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요가와 문화

요가와 문화

이거룡, 임승택, 박효엽, 최아룡, 김재민, 김미숙 (지은이)
참글세상
17,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5,300원 -10% 0원
850원
14,4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요가와 문화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요가와 문화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문화사
· ISBN : 9788994781174
· 쪽수 : 256쪽
· 출판일 : 2013-10-15

책 소개

“한국의 요가와 문화”, “요가와 수행”, “요가와 치유”, “요가와 생태”, “요가와 대중 문화 그리고 여성”, “요가 문화의 현재와 미래”라는 여섯 개의 주제 아래 전개된다. 각 주제를 다루는 6인의 필자들은 요가학계 혹은 인도철학계의 대표적인 학자들이다.

목차

1. 한국의 요가 문화_이거룡

1. 문화로서의 요가 15
2. 한국에서 요가의 변용 17
3. 문화로서의 요가를 위한 반성적 진단과 전망 21
1) 일본과 서양을 통한 간접적인 수용과 요가의 한국적 토착화 21
2) 신체 중심 요가의 한계와 통합 요가 23
3) 요가의 상업화 문제와 비영리 단체를 통한 요가 교육 27
4) 요가와 아유르베다의 재결합과 ‘전인치유全人治癒’로서의 요가 29
4. 요가의 한국적 토착화와 삶의 양식으로서의 요가 문화 32

2. 요가와 수행_임승택
1. 시작하는 말 37
2. 문화로서의 요가 41
3. 현대사회에 대한 진단 45
4. 요가 실천의 사회적 함의 51
5. 초기불교 수행과의 비교 58
6. 요가 수행 문화의 정착을 위한 제언 66

3. 요가와 치유_김재민
1. 시작하는 말 75
2. 요가 치유란 무엇인가 77
1) 인간, 질병, 회복을 보는 시선들 79
(1) 현대 의학의 주류 패러다임 79
(2) 고전 요가의 관점 82
(3) 하타 요가의 관점 87
2) 현대 요가 치유관의 경향 93
3. 끝맺는 말 103

4. 요가와 생태_김미숙
요가와 생태의 연결점 109
요가의 원형과 발전 112
생태와 생명의 개념 117
요가와 생태 문화의 전일적 세계관 119
생태 요가의 실천 방안 127
공생 요가의 이념과 전망 132

5. 요가와 대중 문화, 그리고 여성_최아룡
1. 서양, 인도와 요가를 만나다 138
1) 신기한 동양 138
2) 식민지 통치 141
3) 철학으로 만난 요가 143
2. 공허해진 서구의 정신 문화 146
1) 세계대전 이후 146
2) 저항 문화 149
3. 서구 대중 문화 속의 요가 이미지-기괴함에서 고급문화, 대중문화로 156
1) 1960년대 156
2) 1970년대 이후 - 여성의 사회 진출과 여성 운동의 영향 158
3) 1980년대 에어로빅 열풍에서 2000년대 요가로 160
4) 2000년대 후반 이후의 변화 164
5) 심리적 거리를 무너뜨리는 물질적 조건들 168
4. 한국 대중 문화에 나타난 요가와 여성 171
5. 요가 본연의 자리로 회귀 174

6. 요가 문화의 현재와 미래-데생과 몽타주_박효엽
1. 요가의 르네상스를 통과하며 179
2. 요가 문화의 보편성과 특수성 182
3. 숲을 보려고 시도하다 187
4. 혼종 문화, 상상 그 이상의 188
5. 혼종의 위험성과 요가의 잡종성 192
6. 요가를 통해 대안적 삶을 보다 198
7. 대안 문화의 딜레마, 한계, 전망 202
8. 요가와 연대 문화의 가능성 207
9. 요가 문화, 사회적 정의를 향해 211
10. 우리 요가 문화의 슬픈 자화상 215
11. 비판 담론, 새로운 항해의 디딤돌 219

