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88993905496
· 쪽수 : 368쪽
· 출판일 : 2011-02-14
책 소개
목차
책머리에
1장
1. 의도는 외출하지 못한다
2. 세속의(이라는) 어긋남
3. 농담
4. 어긋남의 인문학
4-1. 패턴
5. 소설의 지혜
6. 자신, 혹은 자신이 자신을 볼 수 없는 그 곳
7. 내가 누구인지 말해줄 수 있는 그것
8. 고백 속의 나, 고백 밖의 나
9. 생각 속의 나, 생각 밖의 나(1)
9-1. 생각 속의 나, 생각 밖의 나(2): 「가능한 변화들」(민병국, 2005)
9-2. 노엄 촘스키의 코
10. 변덕, 혹은 고리
11. 변덕, 혹은 고리(2): 문학적 공간의 개시
12. 정확하게 말하지 못하(않으)므로 나는 주체다
13. 의도 속의 나, 의도 밖의 나
13-1. 의도 속의 나, 의도 밖의 나(2)
13-2. 의도 밖의 돌멩이
13-3. 의도는 자승자박의 고리를 돈다
13-4. 의도 속의 나, 의도 밖의 나(3)
13-5. 「밀양密陽」(이창동, 2007)
13-6. 까치 소리
13-7. 개신교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
14. 진리는 사랑스럽게 ‘이쪽’을 바라보지 않는다
15. 진리는 늘 자아에 밀려 급진적이다
16. 결심(의지) 속의 나, 결심 밖의 나(1)
16-1. 결심(의지) 속의 나, 결심 밖의 나(2)
17. 결심, 혹은 타인에 대한 무능
17-1. 세속, 타인에 대한 무능
18. 무능의 급진성
19. 타인의 삶
20. 타인의 삶
21. 타인에게 물잔을 건넬 수 있는가?
22. ‘He promised me earings, but he only pierced my ears.’(그는 내게 귀고리를 사주겠다고 약속했는데, 결국 내 귀만 뚫어놓았다.) - 아라비아 속담
2장
23. 문학은 농담이 아니지만 농담은 문학이다
24. 재서술의 소설적 공간
25. 재서술의 희비극
26. 소설과 상식
27. 마지막 어휘의 도그마(δωγμα)
28. ‘자연’과 혁명
29. 어휘에 희망을 거는 일이란 무엇일까?
30. 인문학적 쾌락의 근원
31. 인문학적 쾌락의 근원(2): 외국어 배우기
32. 진리와 풍자시
33. 자연에 ‘앞서서’ 자연과 ‘함께’
34. 역사·언어·실재
35. 반토대주의
36. 이데아·지각·대화
37. 헤겔에게서 벗어나기
38. 메타포의 사회철학
39. 재서술
40. 어긋남과 재서술(1)
41. 어긋남과 재서술(2)
42. 어긋남과 재서술(3)
43. 어긋남과 재서술(4)
44. 어긋남과 재서술(5)
45. 어긋남과 재서술(6)
46. 어긋남과 재서술(7)
47. 사육장飼育場 쪽으로
48. 성城
49. 재서술과 아이러니즘
50. 아이러니스트
51. 아이러니즘과 도시
52. 아이러니즘과 번역
3장
53. 상호작용의 형식
54. 다리
55. 다리와 문학적 공간
56. 사회학적 미학과 방랑적 시각의 모더니티
57. 편지(1)
58. 편지(2): “가을엔 편지를 하겠어요/누구라도 그대가 되어 받아주세요”
59. 편지(3)
60. 편지(4)
61. 형식들, 일리(一理)들
62. 문화의 비극(1)
62-1. 문화의 비극(2): 복제냐 파멸이냐/ 보드리야르의 문화묵시록(文禍?示錄)
63. 문화철학
64. 문화적(文禍的) 비극과 대안(1)
65. 문화적(文禍的) 비극과 대안(2)
66. 문화적(文禍的) 비극과 대안(3)
67. 문화적(文禍的) 비극과 대안(4)
68. 문화적(文禍的) 비극과 대안(5)
69. 문화적(文禍的) 비극과 대안(6)
70. 문화적(文禍的) 비극과 대안(7)
71. 문화적(文禍的) 비극과 대안(8)
72. 문화적(文禍的) 비극과 대안(9)
73. 서툰 허우적거림으로 자신의 비밀스런 현재를 알릴 뿐인 새로운 형식
74. 도시와 문학
75. 연애유희의 상호작용
76. 여성이라는 문학적 공간
77. 오늘 와서 내일 머무는 자
4장
78. 인간이라는 실수
79. 허공의 집
80. ‘이어도’ 살리기
81. 인생과 환상
82. 주체와 환상(1)
83. 환상, 공상, 망상, 상상
84. 주체와 환상(2)
85. 주체와 환상(3)
86. 희생양과 신(神)
87. 환상 혹은 무대적 존재
87-1. ‘공주’
87-2. ‘그 여자’의 경우
88. 소망의 체계
89. 환상, 치명적인(1)
90. ‘환상의 무대’ 위에서, ‘사랑의 몸’을
91. 환상, 치명적인(2)
92. 추월 혹은 횡단
5장
93. 욕망, 환상과 모방의 사이
94. 모방, 자연, 자유
95. 욕망의 도시적 기원
96. 욕망의 삼각형, 진실의 삼각형
97. 인정의 삼각형
97-1. 인정과 모방, 약사(略史)
98. 모방 체계와 문학적 공간의 탄생
99. 부유(浮遊)와 헤맴, 모나드와 클리나멘
99-1. 프루스트적인 세상
100. 어긋남과 어긋냄
인용도서 목록
찾아보기(인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