 수준에서, 모든 세계관에서 전적으로 소시민적인데, 이들은 제2인터내셔널의 주요한 기둥이고 요즘은 (군사적으로는 아니라도) 부르주아지의 주요한 사회적 기둥이다. 왜냐하면 이들은 실질적으로 노동계급 운동 내에서 암약하는 부르주아지의 첩자이자, 자본가계급의 노동 관리인들이며 실제로 개량주의와 배외주의를 전파하고 있는 자들이기 때문이다. 프롤레타리아트와 부르주아지의 내전에서 그들 중 적지 않은 수가 필연적으로 부르주아지 편으로, ‘코뮌파’에 반대하는 ‘베르사유파’쪽으로 넘어간다.
이러한 현상의 경제적 뿌리를 이해하지 못하고, 그것의 정치적·사회적 의미를 평가하지 못한다면, 공산주의 운동과 임박한 사회혁명의 실천적 과제를 해결함에 있어서 한 걸음도 나아갈 수 없다.
제국주의는 프롤레타리아트 사회혁명의 전야다. 이것은 1917년 이래 전세계적인 차원에서 확인되었다.
“순수한 경제활동의 영역에서도 종전 의미의 상업 활동에서 조직적·투기적 활동으로 이동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가장 큰 성공을 누리고 있는 것은 자신의 기술적·상업적 경험을 토대로 구매자들의 요구를 가장 잘 판단하여 잠재 상태에 있는 수요를 발견할 수 있는, 다시 말해 그것을 ‘열어놓을’수 있는 상인이 아니라 투기의 천재(?!)들이다. 개별 기업들과 은행들 사이의 조직적인 발전, 일정한 관계가 맺어질 가능성 등을 예측하거나 적어도 예감 정도는 할 수 있는…….”
이것을 일상적인 말로 번역하면 이러한 뜻이 된다. 즉 자본주의의 발전은, 상품생산이 여전히 ‘지배적이고’ 모든 경제의기초로 간주되고 있긴 하지만, 실제로는 이미 파괴되었으며 주요한 이윤은 금융 조작의 ‘천재’들에게 돌아가는 단계에 이르렀다는 것이다. 이러한 금융 조작과 협잡의 토대는 당연히 생산의 사회화다. 하지만 이렇게 사회화에까지 도달한 인류의 거대한 진보는 투기꾼들만 이롭게 하고 있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