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88997090549
· 쪽수 : 464쪽
· 출판일 : 2016-01-25
책 소개
목차
서문 7
2판 서문 10
1장 미국의 뿌리는 어떻게 뽑혔는가 19
2장 생태 위기는 덕성의 위기다 45
3장 생태 위기는 농업 위기다 67
4장 농업 위기는 문화의 위기다 91
5장 미래에서 살기: ‘현대’농업의 이념 111
6장 에너지를 사용한다는 것 169
7장 몸과 땅 199
8장 제퍼슨, 모릴, 귀족 289
9장 한계 영역들 341
3판 후기 442
역자 후기 우리는 웬델 베리로부터 무엇을 배울 것인가 452
책속에서
토지를 소유한 개인과 건강한 농사에 대한 관심이 줄어들고 있는 것은 우리 사회 전체가 작은 것의 생존에 대한 관심을 포기했기 때문이다. 우리는 큰 것은 무엇이든 작은 것보다 좋다고 하는 개연적인 경험 법칙을 받아들인 것으로 보인다. 결과적으로, 농업 제도는 소농들의 필요와 목표에 적합한 경제와 기술을 무조건 외면했다.
토양의 생명성을 음미하다 보면, 곧바로 그것이 영혼의 생명성과 유사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죽음을 통해 생명이 지속된다는 점, 다시 말해 형태를 바꿔 가며 에너지의 흐름이 계속된다는 점을 의식하는 농부는 바로 신심信心 깊은 종교인이다.
농사일과 예술 사이에는 불가피한 친연성이 존재한다. 왜냐하면 농사를 짓는다는 것은 단순한 지식 못지않게 토양의 특성, 흙에 대한 헌신과 상상력에 의존하는 일이며, 토양 조직이 지니는 의미를 해석하는 일이기 때문이다. 농사는 실용practical 예술이다.