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좋은부모 > 부모교육
· ISBN : 9788996647911
· 쪽수 : 224쪽
· 출판일 : 2011-05-30
책 소개
목차
1. 민감성이란?
민감성은 행동입니다
민감성은 자아존중감을 높여줍니다
민감성은 안정 애착을 형성해줍니다
민감한 사람은 행복감을 느낍니다
민감한 사람들은 유연한 관점을 가졌습니다
민감성은 알아차리기, 해석하기, 반응하기로 구성되었습니다
2. 신속하게 신호 알아차리기
아이의 행동은 마음을 표현하는 신호입니다
신호에는 언어적 신호와 비언어적 신호가 있습니다
아이의 마음은 대부분 비언어적 신호로 표현됩니다
신호 알아차리기의 방해요인
3. 정확하게 해석하기
아이의 행동에는 반드시 동기가 있습니다
아이의 욕구에는 핵심욕구가 있습니다
발달단계에 따라서 아이는 다른 욕구를 가집니다
아이의 행동에는 목적이 있습니다
아이 행동의 메커니즘
아이의 행동에는 반드시 유발자극이 있습니다
아이의 행동을 지속시키는 결과는 반드시 있습니다
4. 적절하게 반응하기
(1) 아이의 행동에 반응하는 스타일
전환형 | 억압형 | 방임형 | 민감형
(2) 적절하게 반응하기 전략 | 183
신호에 주목하라 | 아이의 신호를 정확하게 해석하라 |
아이를 인정하고 그대로 받아주라 | 아이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도록 하라
5. 민감성의 방해요인
아이가 원하는 것을 잘 모르면 민감하게 반응하기 어렵습니다
나의 기대가 크면 아이의 마음이 잘 안 보입니다
나의 기분이 나쁘면 아이의 행동을 오해합니다
책속에서
민감성은 보는 것, 아는 것, 행동하는 것이 모두 포함된 개념입니다. 즉 상대방의 행동이나 생각, 감정을 신속하게 알아차리기(보는 것), 이를 정확하게 해석하기(아는 것), 그리고 적절한 반응하기(행동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상대방의 변화는 알아차렸지만 그 의미를 잘 모르거나, 그 변화의 의미를 잘 이해했지만 어떻게 반응하는지 모른다면 민감성이 높다고 할 수 없습니다.
사람의 마음은 항상 어떤 형태로든 표현됩니다. 표정이나 자세, 제스처 등 나의 불편한 마음이 반드시 드러나게 됩니다. 이런 경우 아이에게는 말과 표정이 달라서 이중적인 메시지가 됩니다. 그럼 아이는 어떤 것을 믿어야 할지 몰라서 혼란스러워 합니다. 이중 메시지를 주기보다는 솔직하게 엄마의 마음을 말로 표현하세요. 아이의 입장에서는 엄마가 안 된다고 해서 화가 나거나 속상할 수 있지만 그래도 엄마의 말을 믿을 수는 있습니다. 그래서 다음에는 엄마의 진짜 마음을 알기 위해 엄마의 눈치를 보지 않게 됩니다.
둘째는 태어나는 순간부터 사랑을 나누어 가져야 합니다. 처음에는 부모의 사랑을 받기 위하여 첫째가 하는 것을 모두 따라 합니다. 하지만 신체 및 인지적으로 경쟁이 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면서 첫째와는 다른 행동을 통하여 사랑을 받으려고 합니다. 또는 관심의 대상을 부모가 아니라 주변 어른이나 또래에게로 확장해갑니다. 그래서 둘째는 적극적이고 사회성이 좋다는 말을 많이 듣습니다. 이처럼 형제간에도 사랑의 욕구로 인하여 초기에는 어쩔 수 없는 경쟁관계가 되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