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88994655925
· 쪽수 : 260쪽
· 출판일 : 2021-03-02
책 소개
목차
옮긴이의 말
서문
감사의 말
이 책을 읽기 전에
처음 시작하는 PBL, 제대로 활용하기│PBL에 대한 기본 이해│GSPBL 필수 요소
PBL에 대한 오해와 진실│PBL의 효과│PBL에서 교사의 역할
PART1. 프로젝트 수업 사례
Project 1 중학교에서 살아남기
Project 2 다리 디자인 챌린지
Project 3 물을 믿을 수 있을까?
Project 4 문명의 시작
Project 5 제품 비교하기
Project 6 발사체 운동
Project 7 그랜드 래피즈 시민운동 투어
Project 8 미국에서의 금서
Project 9 디자인의 매력
PART2. 프로젝트 수업 구상
01 아이디어 개발하기
02 학습목표 구체화하기
03 프로젝트 난이도 결정하기
04 탐구질문 만들기
PART3. 프로젝트 수업 준비
01 최종 결과물과 총괄평가
02 매력적인 프로젝트의 시작
03 청중에게 발표하기
04 교수·학습 계획
05 형성평가
06 채점기준표
07 프로젝트 일정표
08 학생들에게 제공할 유인물과 자료
09 학생들을 어떻게 준비시켜야 할까?
10 학생들을 어떻게 평가해야 할까?
11 모둠을 어떻게 짜야 할까?
12 인적 자원과 물적 자원
PART4. 프로젝트 관리
01 프로젝트 관리를 위한 교사의 역할
02 탐구와 독립성의 문화 만들기
03 도입 활동 후 탐구과정 시작하기
04 모둠 활동 관리
05 프로젝트 활동 지켜보기
06 탐구 과정 코칭하기
07 발표 장려하기
08 일상적인 문제 해결하기
PART5. 프로젝트 수업 성찰과 개선
01 ‘성찰’은 왜 필요한가?
02 성공 축하하기
03 학생의 성찰 촉진하기
04 자기평가 및 모둠평가
05 개선하여 다음 활동 계획하기
06 학생들의 피드백 받기
07 프로젝트에 대한 생각 정리하기
08 사례 수집 및 보관하기
09 다음 프로젝트 고찰하기
<참고 자료>
프로젝트 수업 개요
프로젝트 교수·학습 계획
프로젝트 일정표
협업 능력 채점기준표(6~12학년)
발표 능력 채점기준표(6~8학년)
발표 능력 채점기준표(9~12학년)
프로젝트 관리 기록 : 모둠
프로젝트 배움 일지 : 개인
프로젝트 배움 일지 : 모둠
프로젝트 모둠서약서
결과물 발표회 체크리스트
결과물 발표회 청중 피드백
프로젝트 자기 성찰 일지
프로젝트 교사 성찰 일지
리뷰
책속에서
이 책은 프로젝트 기반 학습(이하 PBL)을 처음 접하는 교사들에게 도움을 주고자 만들어졌다. PBL에 대해 읽기 쉽고 간략하며 정확한 조언을 제공하도록 설계했으며, 프로젝트를 잘 수행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는 여러 자료들을 담고 있다. 특히 PBL 수업을 해보고 싶지만 PBL 연수에 참여한 적이 없거나, 자세한 방법에 대한 책을 읽어보지 못한 교사들에게도 도움이 될 것이다. PBL을 시도했지만 부족한 점이 많았다고 생각하거나, 다른 방식으로 다시 실천하고 싶은 교사들에게도 이 책을 권하고 싶다.
- <이 책을 읽기 전에> 중에서
머릿속에 프로젝트에 대한 멋진 아이디어가 없는 상태에서 이 책을 읽기 시작했더라도 괜찮다. 프로젝트를 위한 아이디어는 다양한 곳에서 얻을 수 있다.
많은 교사들이 처음부터 자신이 직접 만든 프로젝트로 수업을 시작하기를 바라지만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다. 다른 사람이 개발한 아이디어를 가져와 내 수업에 적용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다.
앉아서 빈 화면이나 빈 종이를 바라볼 때, 동료들과 브레인스토밍을 할 준비가 되었을 때 등 당신은 언제 어디서든 아이디어를 개발할 수 있다. 아이디어를 얻기 위한 최적의 장소가 따로 있는 것은 아니다. 최적의 장소는 나에게 가장 편한 곳이다.
아울러 프로젝트는 그 형태가 어떠하든 우리가 앞서 정의한 PBL의 필수 요소들을 포함하고 있어야 한다.
- <PART2. 01-아이디어 개발하기> 중에서
아마도 당신은 역사 수업에서 권리장전을 배우던 학창 시절을 기억할 것이다. 정말 지루하지 않았는가? 권리장전이 중요하다는 것은 알았지만 어떤 실질적인 의미를 주진 못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더 솔직하게 말하자면, 시험을 잘봐야겠다는 생각 때문에 공부했을 뿐 그 내용을 정말 알고자 하는 필요성은 없었을 것이다. 하지만 PBL에서는 학생들이 지식과 역량에 대해 훨씬 더 높은 학습 동기를 가지고 있다. 왜냐하면 학생들은 본인들에게 주어진 매력적이고 도전적인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이 지식과 역량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것을 알고 있기 때문이다
- <PART3. 02-매력적인 프로젝트의 시작>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