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기호학/언어학 > 한국어/한문
· ISBN : 9788994054759
· 쪽수 : 320쪽
· 출판일 : 2015-09-20
책 소개
목차
서문
1. 책과 기록
거북과 갑골문: 들어가면서 龜, 蔔, 占
책 冊, 刪, 典
붓 聿, 筆, 書, 律, 建
정(鼎)-鼎, 員(圓), 則, 敗, 貞
2. 인체
몸 身, 孕, 包(胞)
어머니 女, 毓(育), 子, 兒, 母, 孔, 乳, 好, 保, 孚
인체 人, 從, 比, 皆, 化, 及, 北
얼굴 自, 鼻, 口, 曰, 目, 臣, 眉, 見, 耳, 取, 面
이와 혀 舌, 齒(齡), 牙
발 止, 之, ?, 步, ?降), 陟, 足, 舛, 舞(無), 先, 出, 各(格), 正, 征, 是, 走, 奔, 後, 涉, 路
손 手, 左, 又, 右, 有, 爪, 爭, 受, 反, 友, 共, 父, 寸, 寺, 失, 看
3. 자연
산 山, 丘(邱), 嶽(嶽)
물 泉, 井, 原(源), 水, 川, 州(洲)
불 火, 炎, 主(炷), 盡, 災(災)
나무 木, 竹, 本, 朱(株), 末, 華, 果, 采, 林, 森
벼와 쌀 禾, 年(秊), 米, 秉, 兼
기상 현상-申(神, 伸), 電, 雷, 雨, 小, 雲(雲)
4. 기물
관문과 정자 高, 喬, 京, 亭
문 門, 戶, 關, 向, ?(窓), ?
수레 車, 兩(輛)
그릇 皿, 血, ?, 盤
식기 合(盒), 會(膾), 食, 卽, 旣, 卿
창 戈, 矛, 戟, 武, 我, 義(儀)
활과 화살 弓, 張, 射, 引, 弱, 矢, 至, 備, 函, 族, 短
거울 監, 鑑, 覽
의복 衣(裳), 求, ?, 卒
키 其, 箕, 棄
5. 동물
뿔이 없는 동물 象, 爲, 馬, 豕, 家, ? 犬, 虎
뿔이 있는 동물 角, 牛, 牧, 半, 解, 羊, 鹿, 麗
새 鳥, ?, 雉, ?(鷄), 烏, 鳴, 集, 隻
전갈 萬, ?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점을 친 기록인 이 갑골문은 19세기도 다 저물어가던 1899년에 왕의영(王懿榮)이라는 학자가 감기 몸살에 걸렸을 때 지어 온 약재에서 발견했다고 합니다. 그 약재는 용골(龍骨)이라고 했는데 땅에 묻힌 갑골을 잘게 부순 것이었습니다. 이 작은 감기 몸살로 인해 중국의 문자학은 근본적으로 싹 바뀌게 됩니다. 이전까지 절대적인 표준이었던 한(漢)나라 소전(小篆)의 자형을 기본자로 채택한 허신(許愼)의 『설문해자(說文解字)』가 졸지에 무용지물이 되다시피 한 것입니다. 그러나 아직도 온 길보다는 가야 할 길이 더 많다고 합니다. 갑골편에서 발견된 한자가 약 5,000자인데 그 중 확실하게 판독이 된 글자는 아직까지 겨우 1,000여 자로 3분의 1에도 미치지 못한다고 합니다. 그러니 저 위의 갑골문을 읽지 못하는 것은 어쩌면 당연할 수가 있으니 기죽을 필요가 하나도 없습니다. 이 책에서도 사진과 위로는 갑골문을 가지고 알아볼 것입니다. 점복(占蔔)의 도구로 중국에서 유례없는 수난을 당한 거북을 통해 우리는 과거의 문자, 문화에 대하여 많은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위(韋)는 보들보들하게 무두질한 가죽끈을 일컫습니다. 원래의 의미는 길에서 발자국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어긋난다는 뜻이었습니다. 이 가죽끈을 가지고 서로 어긋나지 않게 묶는 데 썼기 때문에 의미가 확장되어 가죽끈에서 가죽이란 뜻까지 생겨나게 되었습니다. 공자가 만년에 『주역』을 읽느라 가죽끈이 세 번 끊어졌다는 ‘위편삼절(韋編三絶)’의 고사는 유명하죠. 그런데 요즈음 그렇게 많은 간독이 발굴되어도 실제로 간독을 엮은 끈이 가죽으로 된 것은 하나도 발견되지 않았다는 게 문제입니다. 그래서 이 위자는 아마 가로 위(緯: 원래는 베틀에서 가로 방향으로 짜이게끔 넣는 씨줄)자와 통용해서 썼을 것이라는 해석이 나오게 되었습니다. 곧 위자는 간독을 엮은 방향이 세로가 아니라 가로라는 것을 나타낸다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