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중국사 > 중국근세사(원~ 아편전쟁)
· ISBN : 9788994606958
· 쪽수 : 336쪽
· 출판일 : 2024-11-21
목차
한국어판 서문
서문_ 물가사 연구자로서 나의 이력
1장 천치더의 이야기
명대의 물가 이해
국가의 존재
자료로서의 가격
가능한 것의 한계
기후 변화의 지표인 재난 물가
2장 태평한 날들? 만력 연간의 가격 체제
장부 관리
두 명의 주현관
은 1냥, 1돈, 1푼의 가치
광저우의 스페인 사람들
화북 평원의 지방관
만력 가격 체제에서의 생활비
소득
부유한 사람들 사이의 물가
사치품 경제의 물가
3장 은, 물가, 그리고 해상 무역
해외 무역
조공과 무역
남중국해의 물가
도자기 무역의 물가
대외 무역이 물가에 미친 영향
무역에 대한지지
마젤란의 교환?
4장 기근 시기의 곡물 가격
곡물 가격
지방지에 기록된 기근 시기의 곡물 가격
기근 가격의 분포
하늘, 기후, 그리고 기근
여섯 번의 위기
물가 상승의 압박
5장 숭정 연간의 가격 급등
명대 장기 물가 변동
만력 연간의 단기 물가 변동
숭정 연간 이후의 가격 안정화
숭정 연간의 가격 급등
명의 몰락과 기근 가격, 그리고 기후의 역할
후기_ 기후와 역사
옮긴이 후기
부록
참고문헌
찾아보기
책속에서
은으로 가격을 매길 수 없을 만큼 저렴한 유일한 식품은 두부를 만드는 콩이었다. 천치더는 이 콩의 가격을 중앙에 구멍이 뚫린 얇은 동전으로 매겼는데, 이 동전은 소액 거래에 사용되었다. 이 동전은 ‘글자’라는 뜻의 ‘문文’으로 불렸는데, 이는 동전 앞면에 새겨진 황제의 연호를 의미했다.
포르투갈 상인들은 이 동전을 말레이어를 따라 ‘카이샤caixa’ 또는 스페인어로 ‘카사caxa’라고 불렀는데, 여기서 영어 단어 ‘캐시cash’가 유래했다. ‘캐시’가 영어에서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으므로, 이 책에서는 저가의 동전을 의미하는 옛 영어 표현인 ‘구리copper’를 동전을 세는 단위인 ‘문文’의 번역어로 사용한다. 1,000문은 명 초에 은 1냥과 명목상 동등 가치로 설정되었으나, 동전은 곧 은에 비해 가치가 상승하여 은 1냥당 동전 700문 정도의 환율로 안정되었다. 따라서 동전 7문은 은 1푼과 동등한 가치가 있었다. 동전 1문은 큰 가치가 없었다. 두부 한 모, 흔한 종이 한 장, 젓가락 두 쌍, 또는 목탄 1파운드를 살 수 있었다. 동전 2문으로는 저렴한 붓, 향나무로 만든 향, 또는 쌀떡을 살 수 있었다. 가장 가난한 사람들은 동전을 귀중하게 여겼고, 부유한 사람들은 동전 하나를 줍기 위해 허리를 굽히지 않았다.
<표 2.2>는 은 1푼으로 구매할 수 있는 품목들을 보여준다. 이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감당할 수 있는 가격이었다. 1푼은 오이, 매실 등과 같은 채소 1근(1과 3분의 1파운드 또는 600그램)의 거의 보편적인 가격이었으나, 파와 생강 같은 기본 요리 재료의 값으로는 너무 높은 가격이었으며, 이것들은 은 1푼의 5분의 1 또는 그 이하, 즉 동전 1문 또는 2문이었다. 은 1푼은 하이루이가 1근의 술을 사기에 충분했지만, 술은 여러 가격대에서 구할 수 있었다(선방은 1병당 은 4푼에서 20푼까지의 가격을 제시했다). 육류의 표준 가격이 1근당 은 2푼이었기 때문에, 은 1푼으로는 반 근(300그램 또는 3분의 2파운드)만 살 수 있었다. 그러나 살아 있는 가축은 도축된 고기의 절반 가격이었다. 신선하거나 절인 생선은 보통 육류와 같은 가격에 팔렸지만, 1602년의 편지에서 예수회 선교사 디에고 판토하는 베이징에서 송어 1근을 은 1푼에 살 수 있다고 썼다.
명나라로 흘러 들어온 은이 약 1억 명의 인구를 가진 중국 경제에 화폐 공급을 확대하여 물가 상승을 초래했을까? 많은 역사학자들이 비교적 산발적이고 신뢰할 수 없는 가격 자료를 바탕으로 그렇다고 결론 내리곤 했지만, 대부분의 경제사학자들은 이제 그 가설에서 물러났다. 이 장은 후자 그룹과 함께 이 주장에 의문을 제기하고 다른 해석을 제안할 것이다. 우리는 시선을 거꾸로 돌려 명조 말기에 은의 물결을 타고 중국 무역에 참여하려 했던 영국인의 관점에서 당시의 국제적인 은 문제에 접근할 것이다. 물가가 경제에 끼친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우선 명조 전반기 조공 체제의 시기를 살펴보고, 이어서 명조 마지막 반세기 동안 상품과 은을 거래한 스페인, 영국, 네덜란드 상인들이 남긴 비교적 신뢰할 수 있는 모든 비용의 기록들을 검토할 것이다. 이 장은 은 무역의 유익한 경제적 효과에 대한 일부 명대 인사들의 목소리를 간략히 고찰하는 것으로 마무리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