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심리학/정신분석학 > 정신분석학
· ISBN : 9788992433853
· 쪽수 : 500쪽
· 출판일 : 2011-06-20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_마음은 어떻게 움직이는가
PART 1 삶의 진정한 의미
인생에는 어떤 의미가 있는가· 21
세 개의 관계· 24
무익한 존재는 타인에게 관심이 없다· 33
경험 속에서 자신의 목적을 발견한다· 39
기억은 자서전의 시초다· 47
PART 2 몸과 마음의 관계
몸이 지배하는가, 마음이 지배하는가· 57
몸의 발달은 마음에 의해 결정된다· 63
불완전함은 잘 훈련된 정신에 의해 통제된다· 71
억압하면 반항적이 된다· 77
긴장하는 사람은 움직인다· 83
결정은 항상 과학보다 직감이 우선한다· 89
PART 3 열등감과 우월감의 발견
열등감이란 무엇인가· 95
자살로 우월감을 얻으려는 사람이 있다· 100
약한 동물은 무리를 지어 생활한다· 106
우월을 위한 노력은 자연스러운 것이다· 113
열등감은 부모의 영향을 받는다· 125
PART 4 기억의 실체와 비밀
모든 표현은 문제 해결의 열쇠가 된다· 133
최초의 기억은 단순하고 압축되어 있다· 140
변화하기 위해서는 신념에서 벗어나야 한다· 156
응석받이는 타인에게 책임을 전가시킨다· 158
때로는 형제간의 순위가 성격을 결정한다· 162
PART 5 꿈의 이해와 사용법
사람은 자신의 꿈에 관심과 의미를 갖는다· 173
꿈의 목적은 무엇인가· 179
사람은 마음속에 자기만의 인생행로를 만든다· 191
경쟁심은 때로 못된 행동으로 나타난다· 201
타인을 지배하고 싶은 사람은 친구가 없다· 208
꿈은 실제로 위험을 알려주기도 한다· 213
PART 6 협동능력과 가족의 영향
어머니는 아이에게 무엇인가· 221
어머니는 신과 같은 창조적인 일을 한다· 228
자는 것과 깨어 있는 것은 동일한 상태다· 234
불행한 부모는 아이에게도 영향을 미친다· 242
행복은 유익한 가족들의 창조물이다· 250
탄생순위에 따라 이익이나 불이익을 받는다· 259
PART 7 교육과정과 학교의 영향
학교란 무엇인가· 277
집에서는 괜찮은데 학교에서는 문제아· 283
아이에게도 마음이 있다· 291
성격에는 유전적인 요인이 존재한다· 296
남녀공학의 장단점· 305
협동심을 가르치는 것이 최선의 교육· 313
PART 8 사춘기의 발달과 성
사춘기란 무엇인가· 321
사춘기의 문제는 대부분 책임 회피다· 327
사춘기에는 성관계가 과대평가 된다· 335
자녀들을 기만하지 않아야 한다· 340
PART 9 범죄의 심리학적 예방
사람은 왜 죄를 저지르는가· 347
범죄자들은 사고방식이 다르다· 354
협동정신의 결여는 부모의 책임이다· 360
영웅이 되고 싶은 겁쟁이들· 367
범죄자는 사회감정에 적대적이다· 376
범죄의 원인은 유아기에 싹튼다· 386
교사를 훈련시켜야 희망이 있다· 403
PART 10 직업과 교제
모든 사람이 맺고 있는 세 가지 인연· 413
최초의 기억이 직업에 영향을 준다· 420
천재는 인류에게 공헌한다· 425
돈은 사회문제를 회피하는 도구가 될 수 있다· 429
PART 11 인류의 구성원으로서의 인간
인류의 진보는 가정에서 시작된다· 435
나는 인간을 보면 개가 되고 싶어진다· 441
증오는 우울증을 불러온다· 444
사회감정에 대한 잠재능력은 유전된다· 450
PART 12 사랑과 결혼의 조화
결혼이란 무엇인가· 457
두 사람이 서로 평등해야 결혼이다· 463
자신이 훈련된 범위에서만 선택도 가능하다· 469
이혼은 결혼의 도피처가 될 수 있는가· 475
우정은 훌륭한 결혼을 위한 준비가 된다· 481
사랑에는 여러 종류가 있다· 488
에필로그_알프레드 아들러의 생애 497
리뷰
책속에서
의미라는 것은 언제나 미완성의 것, 불완전한 것, 아니 오히려 결코 완전할 수 없는 것이라고 생각하는 게 당연하다. 수많은 의미로 가득 찬 세계는 과실로 가득 찬 세계와 같다. 우리가 어떤 사람에게 “인생의 의미란 무엇입니까?”하고 묻는다면, 그는 선뜻 대답할 수 없을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이 문제로 수없이 고민하기도 하지만 쉽게 답을 얻지는 못한다.
어떤 살인자는 독이 들어 있는 병을 손에 쥐었을 때, 뭔가 마음이 든든해지는 것 같은 느낌이 들었다고 고백했다. 그런 말을 들으면 보통의 사람들은 살인자가 자기 자신밖에 모르고 다른 사람은 안중에 없다는 생각이 들 것이다. 또한 독이 든 병을 들고 있는 게 대단한 가치를 주는 일이라고도 생각하지 않을 것이다.
식물이 예견을 할 수 있다든가, 모든 결과를 앞당겨 볼 수 있다고 해도, 그런 능력은 식물에게 도움이 되지 않는다. 식물에게 있어서 ‘누군가가 이쪽으로 오고 있다. 곧 그는 나를 밟아버릴 것이다. 그리고 나는 그의 발아래에서 무참히 죽게 되겠지’라고 생각하는 게 어떤 이익이 될까. 식물은 뿌리를 내린 곳에서 도망쳐 나올 수 없다. 그렇지만 움직이는 동물들은 행동을 예견할 수 있으며, 어떤 방향으로 움직여야 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사실로 인해 동물에게는 마음이나 영혼이 있다고 가정해 볼 수 있는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