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서양철학 > 독일철학
· ISBN : 9788992151160
· 쪽수 : 295쪽
· 출판일 : 2008-05-10
책 소개
목차
옮긴이의 글_ 예술의 진풍경이 열리는 사유의 장소
왜 하이데거인가?
서양 문명의 절대 가치에 도전한 '반동적'사상가
01 이론적인 것의 한계들
하이데거의 '존재역사'
이론의 전前 이론적 조건들
무관점의 견해
올바름의 진리와 비은폐성의 진리
02 심층역사
인간을 규정하는 '존재역사'
심층역사에서는 무엇이 일어나는가?
기술 과학의 세기
03 예술 작품의 근원
기술 시대에 예술 작품의 가능성
미메시스의 거부
세계의 낯섦
작품의 독특성
'대지': 하이데거의 '비토대적 사유'
'대지'와 언어
04 예술의 죽음
보존
현대 예술 : 예술은 끝났는가?
05 언어와 전통, 사유의 수공업
하이데거의 언어 실험
언어
전통과 흔적
번역들
철학적 용어 읽기
하이데거의 언어 실험
퀴즈가 있는 막간 - 문학작품은 무엇인가?
06 하이데거와 시적인 것
하이데거와 문학비평
프리드리히 횔덜린
하이데거적인 책읽기는 어떤 것인가? - 근본 특징들
하이데거의 "게르마니아" 읽기
07 나치즘과 시, 정치
하이데거와 나치즘
하이데거의 침묵?
예술과 정치학
독자의 딜레마
하이데거 이후
모든 사유의 불가피한 준거점
미국의 하이데거 : 낭만주의적 '후기구조주의'?
해석학
블라쇼, 데리다와 탈구성
하이데거의 모든 것
마르틴 하이데거의 저작
마르틴 하이데거에 관한 저작
문학과 비판적 논제
참고문헌
찾아보기
책속에서
하이데거가 보기에, 일단 예술의 세계-탈은폐가 예술을 향한 한갓 심미적 경험의 원천, 또는 문화적 유물이거나 역사적 유물로서 간주하는 태도로 뒤덮여 가려지자마자, 예술은 죽는다. 거기에 덧붙여서, 작품이 거의 전적으로 대학에서 비평 학습의 대상이나 박물관의 공공 전시 대상으로 가치 평가될 때에도, 예술은 죽음을 맞이한다. (121쪽, '예술의 죽음' 중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