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경성에서 신의주까지

경성에서 신의주까지

(경의선 따라 산문여행)

방민호 (엮은이)
예옥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경성에서 신의주까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경성에서 신의주까지 (경의선 따라 산문여행)
· 분류 : 국내도서 > 에세이 > 한국에세이
· ISBN : 9788993241785
· 쪽수 : 248쪽
· 출판일 : 2023-04-22

책 소개

경의선이 경성부터 신의주까지 열려 있던 시대, 즉 일제 강점기 시대의 여러 문인들의 기차 여행 관련한 에세이와 기고문을 모아서 편집하여, 지금은 가볼 수 없는 분단 이전의 옛 도시들과 장소를 탐구하는 의미 깊은 책이다.

목차

서문 5

I. 경성에서 개성으로
-용산·신촌·수색·능곡·일산·금촌·문산·장단·봉동·개성·토성·여현
임학수, 「경성과 나」 김일엽, 「여인과 서울」 김동인, 「경성 전차」,
김도태, 「지상 수학여행, 경의선편」(1)~(7) 최정희, 「만월대와 선죽교」
토해선(토성~해주)
박태원, 「해서기유」.
장만영, 「천향통신- 백천온천에서」

II. 황해도를 가로질러
-계정·금교·한포·평산·남천·물개·신막·서흥·문무리·흥수·청계·마동·신봉산· 사리원·계동·침촌·황해황주·흑교
박달성, 「황해도에서 얻은 잡동사니」, 『개벽』, 1925년 6월. 염상진, 「서선(西鮮)을 돌아본 인상」, 『개벽』, 1924년 11월. 이상, 「첫번째 방랑」, 『문학사상』, 1976년 7월.
장연선長淵線(사리원~장연)
서항석, 「비경탐승」. 『동아일보』, 1938.8.9~12.
구자균, 「민요와 여인- 황해도 순력기」, 『조선일보』, 1935.8.11~14. 강경애, 「기억에 남은 몽금포」, 『여성』, 1937년 8월.

III. 평양과 대동강의 추억
-중화·역포·대동강·평양·서평양·서포·간리·순안·석암·어파·숙천·만성· 대교·신안주
김억, 「사도(四道) 민요기행」, 『삼천리』, 1938.10. 김동인, 「대동강」, 『매일신보』, 1930.9.6.
최명익, 「칠월의 서경 - 매생이·어죽(魚粥)의 야취(野趣)」, 『여성』, 1940.7. 이효석, 「유경식보(柳京食譜)」, 『여성』, 1939년 6월.
김남천, 「뒷골목 평양잡기첩」, 『조선일보』, 1938.5.28~6.4.
평양탄광선(대동강~승호리~강동)
김계성, 「건축 원료의 석회광 평남의 대부고(大富庫)」, 『동아일보』, 1926.12.25. 이광수, 「강동에 단군릉을 찾아서」, 『수필과 시가』, 영창서관, 1939.

IV. 청천강에서 압록강까지
-맹중리·영미·운전·고읍·정주·하단·곽산·노하·선천·동림·차련관· 남시·양책·피현·백마·석하·남신의주·신의주
노자영, 「방랑의 하로(夏路)」(8)~(10), 『동아일보』, 1921.8.5~8.8.
김준연, 「부흥의 의기충천한 정주 오산학교를 보고」, 『동아일보』, 1935.10.4~8. 백석, 「소월과 조선생」, 『조선일보』, 1939.5.1.
묘향산인, 「격변 중에 있는 평북지방을 잠깐 보고」, 『개벽』, 1921년 6월. 김억, 「신의주 정취」, 『삼천리』, 1932.3.

부록: 국경너머
나혜석, 「구미 시찰기」(1)~(3), 『동아일보』, 1930.4.3~5. 손기정, 「백림원정기」, 『삼천리』 제9권 제4호, 1937.5.1.