참고 자료 225
주석 233
찾아보기 249

저자소개

이거룡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59년 경북 울진에서 태어났다. 동국대학교 대학원에서 인도철학을 공부한 뒤 인도 마드라스 대학 라다끄리슈난 연구소에서 「제한 불이론 베단따학파의 세계전개설 비판으로」로 석사학위를, 델리 대학 대학원 철학과에서 「라마누자와 화이트헤드의 비교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동국대학교 연구교수를 거쳐 현재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교수로 후학을 양성하고 있으며, 요가학교 리아슈람의 교장을 맡고 있다. 지은 책으로 한길사에서 펴낸 『이거룡의 인도사원순례』 『몸 또는 욕망의 사다리』(공저)를 비롯하여 『두려워하면 갇혀버린다』 『구도자의 나라』(공저)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는 라다끄리슈난의 명저 『인도철학사』(전4권) 등이 있다.
펼치기
임승택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동국대학교 인도철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고, 지금은 경북대학교 철학과에서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박사학위 논문은 「빠띠삼비다막가의 수행관 연구: 들숨·날숨에 관한 논의를 중심으로」이다. 주로 초기불교와 고전요가의 수행론 연구에 집중하고 있으며, 문헌학적 접근만이 아닌 실천적 측면에도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고전요가의 이해와 실천』, 『바가바드기타 강독』, 『빠띠삼비다막가 역주』, 『붓다와 명상』 등 10편에 이르는 저서와 역서가 있고, 「초기경전에 나타나는 궁극 목표에 관한 고찰」, 「초기불교 경전에 나타나는 돈頓과 점漸」 등 30여 편의 논문이 있다.
펼치기
박효엽 (옮긴이)    정보 더보기
인도철학 연구자. 베단따철학을 전공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대표적인 저작으로는 베단따철학의 거장 샹까라가 지은 인도철학의 최고 명저 “Brahma-sutra-bhasya”를 우리말로 옮긴 『브라흐마 수뜨라 주석 (1)-(4)』이 있다. 베단따철학의 개론서인 “Vedanta-sara”를 『베단따의 정수』라는 제목으로 번역 출간하기도 했다. 교양서로는 인도사상의 원천인“Upanisad”를 해설한 『처음 읽는 우파니샤드』, 힌두교의 바이블인 “Bhagavad-guta”를 해설한 『불온한 신화 읽기』 등이 있다. 이 외에도 요가사상에 관한 대중서로 직접 기획하고 공동 집필한 『요가란 무엇인가』 등 여러 권의 공저를 펴냈다.
펼치기
최아룡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71년생. 서강대에서 신문방송학을 전공하고, 대학원에 진학하여 서울사회과학연구소와 공간연구모임에서 활동하며 공간커뮤니케이션을 공부했다. 1996년 요가에 입문, 2000년 요가가 좋아 요가지도자 과정을 시작했다. 뜻하지 않은 사건으로 건강이 악화되어 2003년 잠시 공부를 접고 몸과 마음을 추스르며 사람들과 나누고자 <세상 속으로 가는 요가원>이라는 이름의 작은 요가원과 <몸과 마음 연구소>를 열었다. 2005년부터는 한국요가연합회 기획실장을 하며 해외업무를 담당했고, 미혼모센터, 노숙자재활센터, 정신병원, 성폭력 피해아동 쉼터, 장애인센터에서 소외된 이들, 소수자들을 위한 요가를 통해 ‘함께 살아가는 사회’를 추구하며 실천하고 있다. 2006년부터 3년에 걸쳐 요가지도자 과정과 요가테라피스트 과정을 마치는 동시에 2006년에는 미국문화를 연구하는 독일인 남편을 만나 공부를 다시 시작했다. 한국대중문화를 분석하는 논문들을 미국과 독일 등 해외학회와 저널 등에 발표했고, ‘요가와 치유, 자기성장’라는 주제로 요가테라피학회를 열기도 했으며, 요가와 문화, 커뮤니케이션을 접목하는 시도를 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우리 몸문화 탐사기》 《쿨쿨 부부 시리즈1,2》 《홍삼봉봉》이 있으며, 옮긴 책으로 《온몸으로 하는 재미있는 동물요가》가 있다.
펼치기
김재민 (옮긴이)    정보 더보기
동국대 불교대학원 융합요가학과 책임 교수. 동국대 인도철학과 대학원에서 요가 철학을 전공으로 석·박사 학위를 받았다. Sivananda Teacher's Training Course(인도), 한국요가연수원 지도자 과정(서울), Vac Yoga Intensive Course(인도) 등을 이수했고, 한국융연구원 예비과정을 수료했다. 저서로 《Svara Yoga의 사상과 수행체계 연구》 《요가와 문화》(공저)가 있고, 역서로 《차크라의 힘》 《호흡의 힘》 《명상의 힘》 《요가 사전》 《비베카난다의 명상》 《비베카난다의 요 가수트라》 《요가 매트 위의 명상》(공역) 등이 있다. 논문으로 〈Ṣṭakranirūaṇ의 나디(nāḍī) 관념에 대한 일고찰〉〈하타 요가 자세 수행의 효과〉〈자살 유가족의 회복을 돕기 위한 요가적 패러다임 모색[試論]〉 등을 발표했다. 우리002 57,760
펼치기
김미숙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재 동국대학교 다르마 칼리지 교수로 재직하며 후학을 양성하고 있다. 전남대학교 법과대학 법학과(학사)를 졸업한 후 동국대학교 대학원 인도철학과 석·박사 과정을 밟고,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동국대학교, 연세대학교, 강릉원주대학교 등에서 자이나 사상, 인도 철학, 명상 철학, 불교 문화, 논리학 등을 강의하였다. 저서로는 《자이나 수행론》, 《인도 불교와 자이나교》, 《인도 불교사》, 《불교 문화》, 공저로는 《요가와 문화》, 《고려대장경 해제》, 《불교사의 이해》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