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직업교육/사회교육
· ISBN : 9788994445601
· 쪽수 : 496쪽
· 출판일 : 2014-04-08
책 소개
목차
1부 인간의 마음과 아동의 도덕적 성숙
1장. 인간의 마음은 선천적 본성이냐 후천적 양육이냐?
마음이란 무엇인가? | 본성과 양육의 논쟁 | 성선설과 성악설의 융합 | 타고난 자질의 계발과 외부의 강제적 부과의 통섭
2장. 도덕성이란 무엇인가?
도덕성의 어원적 정의 | 도덕성의 정의에 대한 서로 다른 관점 | 도덕성에 대한 동양철학적 견해 | 도덕 그리고 법, 예절, 관습과의 관계
3장 도덕적 성숙에 이르는 두 가지 길
어떻게 행동해야 하느냐? | 어떤 사람이 되어야 하느냐? | 최소윤리와 최대윤리의 관계 | 돈오와 점수의 상호작용
2부 도덕교육의 전통과 새로운 대안
4장. 도덕교육의 현대적 통합
도덕교육의 새로운 도전들 | 기본으로 돌아가기와 도덕적 추론 | 맥킨타이어의 도덕적 문제 제기 | 통합적 인격교육 | 교화와 가르침 | 배려윤리의 도전 | 비판적 문해이론과 도덕교육 | 도덕교육의 전체적 흐름
5장. 도덕적 가치의 보존을 위한 문화사회화
사회화의 필요성 | 뒤르껨의 기본 사상 |
6장. 가치 혼돈을 극복하는 가치명료화
가치명료화의 필요성 | 가치란 무엇인가? | 가치명료화 운동의 등장 | 가치명료화의 관점과 목표 | 가치명료화 과정의 7단계 | 가치명료화 이론의 장점과 한계
7장. 합리적 도덕을 위한 정의 공동체 학교 건설
합리적 도덕성 발달의 필요성 | 합리적 의사결정을 위한 도덕적 추론 | 인지발달론의 도덕적 단계 | 도덕적 유형 | 도덕교육의 세 가지 방법 | 합리적 도덕교육을 넘어
8장. 상호-돌봄을 위한 배려의 윤리
배려윤리의 필요성 | 여성주의 철학자들의 연구동향 | 광계적 존재론으로서의 배려윤리 | ~에 ‘대한’ 배려와 ~를 ‘위한’ 배려 | 배려의 도덕교육 | 배려윤리의 이점과 한계
9장. 행복하게 살기 위한 덕윤리
덕윤리학의 필요성 | 인지적 발달주의의 한계 | 아리스토텔레스의 영향 | 자기지향적 덕과 타인지향적 덕의 중첩 | 의지의 나약함과 교사의 모범 | 대안적 덕윤리를 향해
10장. 앎과 행동의 통합을 위한 인격교육 운동
인격교육의 요청 | 인격교육론의 등장 배경 | 덕으로 구성된 인격의 개념 | 통합적 인격교육의 동향 | 통합적 인격교육론의 한계와 과제
11장. 개인주의와 시장주의를 넘어서는 공동체 교육
공동체 교육의 필요성 | 공동체주의 철학의 등장 | 학교교육에서의 공동체 의미 | 개인주의 교육을 포섭한 공동체적 교육의 요청 | 공동체 교육의 유의점
12장. 인간의 기본권을 지키는 인권교육
인권교육의 필요성 | 인권 담론의 변화 | 인권교육의 지향점 | 도덕교육으로서의 인권교육 | 인권교육과 인성 | 인격교육의 통섭
13장. 인간의 안보를 위한 평화교육
평화교육의 필요성 | 평화란 무엇인가? | 평화교육과 도덕교육의 발산과 수렴 | 평화교육의 통섭적 과제
14장.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생태교육
생태교육의 필요성 | 환경이란 무엇인가? |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환경윤리학 | 인간과 자연의 공생을 위한 생태교육 | 생태교육의 핵심적 가치 | 녹색화를 위한 생태적 환경교육의 과제
15장. 다민족의 공존을 위한 다문화교육
다문화교육의 필요성 | 다문화주의란 무엇인가? | 다문화교육의 등장 | 다문화교육의 이념적 변화 | 다문화주의의 주요 쟁점 | 다문화교육의 여러 목적 | 다문화교육과 인격교육의 통섭 | 다문화적 시민교육의 탄생 | 한국 다문화주의 교육정책의 방향
16장. 민주적 시티즌십을 위한 시민교육
시민교육의 필요성 | 시민은 어떻게 탄생되는가? | 민주적 시티즌십이란 무엇인가? | 시민교육의 세 가지 접근 | 시민교육의 활동 방식과 중심 목표 | 시민교육과 도덕교육의 관계 | 민주적 시티즌십을 위한 참여적 시민교육의 요청
17장. 휴머니티의 회복을 위한 실천적 인문학
왜 인문학, 열풍인가? | 인문학의 역사 | 인문교양교육의 이념적 변화 | ‘좋은 삶’을 위한 교양교육과 ‘도덕적 삶’을 위한 도덕교육 | 시민됨을 위한 실천적 인문학 | 인문교양교육의 개혁 가능성 | 실천적 인문학의 새로운 과제
3부 도덕교육의 쟁점과 통섭적 도덕교육
18장. 습관화는 숙고를 결여한 기계적 반복 행위인가?
습관이 왜 중요한가? | 행동의 실천화와 비판적 실천의 종합
19장. 비판적 사고가 없는 도덕교육이 왜 위험한가?
비판적 사고가 왜 필요한가? | 좋은 삶을 위한 실천적 지혜의 요청
20장. 도덕적 정서는 비인지적 요소만을 갖는가?
비판적 사고의 위험성 | 정서의 도덕적 기능 | 정서에 대한 인지주의적 접근 | 공감적 사고와 공감적 도덕성 | 감정의 조절을 위한 정서교육과 공감적 이해
21장. 인지와 정서 그리고 행동의 통섭은 가능한가?
도덕수업의 병렬적 통합의 한계 | 인지와 정서 그리고 행동의 화학적 통섭
22장. 통섭적 도덕교육의 요청
통섭적 도덕교육이 왜 필요한가? | 통섭적 도덕교육의 요청
참고문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