저자소개

방민호 (감수)    정보 더보기
1965년 충남 예산에서 태어나 공주를 거쳐 대전에서 성장했다. 대학 입학과 함께 서울로 올라와 수학하며 한국 현대 문학을 전공했고, 서울이라는 공간과 작가·작품의 관계 양상에 관심을 갖고 탐구해 왔다.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거쳐 동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1994년 《창작과비평》 제1회 신인평론상을 수상하며 비평 활동을 시작했고, 문학평론집 『비평의 도그마를 넘어』, 『납함 아래의 침묵』, 『행인의 독법』, 『감각과 언어의 크레바스』, 『문학사의 비평적 탐구』, 『한국비평에 다시 묻는다』가 있다. 연구서로는 『채만식과 조선적 근대문학의 구상』, 『한국 전후문학과 세대』, 『일제말기 한국문학의 담론과 텍스트』, 『이상 문학의 방법론적 독해』, 『한국문학과 일본문학의 ‘전후’』, 『이광수 문학의 심층적 독해』가 있으며, 함께 펴낸 저서로는 『최인훈, 오디세우스의 항해』, 『탈북문학의 도전과 실험』 등이 있다. 2001년 《현대문학》 신인추천을 통해 시인으로 등단했으며, 시집 『나는 당신이 하고 싶은 말을 하고』, 『내 고통은 바닷속 한방울의 공기도 되지 못했네』, 『숨은 벽』을 출간했다. 또한 2012년 《문학의오늘》에 단편소설 「짜장면이 맞다」를 발표하며 소설 창작을 시작하여 소설집 『무라카미 하루키에게 답함』, 장편소설 『연인 심청』, 『대전 스토리, 겨울』을 집필했다. 그 외에도 산문집 『명주』, 『통증의 언어』, 『경원선 따라 산문 여행』 등이 있다. 현재 이효석문학재단 이사장과 계간 《맥》의 편집주간을 맡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참고로 당시 승차 삯을 상세히 따져보자면 경기감영서 동대문까지 상등 5전, 하등 3전. 경기감영서 종로까지 상등 2전 5분, 하등 1전 5분. 경기감영서 청량리까지 상등 3전 5분, 하등 1전 5분, 동대문서 청량리까지 상등 5전, 하등 3전 5분.
(김동인, 『매일신보』, 1937.12.28)


이러는 사이에 차는 개성역에 다다랐다. 한 시간 사십 분이면 간다는 길을 두 시간 넘어를 갔건만, 조금도 지리한 줄을 모르겠다. 여행이란 언제나 즐겁고 유쾌한 것인가 보다. 나는 앞으로는 적어도 한 달에 한 번씩 적은 여행이라 도 하리라. 역 앞에 나 서니 어떻게 땅이 질퍽한지 고무신이 물이 넘는다. 진흙물을 흠뻑 뒤집어쓴 버스 한 대와 또 그와 똑같은 자동차 한대가 서 있는데 어지간히 약삭빠르지 못하면 얻어 타기가 어려웠다. 나는 버스도 자동차도 다 못 얻어 타고 보행하기로 했다.
(최정희, 『반도산하』, 삼천리사, 1944.)


【평양지국전화】 동맹 파업 중에 있는 평원 고무공장 직공 삼십여 명은 파업 이래 공장을 점령하고 나가지 아니 하다가 금 29일 오전 1시 경에 평양 서원의 축출로 해산되는 동시에 여직공 한 사람이 을밀대로 올라가서 체공 여덟 시간 여에 경찰에게 붙들려 내려온 사실이 있었다. 을밀대 다락으로 올라간 여직공 강주룡( 姜 周龍 )(30)이라는 바, 공장을 지키고 있다가 경찰에 쫓겨 나오는 길로 사십여 척이나 되는 을밀대 다락으로 올라가서 누구든지 쫓아 올라오면 떨어져 죽는다고 하며 무산자의 단결과 고용주 무리를 타매하는 연설을 하였다고 한다. 오전 1시로부터 8시 40분까지 체공하고 있는 여직공을 경찰에서 아무리 붙들어 내리려도 여의치 못하던 바 경찰서에서는 강력의 서원을 보내어 사닥다리를 놓고 몰래 올라가서 잡아 끼고 내려와서 즉시 평양서에 검속하였다고 한다. 일본 노동쟁의에 굴뚝남과 비하여 평양 노동쟁의의 여직공이 을밀대 다락 위에서 체공을 계속하려던 것은 호대조의 에피소드라고 한다.
(『동아일보』, 1931.5.30.)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