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음악 문화와 감성 정치

음악 문화와 감성 정치

(근대의 음조와 그 타자)

최유준 (지은이)
작은이야기
16,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4,400원 -10% 2,500원
800원
16,1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4개 10,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음악 문화와 감성 정치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음악 문화와 감성 정치 (근대의 음조와 그 타자)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음악 > 음악이론/음악사
· ISBN : 9788992132183
· 쪽수 : 274쪽
· 출판일 : 2011-07-20

책 소개

감성총서 시리즈 4권. 문화연구의 층위에서 음악을 재해석하기 위한 방법론적 기초를 마련하고자 펴낸 책이다. 사회나 문화, 그리고 정치적 관계와 같은 음악 외적 사실을 도외시한 채 음악 형식이나 음악작품을 논하고 평가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식의 관점을 무너뜨리는 것이 이 책의 일차적 목표이기도 하다. 곧, ‘음조의 문화적 의미는 무엇인가?’ 하는 물음이 이 책의 핵심적 과제가 된다.

목차

머리말 5
1장. 감성적 소통의 체계로서의 음조와 음조성
1. 성(소리)과 음 : 음조 개념의 문화론적 재인식을 위하여 17
가. 음악이론과 개념의 해체 17
나. 성과 음의 경계 21
2. 음조성에 내재된 문화적 관습화와 규범화의 논리
가. 용어의 문제 : ‘조성’에서 ‘음조성’으로 31
나. 음조성의 자연적 근거 31
다. 음조성의 문화적 근거 44

2장. 기능화성적 음조성의 확립과 서구 음악의 근대적 전환
1. 구술문화에서 문자문화로 53
가. 음조성과 문화적 규범의 변화 53
나. 구술문화의 모드 음조성 58
다. 문자문화의 기능화성적 음조성 63
2. 기능화성적 음조성과 음악적 근대의 조건 69
가. 모드 음조성과 암시적 시공간 69
나. 음악적 명시화와 절대 시공간의 탄생 75
다. 기능화성적 음조성의 구조적 확립 80

3장. 기능화성적 음조성의 헤게모니와 음악적 근대성
1. 기능화성적 음조성에 반영된 근대적 주체와 객체 89
가. 원근법적 세계와 음악적 풍경의 발견 89
나. 기능 음조적 화성과 ‘재현양식’ 96
다. 음악적 근대성과 화해의 이념 102
라. 음악적 자율성과 음악작품의 탄생 107
2. 기능화성적 음조성의 지배 이데올로기와 타자의 담론 112
가. 평균율과 음악적 자연지배 112
나. 음악적 젠더, 혹은 음악적 타자의 형성 118
다. 음악 공동체의 분열과 절대적 타자로서의 무음조성 126

4장. 대중매체 시대의 음악 문화와 감성 정치
1. 매체의 변화와 2차적 구술시대 137
가. 재생기술과 대중음악 137
나. 대중매체와 2차적 구술시대 141
2. 음조성의 탈중심화와 탈근대의 음악 148
가. 작품에서 연행으로 - 상대적 타자로서의 음조성 148
나. 블루스 음악의 상호주관적 음조성 155
다. ‘대중음악’ 혹은 토착어 음악의 문화정치학 160
맺는말 167

보론
1. 대중음악과 민중음악 사이 - 김민기의 매체 실험, <공장의 불빛> 173
2. 잡종음악의 오리엔탈리즘 - 뮤지컬 <미스 사이공>의 경우 191
3. 1930년대 한국 도시 음악 문화의 식민적 근대성과 월드뮤직 퍼스펙티브 213
참고문헌 232
주 석 238
찾아보기 268

저자소개

최유준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과 호남학과, 문화유산융합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전공 분야는 미학과 예술비평, 음악학과 문화연구다. 지은 책으로 《음악문화와 감성정치: 근대의 음조와 그 타자》(2011), 《크리스토퍼 스몰, 음악하기》(2018), 《조율과 공명》(2018), 《모모는 철부지: 전일방송 대학가요제의 기억》(공저, 2021) 등이 있으며, 옮긴책으로 《뮤지킹 음악하기: 지금 음악회장에서는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을까?》(2004), 《아도르노의 음악미학》(2010), 《비서구 세계의 대중음악》(2012), 《지식인의 표상》(2012), 《음악은 왜 중요할까?》(2024) 등이 있다. 근대성과 지역성에 대한 비판적 사유를 바탕으로 전 지구화 시대의 음악과 예술, 일상 문화에 대한 대안적 상상력을 탐구하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예컨대 경상도 사투리, “가가 가가가?(그 애가 가씨 성을 가졌나?)”는 화용론적 맥락과 경상도 지역의 독특한 음조에 대한 이해를 전제하지 않고서는 해독이 불가능하다. (...)
음조는 (음악적 층위에서건 언어적 층위에서건) 예술가 개인의 자율적 감성과 연관되기보다는 집단화된 공동체적 감성과 깊이 관련된다. 인지적 차원에서 볼 때 음조는 문화적으로 학습되어 환기되는 청자의 기대expectation 범위 내에서 작동할 때에만 그 의미를 가질 수 있는 것이다. (...)
결국 ‘음조성의 죽음’이나 ‘무음조성’ 따위의 내용 없는 수사로 ‘현대 음악’의 특징을 서술하는 것은 무의미해 보인다. 중요한 것은 오히려 ‘감성적 코드’로서의 음조와 음조성이 갖는 풍부한 소통적 의미를 계속해서 문화론적 맥락에서 탐구하고 재구성하는 것이다.
-머리말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