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유교철학/주역 > 유교철학 일반
· ISBN : 9788994844459
· 쪽수 : 847쪽
· 출판일 : 2022-08-15
책 소개
목차
제13부 穆陵盛世의 文運과 성리학의 융성
제3장 退溪·栗谷前後의 名儒(一)
제4장 退溪·栗谷 前後의 名儒(二)
제5장 壬辰倭亂과 義理思想
제14부 17세기 중엽 이후 정계 및 학계의 동향
제1장 胡亂과 斥和·主和의 思想史的 意義
제2장 崇明排淸義理 및 北伐論의 春秋學的 意義
제3장 慕華思想의 高調와 箕子思想의 顯揚
제4장 崇用山林의 氣風과 그 정치적 기능
제5장 朋黨政治의 발달과 근본 성격
제6장 懷尼是非와 老少分黨
제7장 宋時烈의 학술·사상과 儒學史上 위치
제8장 조선유학의 心學化와『心經』의 位相
제9장 仁祖 이후의 名儒와 그 思想
제15부 禮學의 성립과 발전
제1장 序說
제2장 禮學의 성립과 禮思想의 전개
제3장 仁祖朝의 典禮問題
제4장 顯宗·肅宗朝의 服制問題 - 己亥服制是非
제16부 脫朱子學風의 胎動과 主體的 經傳註解
제1장 朱子絶對主義의 형성 과정과 배경
제2장 주체적 철학사상의 선구
제3장 탈주자학풍과 주체적 경전주해의 선봉
제4장 주자절대주의와 탈주자학풍의 영향 및 의의
제17부 陽明學의 수용과 발전
제1장 양명학의 전래와 수용
제2장 양명학의 개요와 末弊
제3장 양명학에 대한 비판과 배척
제4장 양명학파의 성립과 발전
제5장 양명학이 조선에 끼친 역사적 영향
제18부 實學思想의 擡頭와 그 先導者
제1장 序說
제2장 李順光의 懋實思想과 實用精神
제3장 韓百謙의 田制硏究와 實證精神
제4장 金堉의 經世思想과 爲民精神
제5장 柳馨遠의 實學史上 위치
제19부 湖洛學派의 논쟁과 그 의의
제1장 호락논쟁의 기원
제2장 호락학파의 성립과 논쟁의 발전
제3장 논쟁의 思想史的 意義와 문제점
제20부 實學思想의 전개와 특성
제1장 序說
제2장 經世致用派의 활동과 사상적 기반
제3장 北學派와 사상적 특질
제4장 조선실학의 掉尾
제5장 실학사상과 개화사상의 架橋者-崔漢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