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88994655239
· 쪽수 : 256쪽
· 출판일 : 2012-08-10
책 소개
목차
들어가는 글
Chapter 1. 아이들의 문제행동, 어떻게 볼 것인가
1.아이들은 왜 문제행동을 할까?
2.문제행동,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
3.학교를 싫어하는 아이들
Chapter 2. 치료가 필요한 ADHD 아이들
1. ADHD 제대로 이해하기
2. ADHD 아이들은 독특한 재능을 갖고 있다
3. ADHD 아동의 심리치료와 부모 교육
Chapter 3. 아이들의 사춘기, 그리고 왕따
1. 6학년 아이들의 문제행동
2. 따돌림을 당하는 아이들
3. 따돌림을 시키는 아이들
4. 성에 관한 발칙한 현실
Chapter 4. 정신이 멍드는 아이들
1. 우울증으로 슬퍼하는 아이들
2. 강박증으로 틀 속에 갇힌 아이들
3. 정신분열 경향을 보이는 아이들
4. 자살을 생각하는 아이들
5. 인터넷에 중독된 아이들
Chapter 5. 가족, 아이들의 안식처인가 갈등처인가
1. 가정폭력에 시달리는 아이들
2. 부모의 이혼으로 힘들어 하는 아이들
3. 가족 갈등으로 혼란스러운 아이들
4. 다문화가정의 아이들
5. 부모의 양육 태도에 대한 이해
Chapter 6. 교사의 자기이해와 스트레스 관리
1. 교사의 자아와 의사소통 유형
2. 교사 스스로 자아 바라보기
3. 교사 그리고 아이들의 문제행동
4. 학부모 상담의 어려움
5. 교사의 스트레스 관리
나오는 글
저자소개
책속에서
교사가 자신의 바운더리를 넓히기 위해서는 아이들과 많은 이야기를 나누어야 한다. 대화를 통해 표면적으로 보이는 행동 이면의 상처를 알게 되면 학생들의 행동 자체를 비난할 수 없게 된다. 이 과정에서 학생에 대한 교사의 바운더리가 넓어진다. 아울러 학생들의 행동을 이해하기 위해 심리 공부를 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자신의 기준보다는 이론에 바탕을 둔 객관적인 잣대로 아이들의 행동을 바라봄으로써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다. -
아이가 문제행동을 보이거나 심리적으로 어려워 보일 때 교사들은 아이들과 대화를 시도한다. 이야기를 잘 하는 경우도 있지만 형식적인 대답만 하는 아이들도 있다. 아이들이 말을 하지 않는 이유는 아직 담임에게 자신의 이야기를 할 정도로 마음이 열리지 않았거나 그 누구에게도 자신의 이야기를 하고 싶지 않기 때문이다. 이때 안타까운 마음에 아이들과 억지로 대화를 시도하는 것은 좋지 않다. 관심이 있다는 것을 알리고 아이가 먼저 말을 걸어올 때까지 기다리면 된다.
가르치고 충고하고자 하는 마음은 교사의 직업병이다. 아이의 마음을 받아주면 아이는 자신의 부정적인 감정을 풀게 된다. 그 다음에는 자연스럽게 자신이 한 행동을 상대방이 어떻게 받아들이고 있는지 이성적으로 생각한다. 교사가 하려고 했던 충고를 자기 입으로 하게 되는 것이다. 아이의 말을 잘 들어줄 때 비로소 아이들은 마음의 문을 연다. -
놀랍게도 상담을 하다 보면 따돌림을 시키는 아이와 당하는 아이들에게는 공통점이 있다. 그중 첫 번째는 가정에서 건강한 관계를 맺지 못했다는 점이다. 그 이유는 지금 현재 가족이 화목하지 못하거나, 과거에 경험한 충격적인 사건으로 인해 아이 스스로 가족에 대한 신뢰를 잃었기 때문일 수도 있다. 그리고 두 부류의 아이들 모두 자신에 대한 존중감이 낮고 스스로를 부정적으로 생각한다는 점이다. 자신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 때문에 한 아이는 당하고만 있고, 다른 아이는 힘을 과시하기 위해 괴롭히는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