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기업 경영 > 조직/인력/성과관리
· ISBN : 9788992286633
· 쪽수 : 240쪽
· 출판일 : 2008-06-20
책 소개
목차
CQ 향상을 위한 스킬 1단계
협업을 방해하는 가정과 믿음 찾아내기
CQ Tools 1 가정과 믿음 점검하기
CQ 향상을 위한 스킬 2단계
나와 팀을 바라보는 인식의 방향 전환하기
CQ Tools 2 인식의 융통성 개발하기
CQ 향상을 위한 스킬 3단계
강한 자기관리력으로 에너지 정렬하기
CQ Tools 3 자기관리력으로 바람직한 결과 이끌어내기
CQ 향상을 위한 스킬 4단계
나와 팀을 바라보는 인식의 방향 전환하기
CQ Tools 4 대화 카페 탐구하기
CQ 향상을 위한 스킬 5단계
변화무쌍한 환경과 관계 재구성하기
CQ Tools 5 칭찬으로 관계 구축하기
CQ 향상을 위한 스킬 6단계
창의력과 융통성
CQ Tools 6 월트 디즈니 식으로 창의력 개발하기
CQ 향상을 위한 스킬 7단계
의미 있는 참여
CQ Tools 7 의미를 찾기 위한 가치관 탐색하기
CQ 향상을 위한 스킬 8단계
CQ가 높은 조직으로 업그레이드하기
CQ Tools 8 변화를 이끄는 LEAD 시스템
책속에서
다른 사람을 통제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우리는 단지 자신이 느끼는 방법만을 통제할 수 있다. 만일 기억이나 다른 사람의 행동에 대한 시각을 바꾸고 싶다면 그때는 틀을 바꾸면 된다. 이를 ‘새 틀 짜기(reframing)'라고 한다. 이것은 인식 바꾸기 훈련과 더불어 우리의 변화 적응력을 키워주는 또 하나의 도구다. 그것을 알게 되면 통제당하는 대신 우리가 상황을 통제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예를 하나 살펴보자.
그레그는 상사인 제프가 주말에 나와서 일하라고 할 계획임을 알게 되었다. 그는 그러한 상사의 행동을 부서에서 자기를 가장 싫어하기 때문이라고 지레짐작했다. 이 시각으로 인해 그레그는 제프를 원망하게 되었고, 상사의 요청을 어떻게 거절할까 궁리하게 되었다. 반면 그레그가 취할 수 있는 또 다른 시각은, 제프의 주말 근무를 요청은 자기를 가장 뛰어나고 믿을 만한 직원으로 여기기 때문이라고 생각하는 것이다.
이렇게 가정하는 것은(새 틀을 짜는 것은)자신을 조직에서 가장 유능한 존재이고, 그런 요청을 받게 돼서 자랑스럽다고 생각하게 만든다. 이렇게 되면 그레그가 진정으로 주말에 나와서 일하고 싶어 하는지의 여부는 무의미해진다. 중요한 것은 그레그가 스스로 새 틀을 짰고, 그것이 그레그와 제프 간의 상호관계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그는 제프에게 화를 내서 수세(守勢)를 취할 수도 있었지만, 새 틀로 인해 그런 일은 발생하지 않았다. 이런 경우라면 제프 또한 그레그가 주말 근무가 불가능하다고 해도 마음이 편할 것이고, 만약 된다고 하면 그레그를 더 좋게 평가하게 될 것이다. 단지 상황의 틀을 살짝 바꿨을 뿐인데, 결과는 너무도 다르다.-본문 71p 중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