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88997724390
· 쪽수 : 304쪽
· 출판일 : 2024-12-19
책 소개
목차
서문 왜 학습 모형인가?
기억에 남는 교수·학습법 배우기 16
학생들의 머릿속 ‘블랙박스’ 들여다보기 17
이 책이 필요한 이유 19
학습을 염두에 둔 수업 21
교육 연구와 학습과학 사이의 간극 메우기 22
학습 모형 제공 24
또 다른 프레임워크가 아닌 학습 모형 26
이 책의 구성 28
목적지가 아니라 출발점이다 30
1장 학습과학에 대한 이해
정보처리 모형 33
기억의 단계 35
-감각등록기: 소음 속에서 신호 찾기 36
-순간기억: 처음 30초 39
-단기 작업기억: 최대 20분 41
-장기기억: 평생 남을 수 있는 기억 43
기억의 과학을 학습 모형에 적용하기 46
-감각등록기와 순간기억 46
-작업기억 48
-장기기억 49
전체 과정 통합하기 50
2장 관심 갖기(1단계)
감각 과부하 시대의 삶과 학습 62
정서적 혼란이 주의력에 미치는 영향 63
뇌의 자극 처리 우선순위 65
교실에서 활용하는 도구 모음
-학생에게 관심 보이기 68
-학습을 긍정적인 감정과 연결하기 72
-호기심 자극하기 75
-사전 지식 활성화 및 지식 공백 드러내기 80
-학문적 논쟁 구조화하기 82
-수업에 변화 주기 84
빅 아이디어
-타고난 호기심을 자극하여 학습을 가속화하기 86
3장 학습에 전념하기(2단계)
지루함을 몰입으로 바꾸기 90
-학습의 의미와 목적을 찾도록 돕기 91
-뇌를 활성화하여 새로운 것을 배우도록 설득하기 92
-외적 및 내적 보상의 균형 94
교실에서 활용하는 도구 모음
-이 학습이 나에게 무슨 의미가 있을까?(WIIFM) 제공하기 96
-학습을 중요한 질문에 대한 탐구로 구성하기 98
-학습 목표 및 성공 기준 제공하기 100
-숙달에 이르는 경로 제시하기 104
-개인 학습 목표 장려하기 106
-학생들이 노력하도록 지원하기 108
빅 아이디어
-학습 의욕을 고취하기 위해 ‘왜’와 ‘무엇’ 연결하기 112
4장 새로운 학습에 집중하기(3단계)
주의 집중의 과학 117
-이미지와 텍스트 함께 사용하기 120
-추상적 개념을 구체적인 예로 설명하기 120
-풀이된 예제를 통한 문제 해결 122
-자기 질문의 힘 123
-노트 필기 124
교실에서 활용하는 도구 모음
-비언어적 표상 사용하기 127
-보여주고 설명하기 129
-직접 지도를 통한 숙달 단계 시범 보이기 130
-풀이된 예제와 풀어야 할 문제 번갈아 사용하기 131
-자기 질문 및 꼼꼼히 읽기 가르치기 133
-적극적으로 노트 필기 하기 135
빅 아이디어
-그림, 말, 생각으로 정리할 때 더 효과적으로 학습한다 138
5장 학습 이해하기(4단계)
이해의 과학 141
-부호화의 미스터리 143
-부호화 코드 해독하기 144
-복잡한 신경망 146
-마법의 숫자7(혹은 4) 147
-뇌는 본능적으로 패턴을 찾는다-좋든 나쁘든 148
-뇌는 가끔씩 휴식이 필요하다 150
-우리는 우리가 생각하는 것만 부호화한다 152
-연결을 통한 학습 153
-학습 방식에 변화를 주면 뇌를 계속 몰입시킬 수 있다 155
교실에서 활용하는 도구 모음
-효과적인 학습을 위해 내용을 짧게 나누어 전달하기 157
-탐구형 질문하기 158
-질문 후 생각할 시간 제공하기 161
-협동 모둠 활용하여 학습 지원하기 163
-유사점과 차이점 파악하기 166
-학습 내용 요약하기 169
빅 아이디어
-학습 내용을 이해하기 위한 시간 갖기 174
6장 연습 및 성찰하기(5단계)
기억을 심는 과학 179
-반복, 반복, 반복 179
-간격을 둔 반복연습으로 기억 강화하기 181
-교차연습은 어렵지만 훨씬 효과적이다 184
-장소, 장소, 장소 187
-기억하기 위해 머리 굴리기 189
-버그를 찾아 수정하기 192
-종합하기 195
교실에서 활용하는 도구 모음
-초기 연습 단계 관찰하고 지도하기 197
-이해도 확인하기 199
-형성적 피드백 제공하기 203
-교차연습 및 간격을 둔 독립연습 206
-효과적 연습 방법 가르치기 209
빅 아이디어
