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영화/드라마 > 영화이론/비평
· ISBN : 9788992380003
· 쪽수 : 208쪽
· 출판일 : 2006-12-05
책 소개
목차
머리말
I. 모더니즘의 영화미학
II. 발터 벤야민. 이미지 미학과 새로운 예술로서의 영화
III. 프랑크푸르트학파의 비판 이론과 아도르노의 영화미학
IV. 크라카우어와 네오 리얼리즘 영화미학
부록 l 모더니즘 영화 미학의 대표적 에세이
1. 발터 벤야민 - 채플린에 대한 회상
2. 크라카우어 - 대중의 장식
3. 아도르노 - 영화 투시도
참고 문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프랑크푸르트에서 태어난 유태인인 아도르노는 호르크하이머와 함께 프랑크푸르트를 대표하는 이론가이다. 음학이론적 글쓰기를 통해 철학적 사고를 넓혀간 그는 자본주의의 대중문화와 사회의 물화성, 획일화된 전체주의에 커다란 회의를 표명한다. 그의 대중문화에 대한 비판, 특히 영화에 대한 비판은 이러한 관점에서 전개된다. 매스미디어를 통한 문화적 상품성이 대중의 의식을 획일적이고도 표준화의 방향으로 조작하고 있기 때문이다.
아도르노에게 있어서 영화는 이른바 '문화산업'의 중심영역에 포함된다. ... 이러한 문화산업은 모더니즘과의 긴장관계 속에서 고급예술뿐만 아니라, 저급예술에도 강압적인 모습을 띤다. 항상 동일한 것을 제공하는 문화산업의 오락적 성격으로 인해 예술은 진지함뿐만 아니라 사회에 대한 내재적인 저항마저 상실하게 된다. 문화산업을 위해 사용되면서 미학적 자유성을 단절시키는 대중매체는 대중을 위한 것이 아니고 소통의 기술을 위한 것도 아니다. 대중에게 주입된 정신과 대중매체를 지배하는 '주인'의 목소리가 부각된다. 이런 과정에서 대중은 문화산업의 척도가 아니라 이데올로기의 도구가 된다. - '프랑크푸르트학파의 비판 이론과 아도르노의 영화미학'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