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조선사 > 조선시대 일반
· ISBN : 9788993119848
· 쪽수 : 284쪽
· 출판일 : 2015-01-26
책 소개
목차
저자의 글
제1장 혼란한 시대를 온몸으로 살아낸 여인들
굴절된 시대를 살아간 전설의 무희, 최승희
한 시대를 풍미한 유행가의 여왕, 왕수복
잘라낸 무명지로 쓴 대한독립, 남자현
평생 가슴에 품은 시 한구절, 김영한
제2장 세상의 규율에 예속되지 않았던 여인들
그리움의 시로 쌓은 탑, 김부용
살아서도 죽어서도 사랑을 기다렸던 여인, 매창
중국 사신도 감탄한 경성의 자태, 자동선
주어진 운명을 버린 자유로운 영혼, 황진이
제3장 규방 안에서 자신의 삶을 개척한 여인들
이루지 못한 가문부활의 꿈, 김삼의당
퇴계학풍을 온몸으로 지켜낸 여자 선비, 장계향
성인의 경지를 꿈꾼 규중 철학자, 임윤지당
규방 밖의 삶을 갈망한 조선의 베스트셀러 작가, 이씨 부인
제4장 은폐된 기억 속에서 되살아난 여인들
임금에게 남편을 고발한 여인, 초월
수백 년간 간직한 미투리 여인의 편지, 마혜
미천하게 태어나 고귀하게 죽은 여인, 숙빈 최씨
봄날 꽃잎 같은 삶을 살았던 비운의 왕비, 인현왕후
사랑하는 이를 위해 악녀의 굴레를 쓴 여인, 장희빈
저자소개
책속에서
여인들이 남긴 일상의 감회와 다양한 심경들은, 마치 그들을 지금 내 앞에서 만나는 것처럼 생생한 감동으로 다가왔다. ‘아, 이 시 속에 들어 있는 여인을 찾아내서 복각(復刻)하면, 남자 세상에서 왜곡되고 축소되고 희화화된 그녀들의 삶의 진상을 지금보다 조금은 더 생생하게 만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하게 된 건 그즈음이었다. (중략) 그녀들의 삶이 알려진 것과는 상당히 다르다는 것을 발견했다. 시에는 시간이 숨어 있고 장소가 제시되기도 하고 인간관계나 삶의 상황과 맥락이 행간에 흐른다. 이것은 그녀들의 팩트(fact)다. _6~7쪽, 〈저자의 말〉중에서
남편이 순국할 무렵 남자현은 어렵사리 가진 첫 아이를 임신하고 있었다. 삶이 와르르 무너진 스물세 살 과부는 일본에 대한 분노와 증오를 새겼다. 그러나 그녀는 의병활동을 하기에는 역부족인 여자였고, 또 모셔야 할 시부모와 키워야 할 아이가 있었다. 하지만 그녀는 운명에 순응하며 묵묵히 집안일을 감내하고만 있지 않았다. (중략) 그랬기에 어수룩한 촌부(村婦)로 사는 듯 보였던 그녀는 독립운동을 펼치는 영양 일대의 운동가들과 교류하기 시작했고 마침내 경성을 지나 만주로까지 활동무대를 넓혔다. _61쪽, 〈제1장 혼란한 시대를 온몸으로 살아낸 여인들〉 중에서
미인이란 어떤 사람을 말하는가? 어떤 여인을 아름답다고 이르는가? 어리석은 질문 같지만 쉽게 답하기 어렵다. ‘미’(美)는 분명 형상에서 비롯되는 것이지만, 형상에서 그치지 않기 때문이다. 아름다운 신체 부위를 다 모아놓는다고 미인이 되는 것도 아니다. 여성의 아름다움을 말할 때 물론 성적 매력을 빼놓을 수 없지만, 인간 본연의 매력 또한 중요하다. 성격과 자부심과 습관, 태어나면서 배운 태도와 행실, 취향과 학식, 그리고 가슴속에 품은 꿈이 미(美)를 돋우는 것이라고 말하면 과장일까? _87쪽, 〈제2장 세상의 규율에 예속되지 않았던 여인들〉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