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고대~고려시대 > 한국고대사 > 한국고대사 일반
· ISBN : 9788997090501
· 쪽수 : 256쪽
· 출판일 : 2015-08-27
책 소개
목차
책을 펴내며
1부 삼국시대의 풍경
― 눈으로 즐기는 식물
한해살이풀
손톱에 물을 들인 봉선화와 도읍을 정한 여뀌 | 장식 소재로 쓰인 마름과 국거리로 쓰인 명아주 | 해를 향해 도는 해바라기
여러해살이풀
미인 이름으로 쓰인 갈대와 사군자의 하나인 국화 | 음료수의 소재로 쓰인 난초와 술의 소재로 쓰인 혜 | 반야를 유혹한 쇠별꽃과 지리산의 풍란 | 불심을 상징하는 고고한 연꽃 | 시의 소재로 쓰인 원추리와 접시꽃 | 돌항아리에서 키운 창포와 자리 소재로 쓰인 큰부들 | 종 모양으로 꽃이 피는 할미꽃
작은키나무
왕비의 이름으로 쓰인 계화와 비선화수로 불린 골담초 | 절개와 지조의 상징인 대나무 | 여심을 상징하는 동백나무와 꽃의 왕으로 등장하는 모란 | 나라의 꽃이 된 무궁화 | 말을 하는 산수유와 고급 목재로 쓰인 회양목 | 사랑의 증표인 석남과 주왕의 넋인 수달래 | 먹을 수 있는 진달래와 먹을 수 없는 철쭉 | 요염한 미인이 된 장미 | 바닷가의 해당화와 노의 소재가 된 함박꽃나무
큰키나무
하늘의 통로인 계수나무와 배의 소재가 된 녹나무 | 껍질을 벗겨 먹은 느릅나무와 벽화고분에 나타난 단풍나무 | 정원수로 쓰인 느티나무와 추위 속에서 꽃을 피운 매화 | 설화의 소재로 쓰인 백목련과 자목련 | 왕을 탄생시킨 버드나무 | 생활용품의 소재로 쓰인 벚나무와 벽오동 | 도토리를 맺는 상수리나무와 관모의 소재가 된 자작나무 | 충성과 절조의 상징인 소나무 | 신의를 상징하는 잣나무와 숲을 이룬 측백나무 | 붉은색을 띠는 자단과 소원을 이뤄 준 향나무
덩굴식물
자매의 얼이 자란 등나무와 생활용품의 소재로 쓰인 칡 | 장식 소재로 쓰인 인동덩굴
2부 삼국시대의 밥상
― 먹을거리용 식물
식량 작물
오곡의 하나인 기장과 주식으로 쓰인 밀 | 왕의 하사품으로 쓰인 벼 | 기상 피해를 입은 보리와 진휼품으로 쓰인 조 | 예물로 쓰인 콩과 팥죽으로 쑤어 먹은 팥
채소
줄기를 삶아 먹은 고사리와 들기름의 소재가 된 들깨 | 서동의 사랑을 이룬 마와 피리로 쓰인 파 | 건국 신화에 등장하는 마늘과 쑥 | 백성을 교화하는 데 쓰인 박 | 유물에서 볼 수 있는 오이와 참외
과수
씨앗이 출토된 가래나무와 껍질이 출토된 호두 | 일본으로 간 귤나무와 인도에서 온 대추
수입품인 망고와 떫은 맛이 나는 모과 | 농장에서 생산된 밤 | 이무기를 대신해 벼락을 맞은 배 | 꽃이 일찍 피는 복숭아 | 자두를 맺는 오얏나무 | 시의 소재가 된 산복사와 살구 | 장식 소재로 쓰인 석류와 포도
그 외의 먹을거리
선물용으로 쓰인 인삼 | 공양물로 쓰인 차나무 | 먹을거리로 쓰인 참깨와 황정
3부 삼국시대의 옷차림
― 특용 식물
섬유 소재
모시의 소재인 모시풀과 무명의 소재인 목화 | 비단 소재로 쓰인 뽕나무 | 삼베옷의 소재가 된 삼
염색 소재
검은색을 내는 옻나무와 보라색을 내는 지치 | 노란색을 내는 치자나무와 황칠나무 | 붉은색을 내는 꼭두서니와 잇꽃 | 푸른색을 내는 천연 소재로 쓰인 쪽
생활용품 소재
땔감으로 쓰인 떡갈나무와 칠기의 소재로 쓰인 피나무 | 집을 짓는 데 쓰인 띠와 자리의 소재가 된 왕골 | 벼루의 소재가 된 박달나무와 누에의 먹이가 된 산뽕나무 | 패쪽이 된 침단목과 화랑의 얼이 자란 팽나무
4부 그 밖의 식물
가상 식물
속리산에 나타난 길상초와 오대산에 나타난 청련 | 모량부에서 자란 동노수와 원녕사에 심은 지식수 | 영취산에서 자란 보현수와 혁 | 경주에 내린 하늘꽃과 꽃비
이름 모를 꽃
불상사를 초래한 나무의 변고 | 시와 노래의 소재가 된 꽃 | 비유와 상징의 소재로 쓰인 꽃과 나무 | 이름 짓기에 쓰인 꽃 | 왕릉과 궁궐에 심긴 나무 | 백제와 신라의 꽃놀이 | 두 인물에 얽힌 꽃 이야기 | 공양 문화가 발전시킨 꽃 문화 | 벽화고분에 그려진 꽃과 나무 | 유물에서 발견된 꽃무늬 |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 식물 | 설화의 소재가 된 꽃가지
에필로그
참고 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