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88996697138
· 쪽수 : 256쪽
· 출판일 : 2017-07-12
책 소개
목차
006 감사의 글
009 1장 뇌속의 포스트잇 메모지
033 2장 작업기억 진단
053 3장 읽기장애(난독증)
079 4장 수학장애(난산증)
101 5장 발달협응장애
125 6장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153 7장 자폐스펙트럼장애
179 8장 불안장애
203 9장 학생의 전략과 훈련
230 끝맺는 글 학습과 작업기억 지원을 위한 학교기반 프로그램
239 부록 작업기억 전략 요약
242 참고문헌 & 추천도서
251 찾아보기
255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작업기억, 즉 정보를 처리하는 능력이 포함되지 않은 수업활동을 상상하기란 어렵다. 사실, 작업기억 없이 학습하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다. 문장을 읽으라는 지시를 따르는 것뿐만 아니라 모르는 단어의 발음에서부터 수학문제의 계산에 이르기까지 학생이 수업시간에 하는 거의 모든 활동은 정보의 처리를 요구한다. ... 작업기억은 교실수업의 토대가 되는 기초적인 능력이며, 적절한 지원을 받기만 한다면 학업으로 고통 받는 학생의 미래가 이 작업기억을 통해서 성공적으로 바뀔 수도 있다.
- 1장 ‘뇌 속의 포스트잇 메모지’ 중에서
작업기억은 짧은 시간, 대개 몇 초 동안 정보를 기억하게 해주는 단기기억과는 다르다. 학생들이 칠판에 적힌 문제, 예컨대 42+18을 보고 그것을 그대로 기억해서 적는다면 이는 단기기억을 사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문제를 풀려면 작업기억의 사용이 요구된다. 예를 들어, 10에다 40을 더해서 나온 50을 마음에 둔 채, 다시 8에다 2를 더하고 나서 두 답을 더해 60이 나오도록 해야 한다. 기억할 정보를 가지고 ‘작업을 하는’ 것, 이것을 작업기억으로 볼 수 있다.
- 1장 ‘뇌 속의 포스트잇 메모지’ 중에서
작업기억의 발달은 전전두피질의 성숙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우리는 작업기억이 연령에 따라 어떻게 발달하는지를 상세히 알기 위해 5세에서 80세 사이의 수백 명의 실험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한 적이 있다. 가장 극적인 발달은 아동기에 일어나고 있었다. 다시 말해서, 작업기억 용량은 생애 첫 10년 동안 가장 많이 증가했다. 또한 작업기억 용량은 30세까지 꾸준히 증가하여 이 시점에서 정점에 도달한다. ... 연령대별로 작업기억이 처리할 수 있는 정보의 양은 교실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 1장 ‘뇌 속의 포스트잇 메모지’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