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건축 > 건축이론/비평/역사
· ISBN : 9788992214438
· 쪽수 : 358쪽
· 출판일 : 2008-02-25
책 소개
목차
서문: 서울에서 길을 잃는다는 것의 의미
나의 서울읽기
우리는 아름다운 도시에 살고 있다
나의 집은 백만 평
부엌 속의 미군기지 : 도시 원형의 생태적 회복을 위하여
도시는 채우는 것보다 비우는 것이 더 중요하다 : 용산 가족공원과 박물관
압구정로, 삼성로 : W-P-F-R-A
테헤란로, 법원에서 운동장 사이 : 독점자본의 외딴섬
서울의 집단기억
서울의 근대화 과정의 쟁점과 과제
광화문에서 남대문까지
마당에서 광장까지
세종로, 왕조시대의 마당에서 민주사회의 광장으로
오래된 미래 : 북촌에 대하여
선유도 공원 : 잊혀진 땅의 귀환
겸재의 그림에서 영감을!
한강의 풍경과 시민
기억의 소멸이 미덕인 도시여 : 서울역
몬화도시 서울, 어떻게 만들 것인가
상징과 우상
서울의 상징 이미지 : 도시의 상징물은 보물찾기가 아니다
새로운 공간 문화를 위하여 : 서대문 형무소, 사형당한 역사적 유산
기표 : 천년의 문, 기의 : 천년의 후회
권력과 공공건축
도시, 건축의 정치학 : 그 폐허의 이미지
정권 이데올로기와 건축문화
전쟁을 기념하는 사회, 전쟁을 기념하는 건축
새로운 국회 : 수선보다 재생을
서울의 건축문화
미완의 건물, '예술의 전당'
누가 힘을 가지고 무엇을 하는가? : 국립중앙박물관 건립계획에 즈음하여
국립중앙박물관의 비극 : 미국인과 한국인에게 보내는 편지
국립중앙박물관과 도시 서울의 관계에 대한 제언
서울시립장제장 : 관념적 사고의 건축적 해석
럭키금성 트윈타워
캘리포니아에서 밀레니엄까지 : 일산 '러브호텔'이 던지는 쟁점들
서울대학교 관악캠퍼스 읽기 : 변방의 미로
한국의 건축문화와 사회 : 서울 시청사의 축복받는 탄생을 위하여
건축에서 문화로 가는 길에 만난 7가지 장면들 : 견딤과 애정의 쌓임이 문화를 만든다
서울의 풍경들
사라진 풍경
사라지고 있는 풍경
생성되는 풍경
충돌하는 풍경
일상의 풍경
지속되는 풍경
후기 : 서울의 문화적 개혁을 위해
출원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이제 서울에 산다는 것은 세계를 사는 것이다. 수많은 종류의 사람들이 이루 헤아릴 수 없이 많은 삶의 방식 속에서 저마다 다른 가치관과 각기 다른 욕망을 분출하고, 기쁨과 희망과 슬픔과 고통과 좌절의 궤도를 돌고 있다. 매일매일의 일상성은 천일야화를 만들고, 또한 서울의 역사를 만들어나간다. 이런 현상을 두고 나는 서울을 아직 열어본 적이 없는 '의미의 창고'라고 말한 적이 있다. '오직 쓰기만 하고 한 번도 제대로 읽어본 적이 없는 대하소설'이라고도 명명한 적이 있다. - 본문 7쪽에서
우리는 성장한 뒤 세 종류의 집 속에 동시에 거주하게 된다. 유년 시절을 보내던 기억의 집과 현재 살고 있는 집, 그리고 만일 우리가 아직도 용기 있고 사는 것에 대한 열정이 있다면 살아보고 싶은 꿈속의 집이 그것이다. 이 세 가지 집이 겹쳐서 하나가 된 집에 사는 사람은 인간으로서 참 행복한 사람이다. 그러나 그것이 불가능할 때 '집'으로부터 자유로워지는 방법밖에는 없지 않겠는가? 그것은 자기 자신의 신체에 맞는 고유한 리듬을 찾아내어 사는 삶의 방식이다. 그리고 삶을 기록하고, 세월의 켜와 함께 공간에 누적시키는 버릇을 버리고 모두 거두어들이는 것이다. - 본문 33쪽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