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비평/칼럼 > 교육비평
· ISBN : 9788997090129
· 쪽수 : 288쪽
· 출판일 : 2012-12-29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꿈꾸는 자들이 함께 만드는 대학과 지역의 변화!”
제1장 Spring Campus / 대학 문화
1. 대학생에게 하고 싶은 말
대학 입학은 종착점이 아니다 | 자부심을 가지고 도전하라 | 가족 소중함 알고 가정 회복하는 5월이어야 | 진정한 청춘의 도전하는 방학
2. 대학 문화의 현장
아름다운 대학을 꿈꿔보자 | 이제 대학 문화를 살려보자 | 일탈과 의미로서의 ‘주막놀이’ | 개교 60주년 ― 자부심과 도전 | 한 시기의 마무리와 새로운 시작
3. 캠퍼스 베이직
학력과 실력이 상부하는 대학인 | 가치 지향으로 약동하는 대학이어야 | 대학구성원의 선거 참여 | 학업보다 어려운 수강신청? | 인종차별 ― ‘후세인’과 ‘왓슨’ | ‘스승의 은혜’ 어떻게 보답하나 | 재즈가 있는 퇴임
4. 교수 문화
‘신임교수 대학생활 가이드북’ 마련 제안 | ‘북클럽 일청담’과 ‘목요책마당’ | 새로운 대안적 교수 모임의 출범 | 초상사진문화를 살려 세계적 대학이 된다? | 대학선거문화를 개선하자 | 지위 이용한 선거운동은 자제되어야
5. 그린 캠퍼스
탁아소가 있는 교정 풍경 | 장애인 편의시설, 모든 것에 우선해야 | 차 다니지 않는 그린 캠퍼스 만들자 | 아름다운 가을 교정에서 자전거를 타자 | 대학 교정에 숲을 살리자
제2장 Summer Campus / 대학 교육
1. 21세기와 교육
‘공존과 협력’을 가르치는 교육 | ‘한문서당’과 ‘영어캠프’ 사이? | 이공계 연구실 베이직 | 생명복제 ― 허용 한계와 윤리 및 교수법
2. 대학의 기초학문
‘기초학문 살리기’는 가능한가 | 경북대에서 노벨상 받을 수 있을까 | 생명과학자가 본 인문학 | ‘낮은 자세’로 ‘낯선 곳’ 향하는 인문학? | 이공학계 글쓰기, 어떻게 하면 좋은가
3. 대학입시와 신입생 교육
교육인적자원부와 ‘삼불정책’의 진실? | ‘경북대 입학사정관제 특별전형 방안’의 긍정성과 허점 | 예비대학생 및 신입생 교육프로그램 개발
4. 지역 대학의 위상과 대학 평가
지역 대학의 위상 | 새로운 대학 평가 체제 제안
제3장 Autumn Campus / 대학 구조와 자치
1. 대학 구조의 현실
대학 구조개혁은 해야 하는가 | 빛 좋은 개살구 ‘국립대 법인화’ | 내실 있는 대학 만들기?
2. 대학 자치의 현실 ― 대학 살림
원칙이 바로 서야 대학이 산다 | 성과급적 연봉제 도입은 신중해야 한다
3. 대학 자치의 현실 ― 등록금 문제
대학 등록금 협상의 대안? | 우와, ‘등록금 없는 KNU’?
4. 대학 자치의 현실 ― 지배구조
총장 직선제, 팔아도 되는가 | 대학 민주화와 대학 공공성의 틀에서 바라본 총장 선출 문제 | 변화 환경에 대응하는 바람직한 대학 지배구조 제안
제4장 Winter Campus / 대학 정치와 역사
1. 대학 구성원의 정치 참여 ― 학내
총장에게 바란다 ― 대학을 질적으로 발전시키는 총장이길 | 총학생회장에게 바란다 ― 전문성과 대안을 가진 신임 총학생회이길 | 나와 17대 교수회 ― 대학 교육 민주주의의 실현 현장에 서다
2. 대학 구성원의 정치 참여 ― 학외
청년·대학생의 현실과 정치 참여? | 교수의 정치활동은 학내 지위 정리가 선결돼야
3. 대학과 역사
역사 앞에 서야 하는 ‘학생의 날’ | ‘인혁당 재건위’ 사건과 경북대 동문들 | 대학 내 공존의 지평 넓히기 | 경북대 동문 ― 박정희와 여정남
제5장 Over Campus / 대학 너머
1. 광장문화와 역사의식
누가 ‘포럼 세상’을 두려워하는가 | ‘메이 퀸’과 ‘메이 전’ | 역사 앞에 아름다운 4월 | ‘인혁’의 푸른 정신을 되살리자
2. 체인지 대구?
대구는 어떻게 바꿔가야 하나 | 대구희망기금? | 축하, 『웹진 체인지대구』 시작! | 꽃처럼 피어나는 마을도서관? | 나의 첫사랑이여! | DGIST를 살려야 한다? | DGIST, 이대로 좋은가
3. 지도자들에게 하고 싶은 말
‘인재전문분야할당제’를 제안합니다 | 새해, 새 정부가 잘해야 겨레가 산다 | 머슴은 곳간을 지켜라 | 김 시장은 신뢰부터 회복해야
4. 활동가들에게 하고 싶은 말
열정과 헌신을 자기 성찰과 미래 준비로 | 시민단체 열 개가 의로우면 | 주위를 변화시키려면 나부터 바꿔야 한다 | 비판보다 대안 제시하는 전교조이길 | ‘풀뿌리 후보자’가 쑤욱 자라나는 지역 되었으면
5. 잊지 말아야 할 평화와 민주주의 정신
부도덕의 태극기 휘날리며 | 미얀마의 민주시민투쟁을 지지합니다!
부록
● 동창회는 본교의 소중한 울타리
총동창회 사무처장 김사열 교수 인터뷰
● 내 인생의 전환점이 된 11·7
그때 그 사람 ― 11·7과 김사열 교수
● 시민단체연대회의, 아낌없는 지원군 역할로 거듭나야
초대석 ― 김사열 대구시민단체연대회의 공동대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