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리스토텔레스 (지은이)   
				정보 더보기
				그리스 북동부 칼키디케 반도 스타게이로스(Stageiros) 출생. 별칭으로 ‘스타게이로스의 사람’으로 불렸다. 마케도니아의 왕 아뮨타스 3세의 시의(侍醫)였던 아버지 니코마코스 덕에 어린 시절 펠라의 궁전에서 수준 높은 교육을 받으면서 성장했다. 17세가 되던 기원전 367년 아테네로 간 그는 플라톤의 아카데미아에 들어가 플라톤이 죽는 347년경까지 20년 동안 플라톤 문하에서 학문에 정진한다. 
플라톤이 죽고 그의 조카 스페우시포스가 아카데미아의 새 원장이 되자 몇몇 동료와 아테네를 떠난 아리스토텔레스는 기원전 342년 마케도니아의 필립포스 왕에 의해 그의 아들 알렉산드로스의 교육을 위탁받은 것으로 추정되기도 한다. 알렉산드로스가 아시아 원정을 준비하던 335년 아테네로 돌아온 그는 아폴론 신전 경내에 뤼케이온이라는 학원을 설립한다. 기원전 323년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죽고, 아테네에 반 마케도니아 기운이 감돌기 사작하자 아리스토텔레스는 아테네를 떠나 어머니의 고향 칼키스로 갔고, 이듬해에 세상을 떠난다. 
그의 저술들을 주제별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논리학적 저작으로 『범주론』, 『명제론』, 『분석론 전서』, 『분석론 후서』, 『토피카』, 『소피스트적 논박에 대하여』 등이, 이론철학적 저작으로 『자연학』, 『형이상학』, 『혼에 대하여』 등이, 실천철학적 저술로 『니코마코스 윤리학』, 『정치학』, 『에우데모스 윤리학』, 『대도덕학』 등이 전해진다. 또한 언어학적 철학 저작인 『수사술』과 예술 이론적 저작인 『시학』이 전승되었고, 생물학 관련 작품으로 『동물 탐구』, 『동물의 부분들에 대하여』, 『동물의 운동에 대하여』 등도 전해진다.
			 
			펼치기
			
		 
		
			
				최명관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철학과와 동대학원에서 수학했으며 아이오와주립대학, 노스웨스턴대학, 하이델베르크대학, 소르본느대학에서 철학을 연구했고 마지막으로 숭실대학교 철학과 교수를 역임하셨다. 저서는  <의미의 철학>,  <허무와 영원>,  <사상과 인간의 문제>,  <의미의 철학> 등이 있으며, 역서는  <서양사상사>(브린튼),  <혁명의 해부>(브린튼),  <플라톤의 대화>(플라톤),  <예수의 생애>(르낭),  <방법서설·성찰 데카르트연구>,  <존 스튜어트 밀 자서전>,  <인간이란 무엇인가>(캇시러),  <국가의 신화>(캇시러) 등 다수가 있다.
			 
			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