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88994655048
· 쪽수 : 240쪽
· 출판일 : 2022-06-27
책 소개
목차
들어가며 - 선생님, 오늘 기분은 어떠신가요?
Part 1. 감정 수업을 시작하기 전에
1. 감정에 관한 오해와 진실
2. 감정은 행동의 에너지다
3. 감정은 경험이다
4. 감정은 좋고 나쁨이 없다
5. 감정도 배워야 한다
6. 감정 수업 프로토콜
7. 감정 회복 프로토콜
Part 2. 감정 수업 활동하기
- 감정 수업 활동을 시작하기 전에
1장. 감정 알아차리기
1-1 감정 팔레트
1-2 감정 뇌 구조 그리기
1-3 하루 감정 그래프 그리기
1-4 질문으로 감정과 친해지기
1-5 감정에 대해 알아가기
1-6 감정 비주얼씽킹 카드 만들기
1-7 감정 카드 게임
1-8 나만의 감정 만들기
1-9 감정 너도나도
1-10 감정 경매
2장. 감정 받아들이기
2-1 공감으로 다가가기(공감 척도 활동)
2-2 감정 마피아
2-3 감정 틀린 그림 찾기
2-4 감정 파도
2-5 공감 약속 만들기
2-6 공감 앱 좀비 게임
2-7 감정 코드
2-8 공감의 길
3장. 감정 표현하기
3-1 감정 레벨업 가위바위보
3-2 감정 연극
3-3 감정 진진가
3-4 감정 열차
3-5 감정 탐정 게임
3-6 영화 캐릭터가 되어 감정 표현하기
3-7 감정 사전 만들기
3-8 감정 표현 아이 메시지
4장. 감정 조절하기
4-1 감정 휴지통 놀이
4-2 감정 피자
4-3 감정 일기
4-4 감정 통장
4-5 감정 조절 약속
4-6 감정 비밀 상자
4-7 감정 온작품 읽기
4-8 감정 사칙연산
Part 3. 감정 수업으로 변화되는 교실
1. 감정 수업이 제대로 되지 않을 때
2. 감정을 표현하는 것은 용기다
3. 평가하지 말고 공감하라
4. 감정 수업으로 달라진 학급
나오며 - 감정 수업이 나아갈 길
참고문헌
리뷰
책속에서
우리는 감정을 부정적으로 바라보는 시각이나 감정을 드러내는 것이 약점이라는 오해를 바꿔야 한다. 감정이라는 단어를 부정적으로 바라보면 자기감정을 제대로 들여다보지 않게 된다. 그 결과 쌓인 감정을 잘못된 방식으로 표현하게 되어 자신을 비하하거나 공격한다. 해결되지 못한 감정은 결국 그 화살이 가까운 가족, 친구 그리고 자기 자신에게 돌아온다. 또한 자기감정을 드러내는 것을 약점이라고 생각하면 타인과의 관계에서 ‘감정’이라는 ‘무기’를 내려놓는 것과 같다. 다른 사람의 감정에 공감하고 나의 감정을 원만하게 표현한다면 타인과의 관계 역시 더욱 좋아지기 때문이다. 감정은 이성과 함께 인간이 가지고 있는 중요한 무기 중 하나이다. 감정은 이성적 판단과 함께할 때 올바른 결정을 내려 행동할 수 있게 하고, 이성은 감정과 함께할 때 다른 사람과의 관계를 발전시키고 나 자신을 건강하게 만들 수 있다.
- <Part 1. 감정 수업을 시작하기 전에> 중에서
교사의 행동 역시 감정에 많은 영향을 받는다. “선생님, 몇 쪽이에요?”, “선생님, 못 들었어요.” 수업 시간에 자주 듣는 말이지만, 들을 때마다 나에게는 감정을 조절하기 어려운 말이다. 분명히 아까 다 설명했는데, 왜 못 들었을까? 한 번은 실수할 수 있다는 생각에 다시 설명하지만 이내 다시 못 들었다고 말하는 학생을 보면 무시당했다는 생각에 화가 난다. 그러면 학생에게 “내가 두 번이나 알려 줬잖니. 내가 말할 때 뭘 듣고 있었던 거야?” 하고 안 좋은 감정을 섞어서 말한다. 그런데 이런 일이 자꾸 반복되면 ‘화’라는 감정보다 그 학생의 행동을 바꿀 수 없음에 ‘절망’을 느껴 “도대체 몇 번을 설명해야 하는 거니? 이제 정말 지쳤어.”라고 포기하기도 한다. 이렇듯 감정이 달라짐에 따라 행동이 달라지기도 한다. 똑같은 행동이지만 그 상황을 어떻게 해석하느냐에 따라 감정이 달라지고 행동 역시 달라지기 때문이다. 그래서 평소 “지금 내 감정이 무엇이지?” 하고 지속해서 물어보며 되돌아보는 시간을 가져야 변화무쌍한 감정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건강하게 표현할 수 있다. 지금 당신의 감정은 어떠한가?
- <Part 1. 감정 수업을 시작하기 전에> 중에서
감정 수업의 첫 번째 단계는 감정을 머리로 인식하는 것이다. 그래서 내가 아는 감정과 모르는 감정이 무엇인지 파악하고, 더 다양한 감정을 수용하고 표현할 수 있도록 아는 감정 단어를 늘려야 한다. 그런데 감정 단어를 가르치기 위해 다양한 감정을 파악하다 보면 생각보다 부정적인 감정이 많다는 것을 알게 된다. 바로 이 점 때문에 우리는 ‘부정적인 감정을 가르쳐도 될까?’라는 의문과 함께 감정을 가르치는 것을 주저하게 된다. 하지만 생각해 보자. 평소 우리가 느끼는 감정에 긍정적인 감정만 있을까?
학급에서 문제가 되는 상황은 대부분 부정적인 감정으로 인해서 생긴다. 감정 수업의 목표는 감정을 익혀서 상황에 맞게 조절하여 표현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부정적인 감정은 감정 수업의 좋은 수업 재료가 될 수 있다. 부정적인 감정을 꺼리기보다 건강하게 표현하게 하는 것이 학생의 장기적인 발전과 학급 운영에 더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 <Part 2. 감정 수업 활동하기>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