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청소년 > 청소년 수학/과학
· ISBN : 9788994418568
· 쪽수 : 200쪽
· 출판일 : 2013-06-05
책 소개
목차
머리말
1장_참을 수 없는 물리의 즐거움
빛이 없는 캄캄한 방에서도 주위가 보일까
투명인간의 치명적인 약점
빛의 굴절현상은 왜 생길까
우리에게는 보이지 않는 빛
열과 온도는 어떻게 다를까
온도는 어디까지 높아지고 낮아질 수 있을까
2장_나도 모르게 이야기하고 싶어지는 물리
병뚜껑이 안 열릴 때는 뚜껑을 가열하라
공기도 얇을수록 시원하다
음식을 1kg 먹으면 몸무게는 어떻게 될까
공기에도 무게가 있다
만유인력과 질량은 어떤 관계일까
에라토스테네스는 지구의 크기를 어떻게 쟀을까
지구의 정확한 모양은 회전 타원체다
물체가 뜨고 가라앉는 이유는 무엇일까
1kg의 솜과 쇠 중 어느 쪽이 더 무거울까
지구가 자전과 공전을 계속 하는 이유는 ‘관성’
피사의 사탑 물체 낙하 실험은 거짓이었다!?
코끼리 발보다 하이힐에 밟혔을 때 더 아프다?
대기압을 이용해서 주스를 마신다?
3장_잠도 잊고 읽게 되는 물리이야기
지구를 관통하는 구멍에 공을 떨어뜨리면?
정전기도 우리 생활에 유용하게 쓰인다
셀프 주유소 화재의 범인은 정전기?
빨대로 하는 재미있는 과학놀이
지렛대로 지구를 들어 올리려면 몇 년이 걸릴까
인류는 영구 기관을 꿈꾼다
맺음말
참고문헌
리뷰
책속에서
우리가 가지고 있는 오감(五感) 중에서 촉각(만졌을 때의 감각)과 미각(맛을 봤을 때의 감각),후각(냄새를 맡았을 때의 감각), 청각(소리를 들었을 때의 감각)은 대상과 직접 접촉함으로써 느끼는 감각이다.
투명인간이 된다는 말은 몸 전체의 굴절률이 공기와 같아진다는 의미다. 만약 몸 전체의 굴절률이 물과 같아진다면, 물의 굴절률은 공기의 굴절률보다 훨씬 크기 때문에 또렷하게 인간의 형태를 띤 물과 같은 모습으로 보이게 된다. 따라서 완전히 보이지 않는 투명인간이 되려면 굴절률이 공기와 같아야 하는 것이다.
인간의 눈에는 렌즈의 역할을 하는 수정체가 있다. 수정체는 크리스탈린(Crystalline)이라는 투명한 단백질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 수정체의 굴절률은 물보다 아주 약간 클 뿐이다. 한편 각막과 유리체의 굴절률은 물과 같다. 공기 속을 날아온 빛은 수정체에서 굴절되어 망막 위의 세포에 상을 만드는데(빛을 흡수해 밝기의 신호와 색의 신호를 뇌에 전달한다), 만약 수정체 등의 굴절률이 공기와 같아지면 빛은 수정체와 망막 부분을 그대로 통과해버린다. 어떤 물체에서 반사된 빛이 눈으로 들어와도 눈은 물체의 모습을 인식하지 못한다는 말이다. 그러므로 설령 웰스가 쓴 소설의 주인공과 같은 투명인간이 된다 해도 매우 치명적인 약점을 지닌 투명인간이 되고 말 것이다. - <투명인간의 치명적인 약점>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