-반복 학습을 통해 기억 강화하기 212
7장 확장 및 적용하기(6단계)
깊은 학습의 과학적 원리 219
-새로 배우는 내용을 자신과 연결하기 221
-스스로에게 더 깊은 질문 던지기 224
-자기 설명의 중요성 226
-인지 모형 만들기 228
-인지 모형에 대해 비판적으로 생각하기 231
-메타적 접근(자신의 사고에 대해 생각하기) 234
교실에서 활용하는 도구 모음
-도전적인 학습 과제 제공하기 236
-탐구 기반 학습 지원하기 239
-학생의 사고 과정을 가시화하기 244
-비판적 사고 가르치기 245
-글쓰기를 통해 사고력 향상시키기 248
-학습을 수행평가와 연계하기 251
빅 아이디어
-학생들이 더 풍부한 인지 모형을 개발하도록 돕기 255
8장 앞으로 나아갈 방향
전문성을 구축하기 위한 ‘메타’적 접근법 258
-학습 모형을 사용하여 교수법 성찰하기 261
-학습 모형을 사용하여 학생 학습 진단하기 262
-학습 모형을 통해 전문성과 동료애 지원하기 263
자주 묻는 질문 265
-매 수업 학생들이 흥미를 느끼도록 도와줘야 하는가? 266
-학생들은 학습 목표에 몰입해야 하는가? 266
-모든 수업에 ‘확장 및 적용’ 단계가 필요한가? 267
-학습 모형이 핵심 질문에 부합하는가? 267
-학습 모형은 순차적으로 보인다. 학습이 정말 그렇게 선형적인가? 268
-학습 모형을 학생들에게 가르쳐도 되는가? 270
교수·학습에 호기심과 즐거움을 불어넣기 271
-본래 상태의 뇌: 탐욕스러운 학습자 271
-호기심을 활용하는 교수법 273
-학습을 더 쉽고 즐겁게 만들기 274
나만의 모형 만들기 275
찾아보기 278
참고문헌 283
책속에서
뇌의 해부학적 구조나 다양한 수술 기법이 뇌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모르는 의사에게 뇌 수술을 받겠는가? 교육은 비록 수술용 칼을 들이대지는 않지만 어떤 면에서는 1년 내내 교실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뇌 수술을 하는 것과 같다. 이를 잘 수행하려면 뇌의 작동 원리에 대해 어느 정도는 알고 있어야 하며, 이러한 이해를 학생들의 학습 경험을 설계하는 데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교사의 잘못이라고 할 수는 없지만, 학습이 실제 어떻게 이루어지는지에 대해 제대로 알지 못하는 교사들이 많다. 어찌 된 일인지 학습과학(science of learning)의 대표 분야인 인지과학(cognitive science)은 오랜 역사와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교사양성 프로그램에서 충분히 다루어지지 않고 있다. 실제로 교사양성 프로그램에서 인기 있는 수십 권의 교과서를 연구한 결과, 학습과학에 기반한 6가지 주요 교수 전략(분산연습, 교차연습, 인출연습, 피드백을 통한 개선, 이중부호화, 정교화-옮긴이)을 정확하게 설명하는 교과서는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Greenberg, Pomerance & Walsh, 2016). 신임 교사들이 교사로서의 역할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가장 기본적인 정보와 기술조차 충분히 배우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한편, 우리는 효과적인 수업 전략을 사용하도록 끊임없이 요구하는 여러 명의 교장도 만났다. 예컨대, 그들은 교사들에게 유사점과 차이점을 비교·대조하는 수업 활동을 하도록 집요하게 요구했는데, 정작 교사들은 언제, 왜 이런 활동을 해야 하는지 명확히 알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어떤 면에서는 이런 교장들이 추구하는 것이 옳은 방향일 수는 있지만, 그 이유는 종종 피상적이거나 잘못된 이해에 근거한 것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