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교육학 일반
· ISBN : 9788997724215
· 쪽수 : 372쪽
· 출판일 : 2023-12-12
책 소개
목차
한국 독자를 위한 서문 / 004
도입 / 015
1장 효과적인 개별화지도가 갖춰야 할 필수 요소 / 026
학습자에 초점을 둔 교육 / 031
효과적인 개별화지도를 위한 모형 / 033
개별화지도를 지지하는 뇌 연구 / 041
개별화지도의 핵심/ 045
2장 사고방식, 학습환경, 개별화지도 / 048
사고방식, 관점이란 무엇인가 / 053
유능한 교사의 사고방식 / 055
고정관점과 성장관점 / 067
교실환경과 개별화지도 / 076
연습문제 2.1 사고방식과 개별화지도에 대한 질문 / 086
연습문제 2.2 학생들의 정의적 욕구, 학습환경, 개별화지도에 대한 질문 / 088
연습문제 2.3 학생들의 인지적 특성 및 그 특성을 지지하는 학습환경에 대한 성찰 / 092
연습문제 2.4 학생의 인지적 욕구, 학습환경, 개별화지도에 대한 질문 / 094
3장 교육과정과 개별화지도 / 096
수준 높은 교육과정의 중요성 / 099
수준 높은 교육과정은 학습내용 목표를 중심으로 조직된다 / 103
수준 높은 교육과정은 요소들 간의 연계성이 높다 / 110
수준 높은 교육과정은 학생들의 이해에 초점을 맞춘다 / 112
수준 높은 교육과정은 학생들을 참여시킨다 / 121
수준 높은 교육과정은 실제적이다 / 123
수준 높은 교육과정 개별화하기 / 127
연습문제 3.1 교육과정 단원의 수준을 높이기 위한 질문 / 130
4장 수업에서의 학생평가와 개별화지도 / 132
과거부터 내려오는 낡은 생각: 평가에 대한 부정적인 이미지 / 135
시험과 스트레스 / 139
평가에 대한 좀 더 생산적인 관점 / 142
평가의 목적 / 147
평가와 개별화 / 154
성적 산출과 개별화교육 / 160
명확한 학습목표의 중요성 / 165
연습문제 4.1 평가가 효과적인지 판단하기 위한 질문 / 168
5장 학습준비도에 따른 개별화지도 / 170
학습준비도와 학습능력 / 175
학습준비도를 다루는 것이 왜 중요한가 / 176
학습준비도에 따른 개별화수업을 계획할 때 학급요소의 역할 / 183
학습준비도에 대응하여 수업을 개별화하기 위한 지침 / 189
학습준비도를 토대로 학습내용·학습과정·학습결과물 개별화하기 / 195
학습계약과 층위별 활동을 통해 개별화하기 / 200
연습문제 5.1 학습준비도를 토대로 수업을 개별화하기 위한 체크리스트 / 210
연습문제 5.2 학습준비도를 토대로 학습내용·학습과정·학습결과물 개별화하기 / 214
6장 흥미에 따른 개별화지도 / 218
학생의 흥미에 관심 갖기 / 223
왜 학생의 흥미에 대응하는 것이 중요한가 / 224
신경과학과 흥미 / 227
수업에서 학생들의 흥미를 다루기 위한 7가지 테마 / 230
흥미기반 개별화수업을 계획할 때 학급 요소의 역할 / 234
학생의 흥미에 대응하여 수업을 개별화하기 위한 몇 가지 지침 / 237
학생의 흥미를 토대로 학습내용·학습과정·학습결과물 개별화하기 / 244
전문가모둠과 사이드바 학습을 통해 개별화하기 / 248
연습문제 6.1 학생들의 흥미에 근거하여 수업을 개별화하기 위한 체크리스트 / 256
연습문제 6.2 학생들의 흥미를 토대로 학습내용·학습과정·학습결과물 개별화하기 / 260
7장 학습양식에 따른 개별화지도 / 264
선호하는 학습양식 요소 / 267
학습양식: 진화하는 개념 / 282
학습양식에 대응하여 수업을 개별화하기 위한 몇 가지 지침 / 287
학습양식을 토대로 학습내용·학습과정·학습결과물 개별화하기 / 293
‘통합모둠’과 ‘생각모자’를 통해 개별화하기 / 300
이 장을 마무리하며 / 308
연습문제 7.1 학생들의 학습양식에 근거하여 수업을 개별화하기 위한 체크리스트 / 312
8장 개별화수업 운영하기 / 316
수업운영의 일반적인 관점 / 321
수업운영의 대안적인 관점 / 322
리더형 교사의 7가지 원칙 / 329
리더형 교사의 학년 초 전략 / 331
학생들 사이의 학습 차이를 이해하기 위한 전략 / 335
학생들이 개별화수업에 대해 생각하도록 돕기 / 338
개별화수업을 운영하기 위한 몇 가지 지침 / 343
성공적인 리더십과 관리능력 / 351
결론 / 353
연습문제 8.1 효과적인 모둠활동을 위한 교사 지침 / 356
찾아보기 / 359
참고문헌 / 362
저자소개 / 370
저자소개
책속에서
“이 아이들은 내 학생들이다. 지금 이 시간은 아이들이 이 학년의 과정과 이 과목을 배울 유일한 시기다. 나는 내게 주어진 기회와 책임을 누구보다 잘 안다. 나는 이 아이들을 입체적인 개개의 인격으로 바라볼 것이고 한 명 한 명에 대해 알아갈 것이다. 그리고 교사로서 전문 지식과 스킬을 꾸준히 갈고 닦아, 아이들이 최선의 방법으로 최고의 지식을 얻을 수 있도록 그들을 가르칠 것이다. 이 시간 이곳에서 내가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다해 내게 온 아이들 한 명 한 명이 모두 성공하도록 도울 것이다.”
개별화지도는 대단히 혁명적인 교수법도 아니고 교사에게 추가적인 어떤 것을 요구하지도 않는다. 다만 전문가로서의 책임감을 갖고 학생 각자의 성취를 돕는다는 마음으로 사려 깊게 가르치라고 요구할 뿐이다. 이를 위해 교사는 학생을 하나의 집단으로 보고 가르치기보다는 한 명 한 명 개별적 인간으로 대하며 그들에 대응해야 할 것이다.
교직에 몸담은 사람이라면 자신이 학생들의 삶에 앞으로 수년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잘 알고 있다. 아동의 회복탄력성(resilience)에 대한 연구문헌들은 교사가 미칠 수 있는 영향의 범위를 강조한다. 그 연구들에 따르면 불우한 아동이 자신을 짓누르는 삶의 무게를 이겨낼 수 있게 해주는 몇 가지 요인이 존재한다. 그중 하나는 아이가 동질감을 느낄 수 있고 덕분에 힘을 낼 수 있는 힘 있는 어른이 아이의 삶 속에 존재하는 것이다. 놀랍게도 많은 경우에 이 어른은 바로 교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